함수의 성질이 함수의 이름을 만든다 - 1. 지수함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72046
함수의 성질이 함수의 이름을 만든다 - 지수함수.pdf
이번 글은 그다지 길지 않고, 그다지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 추측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감떨어지는 소리 들린다
-
경제학. 2
90점인가 제발 그대로 나와다오 에쁠 제발 에쁠
-
독서-피램 문학-김상훈 언매-김동욱 ebs-김승리 어쩌다보니 분야별로 찍먹을..
-
연필통 말구 딴걸루요 이감 시즌1, 인강민철, 데일리유대종중 생각중입니다 연필통은...
-
다 탈릅햇나.. 7
어피니티는 간 거 같네요.. 좋은 친구였는데 원조 심심한은 어디감요?
-
하..
-
책값 너무 비쌈 4
중고책 살까 그냥
-
[문제집] 수학의 신은 n수생 입장에서 풀어도 맛있네 2
웬만한 시중N제만큼 ㄱㅊ은듯
-
책을 더 싸게 살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구매 유도하고... 그렇다고 해서 과연...
-
젼나 음흉해보이잖아 여따가 “으흐흐”
-
월화수목금 2시간 근무 토일 6시간 근무 물리적으로는 가능세계범위?
-
섹스
-
앨범 만들었어요 0
사진이 하나밖에 없네요. 채워주실 분 환영합니다.ㅎㅎ
-
언매 도움요청… 0
나 혼자서 밥을 먹는다. 나 혼자 밥을 먹는다. 첫번째 문장에서 혼자서가...
-
공통은 좋은데 미적(10강까지 들음)은 실전개념도 없고 단순한 풀이만 하는 것...
-
완강을 위해 0
뽜이팅
-
만넌필 케이스 둘중에 뭐가 이쁨? 실링 밀랍 장식 자체는 1인데 전체적인 감은 2라 고민되네..
-
그냥 이과가 생윤하는게 이런 느낌일까? 온몸으로 좆노잼이라고 몸이 가부함...
-
삼반수 0
화작미적생1지1 24수능 54245 25수능 23222 이렇게 받았는데 한번 더 해볼만할까요..?
-
이제부터 세계 최고의 교수님이십니다
-
3덮때 노베라 3점 맞고 한 달동안 4덮 자이스토리+개념 한 달 공부했어요 진도...
-
배달이 뒤지게 안 온다 ㅅㅂ
-
벌점을 두번받앗다는데 도대체멀한거야
-
첨보는내용을 갑자기 복습노트라면서 올리시더니 거기서 와장창 문제를 내는건
-
나 협찬받음 3
요즘 방구를 홍보중임 공공장소에서 마구 뀜
-
강e분? 16
내가 다 이겨
-
뉴진스 팬들 무지성으로 르세라핌 아일릿 죽이기 ㅈㄴ 하고 뉴진스도 알면서 방관하고...
-
평소에 수능 교육청 다 1-2등급 기본으로 떴는데 시간부족으로 도표 3문제...
-
지방대 특수교육과 다니는 사람이 요즘 수능 너무 쉽다길래 대체 특수교육과 공부가...
-
못참겠다 0
-
똥 마려운데 5
어떡해
-
친구관계 비롯해서 다 말해드릴 수 있음
-
내가 그렇게 못가르치나
-
과외 학생 입장에선 한 번에 한 과외 선생님이랑만 상담 가능한가요?
-
고등학교 재입학 1
검정고시 합격했어도 재입학 가능하다는거같은데 실제로 그렇게하신분 계시나요?
-
진짜 ㅈㄴ 정신사나워서 집중이 안되네 걍 백색소음 들으면서 해야하나 하... 진짜...
-
잘지내시나요 저는이학교에서 전교한자리수를유지중이에요 중앙대원서를안쓸거같습니다…...
-
최근들어서 느끼는건데 원래 앞에선 안그러면서 등에 칼꼽는사람들이 최악이라고...
-
과외 학생 입장에서요
-
구함. 재밌어용
-
"4월 월급 왜 이래?" 직장인 1030만명 깜짝…건보료 20만원 더 낸다 1
임금 인상·성과급 지급 등으로 지난해 보수가 오른 직장인 1030만명이 이달...
-
국주티콘보유중
-
진짜 처음 들어보는 대학 사범대 다니는 사람이 요즘 대학가기도 너무 쉽고 수능도...
-
외적너무으악 1
외적그만할래
-
차단당할까봐 모밴으로 쓰는데 어찌저찌 다들 보시더라고요
-
아직 자세한 계획은 안나왔나요? 검정고시생들은 어떻게 되는거죠... 그때까지도...
-
좋아요 1등 댓글: 쟤는 진작 차단했음
-
국어는 또 유기의 길을 걷는다 연계주간지만 사서 주간지랑 언매복습만 하고 유기한다...
1등
네모박스 안에 있는거 말인데요 1번과 2번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라는 건가요?
an=1+(1/n) 인 경우를 생각하면 이 경우에는 x=1에서의 우극한만 표현이 되고 좌극한은 표현이 안 되는데요.
x->a 라는건 a의 양쪽에서 이동하는 것이지만 n->무한대라는건 한쪽으로 이동하는거잖아요.
1번이 충분조건이고 2번이 필요조건 같은데 아닌가요?
2번 문장의 의미는 a_n이 항상 a가 아니지만 a로 수렴하는 수열이기만 한다면, a_n이 어떤 것이든지 간에 f(a_n)이 L로 수렴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a가 아니면서 a로 수렴하는 수열 하나에 대해서 f(a_n)이 L로 수렴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a가 아니면서 a로 수렴하는 "모든 경우의" 수열에 대해서 f(a_n)이 L에 수렴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에 1번 명제와 2번 명제는 필요충분입니다.
아 박스 아래 문장을 안 봤네요..
그리고, "p이면 q이다"라는 명제가 참이라는 것은 "p가 참인 모든 경우에 대하여 q가 참"이라는 의미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 때에 배우지만, 그 때 확실하게 배워 두지 않으면 2번 문장을 읽으면서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성지출판에서도 각주와 비슷한 형식으로 박스 아래 문장이 추가되어 있었고요.
인용 표시 안했네요. 해야겠습니다.
답이머죠 ㅠㅠ
한번 풀어 보시고, 전부가 아니라 일부라도 괜찮으니까 풀이를 비밀댓글 또는 쪽지로 보내 주시면 제가 그에 대해서 도움말을 드리거나, 사소한 고칠 부분을 알려 드리거나 등등 할까 해요. 어디까지 나아갔나요?
문제 1-6으로 음의 실수 r에 대해 f(r)을 구하시오
까지 넣으시면 완벽할듯 하네요^^ 잘 보고 갑니다^^
문제 1-1, 1-3, 1-4, 1-5의 결과를 종합하면 양의 실수 s에 대하여 f(r)을 구하게 되고, 이에 문제 1-2와도 종합하면 음의 실수 t에 대하여 f(t)를 구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일단은 문제는 충분한 셈이며, 1-6을 반드시 넣어야 하는 건 아니에요.
그렇지만, 생각의 순서를 생각하면 문제 1-2를 가장 마지막으로 보내는 게 좀 더 보기 좋을 것 같네요. 다른 분들도 그렇게 해서 생각하시면 좋을 겁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글이네요
2번의 f(x)*f(-x)=1=f(0)
이것이 지수함수의 성질이군요 ㅇㅅㅇ.......
3번은 f(2n)=4n^2 / f(2n+1)=8n^2 라 했을때
이것을 귀납적으로 어떻게 설명하나요?
n=1 일떄 설명하고
n=k 일때 가정
n=k+1 일떄 가정한것을 이용해서 설명하는건데 글로 쓰려니 생각이 안잡히네요 ㅎㅎ
논술떄 연습좀 많이해둘걸 ㅜㅜ 귀납
우선, 주어진 길을 잘 따라가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이번 경우가 그런 경우의 하나입니다.
3번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n)을 구하라는 것입니다. f라는 함수가 지수함수 2^x의 성질을 뽑아 내어 만든 함수이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짝수와 홀수를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문제 자체만 놓고 보면, 구분해야 하는 이유가 딱히 있는 건 아닙니다. 실제로 구분하지 않고도 증명할 수 있고요.
그렇지만 일단 질문하신 바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정말로 f(2n) = 4n^2인가요? 바로 그렇다고 짐작하셨다면, 수학적 내공이 쌓이면 1-3만 읽고 바로 f(2n)이나 f(n)을 짐작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차근차근 하나씩 살펴 보는 게 좋다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f(5)까지 살펴 보고 f(2n)과 f(2n+1)을 추측했을 개연성이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근차근 구체적인 경우를 시도해 보고, 이로부터 일반적인 경우를 추측하는 것은 좋은 수학적인 사고방식입니다. 그런데 그 사고방식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그렇기에, 어떻게 해서 f(2n)=4n^2라고 생각하셨는지, "정말 자세하게" 적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제가 그것을 보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어느 부분을 수정해 주면 "구체적인 경우로부터 일반적인 경우를 추측하는 것"을 제대로 하게 될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사고의 첨삭"을 해 드리겠다는 것이지요.
제 생각에는 제가 1-3번의 풀이를 알려드리는 것보다, 개척님의 사고 과정을 첨삭해 드리는 게 나을 것 같다고 했기에 이렇게 댓글을 달았습니다. 생각한 과정을 자세하게 적어 주시면(어떤 형식이라도 괜찮으니까) 제가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저는 f(1)=2 이것으로부터 출발해서
f(1+1)=f(1)^2= 4 이렇게 f(3),f(4),를 구하다가
f(n+n)=f(n)^2 이고 여기서 제가 이상하게 f(n)=2n 이라는 식을 어디서 들고와서 그런 식이 나왓네요.
f(n+1+n)=f(n+1)f(n)=f(n)^2f(1)=2f(n)^2
이렇게 제가 무턱대고 쓰다가 그런것 같네요 ㅜㅜ...
다시 생각해서 글 쓸게요
제 글을 읽고 풀어 보던 중 막힌 부분이 있어서 여기 댓글을 달거나 쪽지를 보내고자 할 때, 자신의 생각의 과정을 최대한 자세하게 적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비밀글이나 쪽지로 하면 됩니다) 그러면 제가 그것을 살펴보면서, 생각의 과정 중 어디서 잘못 나아갔는지, 어느 부분을 고치면 수학적으로 타당하게 생각하는 것이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말하자면, "사고의 첨삭"인 셈이며, 답안지나 다른 분들의 풀이를 보는 것보다 이렇게 "사고의 첨삭"을 하는 것이 낫다고 여겨서 이렇게 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