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과 오해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300157
요새 통계학 관련 글이 많이 올라오는데 개인적으로 뿌듯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카더라와 조금은 잘못된 정보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기준으로 몇 가지 오해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1. 문이과 차이나나요?
문이과 구분이 의미가 없고 학교레벨 차이입니다. 서울대에 해석학이 기본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 특이점인데
그 외를 구분하고 문이과 구분이 무의미합니다. 대학원진학할 친구들은 어차피 수학과가서 관련 수학은 다 들을뿐더러
수리통계학 자체도 문이과 난이도가 아니라 학교난이도에 따라서 그 내용과 수준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2. 통계학과도 학벌 많이 타나요?
네 많이 탑니다. 하지만 다른 문과 학과보다는 덜 탑니다. 취업할 때도 중요하지만 대학원 진학시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금년의 경우 연고대 통계석사에 130~150명의 지원자가 몰렸는데 (지원자 오버랩 비율은 50%정도로 추정이고 서울대 통계는 연고대보다는 지원자가 적음) 학교별로 많이 뽑아야 30명인데 이 때 아무래도 학점(학교연계)을 많이봅니다. 서울대나 고대는 그나마 시험이 있는데 연대는 시험이 없어서 정성적 평가가 더 중요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같은 이유로 학과도 엄청 중요합니다. 주전공이 통계학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대학원 진학이 엄청 갈립니다.
통계를 석박사까지 할꺼면 주전공은 통계 혹은 수학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공이나 컴공은 굳이 할 필요 없습니다 (특히 산공). 필요한 컴퓨테이션 과목이나 스킬만 별도로 배우면 됩니다.
3. 꼭 석사까지 진학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만 석사를 하면 취업의 퀄리티와 합격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 스스로도 학부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통계를 잘하려면 수리통계, 컴퓨팅, 데이터 분석 경험 세 개가 다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통계학과 vs 컴퓨터 공학과?
수험생뿐만아니라 재학생들도 정말 많이 오해하는 내용인데 통계학이나 컴공은 영역이 생각보다 많이 다릅니다.
최근 빅데이터니 데이터사이언스니 하면서 머쉰러닝과 연계하여 둘이 비슷한 것으로 오해하는 분이 많은데
해당 파트는 컴공에서도 일부분이고 통계학에서도 일부분입니다. 사실 두 과는 배우는 것도 많이 다르고 실제 잘할 수 있는 영역도 완전 다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녹을거같아 0
절대밖에니오면안대
-
내 인생의 결정들에 항상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 되자.
-
책샀더니 3
2레벨 올랐네 오르비에서 책 처음 사봄
-
문학 2022수능이 랑 평이하게나오고 비문학 2022 09 경제지문 시장 독점적...
-
궁금합니다!
-
야이개씨 9
-
ㄱㄴㄷ 순으로 적은 겁니다
-
그게머죠
-
저랑 친한 형이 있는데 올해 한양의 수리논술 부활하잖아요?그래서 이 형이 자꾸...
-
hangry 6
하네
-
평가원 #~#
-
사탐런 질문 0
물화러인데 교육청은 전부다 백분위 94~99 왔다갔다하는데, 6모때 물리 45에...
-
국어 비문학 0
실모라고 생각안하고 그냥 기출푼다고 생각하면서 문학, 선택 제외한채로 3지문...
-
1. 적도 부근은 무역풍이 강하게 불어오는 지역이므로, 전향력 유무와 관계없이 항상...
-
강k7회 미적 1
72점..... 식곤증 너무씨게와서 문제가 안읽혔음 점심 ㄹㅇ 조금먹어야할듯...
-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
수능영어 전문으로 과외 3년차 / 누적 학생 25명 이상 성적 향상 사례도 많고...
-
근데 6
좋아요 4개, 9개 이런식으로 돼있는 글이나 댓글 좋아요 눌러서 5개, 10개로...
-
이거 왜 x=12일때 극값이 안 생기지.. 미천한 저에게 설명해줄 대예은 구합니다
-
쉬운 모의고사여서 풀고 나서 기분도 좋을 거임
-
맨날 ? 까먹네 0
-
으어어어 4
과외 한 번 받으면 힘이 다 빠짐… 난 듣는 입장인데도 일케 힘든데 과외쌤은 대체...
-
왜 오타니?
-
비핵화 사야겠다 4
-
ㅈㄱㄴ
-
살이 탔네
-
최근 수학 문제 중에서 유일하게 '별로' 워딩 쓴 문제 10
250921 얘는 출제 의도가 뭔지를 모르겠음 부등식 보고 '오 평균 변화율인가?'...
-
정말 가능합니다~
-
수능 경제 개념 1
수능 경제 개념학습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인강이 나으려나요
-
아 메인 저 분 3
좋아요 10개 만든 거 난데 ㅋㅋㅋㅋㅋㅋㅋㅋ ㅅㅂ
-
요즘 오르비를 잘 안해서 ㅁㄹ
-
"가능할까요?" 6
가능합니다~
-
고1 순열과조합 할때 한거같은놈이 왜있누
-
디게 헷갈리지만 7
결론은 일단 열심히해서 아무 대학이나 쓸 수 있는 성적을 만드는것이다 다시 달리러 갑니데이
-
10분 주기로 토하러 화장실 거네 구웨에엑 하면서
-
강대k 5,6회 0
수학 등급컷 1컷만 부탁드려용
-
음함수미분하면 점수 깎이나
-
문과야 ㅜㅜ
-
문제가 어렵긴 하나 그리 어렵진 않음(시중 n제들과 비슷한 듯) 근데 퀄리티는 시중...
-
물리랑 화학 둘 다 안정 1등급은 아니고 백분위 93 98 왔다 갔다 하는...
-
옯버기 2
-
660 중반?
-
현재 고2라 26강기분 들을려고 하는데 다음년도에 27강기분 들어야할까요? 아니면...
-
정시 70프로 컷 질문 19
이런 시스템을 잘 몰라서 그런데 70프로 컷 평균백분위가 93이면 대충 어느정도...
-
8월 부터 제주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모든 노선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
고전 소설 너무 어려운데 걍 ebs 외우는거 어떰?? 3
고전소설 다 ebs아닌감
혹시 그럼 통계와 컴공이 진로쪽에서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나요
일단 취업대상의 범위는 컴공이 더 넓습니다. 참고로 통계학 전공자가 제일 많이 가는 곳이 금융권 (신평사, 은행, 카드, 보험)으로 약 50% 정도입니다. 최근에는 삼전, 하이닉스, SKT도 통계 전공자를 뽑고 있습니다. 그리고 컴공과 통계가 비슷한 곳에 입사하더라도 하는 일이 많이 다르긴 합니다. ML 쪽이면 그나마 비슷할 순 있을듯 합니다.
오오.. 감사합니당
ㅇㄷ
연대 응용통계학과 가려고 하는데 서울대대학원 진학을 희망할 시 학부가 서울대가 아닌 이유로 서울대대학원 진학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으려나요..?
없습니다. 서울대는 시험을 잘 보면 됩니다. 한 3년전에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도 떨어졌었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요새 통계학과 대학원 경쟁이 빡세서 공부를 조금 더 해야겠죠. 그리고 서울대 통계학과에서 박사를 할 것이 아니라면 석사하거나 유학갈꺼면 연응통 대학원 가는게 여러모로 훨씬 유리합니다. 요약하면 연고대 통계는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서울대 통계대학원을 갈 필요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전공이 통계학이 아니면 sky 대학원에 합격할 가능성이 많이 적나요••?
sk는 시험을 보긴 하니깐 전공자체보다는 시험에 따라 달라질 것 같고, y는 솔직히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복전을 하고 학점을 잘 맞으면 좋습니다. 다만 동일학교 통계학과 비슷한 학점 지원자가 있으면 확실히 선호도에서 밀릴 겁니다.
통계학을 대학원으로 가려면 학사때 수학을 전공해야 하나요..?
통계가 제일 좋고 해당 학교에 통계학과가 없으면 차선책으로 수학이나 유사 전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궁금했던것들이 다 본문속에 있네요..!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통계학과 학부 졸업후 금융공기업으로 많이 가나요? 입사 난이도는 어떻게 되나요?
금융공기업도 꽤가죠. 입사난이도는 상이죠. 준비를 꽤해야됩니다. 특히 한은이나 금감원은요.
한은이나 금감원 이외의 금공도 입사난이도가 많이 어려울까요?
금공자체는 경쟁률 싸움이에요. 나하고 비슷한 사람끼리 붙어서 조금 더 나으면 됩니다.이것을 어렵게 생각하면 엄청 어려운거고 쉽게 생각하면 할 만한거구요.
이과인데 통계 교차지원이 안될경우 산공이나 컴공 진학한뒤 복수전공하는것도 괜찮나요? 대학 5년 다닐각오 해야하나요?
전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대학원진학 예정이시면 복전하시고 아니면 필요한 과목만들으며 주전공에 집중하고 영어 공부하는거 추천합니다.
통계와 산공의 아웃풋이 크게 차이가 나나요?
부담스럽지 않으시면 쪽지드려도 될까요?
네 쪽지주세요.
아뇨 큰 차이나지 않아요. 각자가 강한분야들이 있죠
성대 통계학과 학사졸하고 연고대 통계대학원 진학하기에 어려움이 있나요?
고대는 시험면접잘보면 되고. 연대는 학점 좋으면 돼요.
통계학 + 바이오쪽으로 가면(생물정보학, 약물정보학 등) 대우가 어떤지 알 수 있을까요? 한국에 일자리가 있는지, 미국에 있는지, 미국 가신 분이 계신지, 급여는 어떤지 등등이요
일자리는 많아요.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요. 대우는 쏘쏘에요. 그래도 일자리가 많으니 비선호 대학 통계학과 학생들에게는 기회가 될수도 있은듯 합니다. 미국에도 일자리많고 대우도 평균수준이에요. 프레쉬 박사기준 10만불 초반정도요. 단 미국에서 취업하려면 박사를 해야될거에요. 미국에 한국사람 많아요.
인공지능과 관련이 얼마나 많은가요? 실제로 그쪽으로 아예 진로를 잡으시는 분도 계신가요?
그리고 인공지능은 활용면에서는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툴?인 것 같던데 그럼 통계학이 인공지능에는 어떻게 활용되나요?
인공지능은 엔지니어링이에요. 분야에서 수학과 통계학을 기초도구로 사용하죠. 인공지능이 목표면 통계학은 좋은 출발점이 아닙니다. 데이터사이언스라면 후자가 더 가깝습니다.
서강대 경제에 진학한 후, 4학기부터 빅데이터사이언스 연계전공을 이수하려고 합니다. 졸업시 공학사도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이 경우에도 학사과정을 통계학으로 이수한 것과 동일한 대우를 받을 수 있나요??
아뇨 그렇지 않을겁니다. 서강대 통계학과가 없는것 뿐만 아라 통박가진 교수도 거의 없는 것 다 알려져 있습니다. 산업경영 비스무레 생각할듯 하네요. 통계학 이수의 관점이고 다른 관점에서는 확실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이 듭니다.
그렇군요. 제가 작성한 다른 게시글에도 댓글까지 달아주시고..감사합니다.ㅎㅎ
그럼 서강대 경제 학부 졸업후 연고대 대학원 통계 진학은 가능할까요? (연고통만으로 티오가 다 찰까요?)
또 통계 분야 진로에 있어서 서강대 경제학과 라는 학벌은 메릿 혹은 디메릿이 있을까요??
질문이 많네요..ㅜㅜ
고대 노리셔요. 연대는 학점과 면접으로 뽑는데 자교생지원자가 많아서 힘들것 같습니다. 자교진학비율이 낮고 셤을 보는 고대가 더 수월할거에요. 통계는 학교보다는 수학 및 통계학 실력이 더 중요합니다. 즉 서강경제가 장점도 아니고 약점도 아니니깐 잘 준비하셔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언..진심으로 감사합니다 ㅎㅎ
학부만으로도 취업되나요?제가 주변에서 듣기론 대학원까지는 나와야 괜찮다고들어서..
학교를 타는데 취업 잘되고 좋은데도 많이 가죠. 다만 학과특기 살리려면 석박을 가야되는거고 특히 통계는 석사를 받음 취업성공률과 질이 더 좋아지기 때문에 많이들 진학하죠.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쪽지 보내두 되나요?
넵
한은은 보통 무슨 직렬로 많이 가나요? 경영경제학과에 비해서 금융권 취업 시 불리한 점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