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학파들 소신발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99844
브크만 제대로 체화하면 독서는 무적이다 <<이딴 바이럴 좀 안 했으면 좋겠음
이원준쌤 똑똑한 거 알죠.
실제로 현장응시하셔도 어느 강사들보다 독서 잘 푸실 거 아는데
절대 다수의 인간들은 정보 처리능력이 저 정도로 좋지 않잖아요.
강의 내용이랑 그 사람의 실력이랑은 별개로 생각해야죠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그 정병훈쌤이 아무리 수학을 잘 하셔도
정병훈 강의만 잘 체화하면 수학은 무적이다 << 이런 말 안 하잖아요
국어도 똑같지 않을까요
님들 231122 수식으로 미는 풀이 솔직히 안 할거잖아요
님들 24수능 겸양 문제 시제로 안 푸실거잖아요
원준쌤 강의를 비하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제가 느끼기에 이원준쌤은 뭔가 강의 방향이 많이 수능이랑 엇나간 느낌이고
그걸 강사의 압도적인 스키마로 커버치고 있는 것 같은데
그 지능의 반의 반도 안 되는 사람들이 본인 이원준 들으면
무슨 어나더 클래스인것마냥 찬양하는 게 좀 꼴보기가 싫네요
국어는 손창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맥락상 파악해야하나요? ㅅㅁㄷ 즌2 1회에서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이라길래..
-
꿈나라 갈래말래 갈래말래 갈래말래 잘자 애옹
-
오늘의 생1 2
만족
-
요즘 보면 실수도 실력인거같음 이유를 만들고 보면 실수할만한 실수들임..
-
내가 하겠다 안하겠다 이게 아니라 그냥 토의 주제로. 일반적으로 “자살은 하면 안...
-
두마리 시키는데 슈프림이랑 뭐 시키지
-
ㅈㄴ 열심히 달려서 5일 동안 저 정도 끝냈는데 하 천체 언제 다 하지
-
9평전 마지막 국어 실모로서 가치있남??
-
수학 21,22 틀 21번 세번 풀고 못 푼건 쩝 지구 개념2틀 계산1틀 개념...
-
ㅈ같네
-
속기의 세계 3
도대체 어떤 원리인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
으응
-
제가 빡대가리임..?? ㅠㅜㅜㅜ 몇 분마다 한번씩 아해 안돼서 영상 정지하고 깊생함..
-
완자 14 준킬러 4 킬러 2 완자 14만 다 맞으면 3등급 뜸 근데 개념 1바퀴...
-
문강호 변춘수 0
생명 문강호, 변춘수 t 다 들어본 분 있을까요? 스타일후기나 추천부탁드립니다.
-
제가 지금 4
치킨을 시켜도 될까요..
-
어떻게 생각히시나요
-
공통 몇개 틀릴지언정 미적 28 29 30 맞추자 미적러들아 나도 9모 끝나고...
-
독서시발 고전소설 시발
-
현재 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멘토링단입니다! 2026 수시 면접 멘토링 모집합니다!...
-
작년엔 아수라 들었고 올해 김승리 따라가다가 무제 강e분 n제 풀면서 괜찮아서...
-
브릿지 첫 0틀 1
7회차가 쉬운 편임요?
-
서바 4월례 20분 남기고 100 끼얏호!!
-
통계 단원 약간 가물해서 통계 쪽만 찍먹하려는데 괜첞나여??
-
7모까지 기출만 하다가 저번에 이해원 S1 수12미적 사서 미적은 아직 좀 남았고...
-
6평때 개념 기출 1회독 하고 4 9 16 틀 41점이었는데 하면 할수록 매ㅈ인 과목임
-
생윤1로 최저를 쟁취!!!
-
선착순 5명 1000덕 10
좋은일 생겨서 여러분에게도 좋은일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
95 62 영어 안 침 41 40 탐구 사문 생윤임 국어: 독서는 그 경제 3점짜리...
-
당연히 ㅅㅂ 시간이 지날수록 별은 생성되겠지 왜 시간축을 현장에서 헷갈렸을까
-
내릴까 8
제목만 봤을때 개 또라이 같은데
-
부엉이 효과?
-
6모 11111인데 월례고사같은거 보면 국어 3까지 내려가는경우도 있고 수학도 2...
-
다 비슷하나..
-
내신 다 놓고 고3현역정시파이터는 많이 늦나
-
답지 다운 받기 전에 해설 있는줄 알고 오답하려고 봤는데 해설 없어서...
-
근데 오늘까지야 이시간에 먹어야하나
-
어려운편인가요? 화작 두개 독서론 하나 틀리고 나머지에서 6개 틀려서 79나왔는데...
-
옯창입니다 ㅈㅈ
-
고1 대학 갈 땐 수능 모의평가 8월 시행…성적보고 수시 지원 가능 1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현재 고등학교 1학년이 대입을 치를 때에는...
-
과탐영업글 써봐야 소용없는 이유(사탐런증가는 정해진 미래) 18
예전에 지구과학1 선택 장려하던 오지훈지구과학인가? 하는 닉 쓰던분도 있었는데적어도...
-
개강 실어 1
ㅠ
-
공부 끝 7
이번주도 갓생
-
ㄴ을 ㄱ으로 봤다가 (가) 자료를 (나) 자료로 봤다가 II를 I로 봤다가 유전 풀...
-
시간 압박 없으면 안풀어봐도 되나 수능때까지 기출,N제만 계속 하는거 별로임?
-
현강갤에서 봤는데 한 n수생이 영단어 뜻을 물었고 조교가 그것도 모르냐면서...
-
10일전 기억 열품타와 인강기록으로 복기중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이 자습실에 140명 정도 있는데
이상하게 광신도가 많아보이긴함 수강생들 파이가 크지 않아서 그런가. 물론 이원준쌤 잘못은 절대 아니지만.
본문 일리있는데 맨 밑줄보고 좀 ; 손창빈도 이원준과인데
대신 이쪽은 실적으로 증명하잖아요
어 진심으로 하는 말씀이신가요?
제성적을올린실적말이에요.
그건 이원준 수강생들도 그렇고 어디 하꼬 학원 쌤 수강생들도 할 수 있는 말 같은데
갑자기 여기서 개짜치네…
이건농담으로좀봐줘라
기습 바이럴은 손평 ㅋㅋㅋㅋ
뭐든 잘 체화하면 무적이긴 해요 그 체화의 수준이 높아서 그렇지
그리고 24수능 겸양문제는 시제로 푸는게 맞습니다
이전부터 시제풀이 계속 강조하셨고 당해년도 6평해설에서도 문학에서 조사 어미 접사로 장난치는거 주의하라고 판서까지 하셨는데
틀렸다고 한 적 없어요
다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게 풀지는 않을거라는거죠
대다수의 사람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일관적이지가 않으니까요?
일관되게 조사어미, 일상언어, 시간적선후성 강조하셨는데요?
34번
4. (나)는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의 태도를 드러내는군.
??? : 겸양 맞음? 틀림?ㅇㅇㅇ은 맞다는데?
- 지문에서 겸양이 맞는지 틀리는지는 알 바 아님
- 그치만 야인생애(속세랑 연 끊고 사는 사람) 표현으로 겸양을 나타내는 것 자체가 헛소리임
- 그보다 전에 자랑스러움을 표현해서 겸양을 나타내는 것 자체가 헛소리임
이게 가장 일반적인 독해 아닐까요
1. ‘야인‘은 겸양이 맞습니다.
2. 자랑스러움과 겸양은 양립이 가능합니다.
3. 일반적이라고 말씀하시는 근거가 궁금하네요.
겸양 :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함.
야인 : 아무 곳에도 소속하지 않은 채 지내는 사람.
ex) 그는 공직에서 물러나 나머지 생애를 야인으로 지냈다.
'겸손'이 성립하려면 먼저 '낮춤'이 성립해야 합니다.
야인생애는 그저 화자의 삶을 대변하는 말일 뿐입니다.
"(정치 밀려나서 농사지으며) 두어라, 야인생애도 쓸 일 있으리다."
"(재수하면서) 언젠가는 이런 재수인생도 쓸 일 있겠지"
'재수인생'이 겸양일까요?
야인생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화자에게 겸양의 마인드가 깔려 있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야인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을 드러내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혹시 김재훈 들으셨나용 완전 김재훈풀이인데
말씀하신 것처럼, 자랑스러움과 겸양은 양립이 가능합니다.
다만 자랑스러움을 '표현'함으로써 겸양을 드러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충분히 겸양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야인의 첫 번째 뜻은 ‘교양이 없고 예절을 모르는 사람‘입니다. 또한, 화자는 향촌 사족이었습니다. ‘야인‘에는 조선의 사회적 신분제 시스템상, 스스로를 교양없는 사람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겸양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이상한 곳에 답글을 달았네요 옮겼습니다
자랑스러움 자체를 느끼지 않기 때문에 이 선지를 틀렸다고 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야인'에 낮춤이 성립한다고 해도,
이를 겸양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보기의 (나)에 제시된 관점에서는 자족감, 긍지를 드러냄을 중심으로 독해하라고 주어졌습니다.
야인생애는 자긍심과 자족감의 표현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자신을 낮췄기 때문에, 겸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을 낮추는 것은 자기 자신을 사양하는 태도로, 이 역시 겸양입니다. ‘겸양어를 통해 겸양의 태도를 드러낸다.‘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화자가 자랑스러움을 느끼지 않는 것은 명백합니다. 자랑스러움과 자족감을 구분해야 합니다.
답좀 해주세요 님
긍지 : 자기 자신의 실력, 자신이 쌓아온 것에 대해 자랑스러움을 느끼는 심정으로 그것에 기반한 당당함
화자가 자랑스러움을 느끼는 것은 (보기)의 관점이니 부정할 수 없습니다.
자랑스러움을 '표현'하지 않았기에 선지가 틀렸을 뿐입니다.
보기가 무엇을 말하던, 그것은 해석의 단서입니다. 텍스트에 반대되는 해석은 그냥 틀린 해석입니다. ‘두어라 야인 생애도 자랑할 때 있으리라‘는 부분에서, 자랑할 때가 미래에 있으리라고 예상하므로, 현재는 자랑스러움을 느끼지 않습니다. 아울러 해당 부분은 생황 공간에거의 긍지가 아니라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가지는 회포라고 보는것이 맞습니다.
216t는 겸양 <=> 자신을 낮춤 으로 해설하십니다
Capablanca님 말이 사실이라면
이원준선생님이 잘못 해설하셨습니다.
저 둘은 절대 필요충분조건이 아닙니다
이원준선생님이 그걸 모르실 분은 아니고
아마 님이 발췌해서 왜곡해 주장하시는 것 같네요
평가원에서 주어진 (보기) 관점을 무시하고 지문을 독해하시겠다면야,,, 할 말이 없네요 더이상
보기를 무시하라고 말한 적 없습니다. 보기를 근거로 지문을 해독해야 할 뿐입니다. 그리고 화암구곡 해당 부분에서 화자가 자랑스러움을 느낀다는 해석은 텍스트와 불일치합니다.
이는 학술적 근거도 갖춥니다.
이 論理的 構造는 이 작품의 主題가 <야인(향촌사족)의 농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램>임을 보여준다.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574448
이제 봤네요
우선 지문에서의 '야인생애'는 (보기)의 관점 때문에 표준국어대사전의 첫 번째 의미(교양이 없고 예절을 모르는 사람)보다 두 번째 의미(아무 곳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는 사람)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인용해주신 자료에도 야인을 낮춤의 의미가 아닌, 향촌 사족(두 번째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따라서 우선 야인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을 드러냈다고 볼 여지가 없습니다.
또한, 화자의 정서는 쉽게 변하지 않고, 지문보다 (보기)의 관점이 우선되어야 하기에 자랑스러움은 내면에 깔려 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우나, 야인생애로 그 자랑스러움을 '표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선지가 틀린 것입니다.
알람이 안 왔네요. 답글이 달린 줄 몰랐습니다.
보기의 관점이 중요한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지문보다 중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보기는 지문을 해석하기 위한 인식틀이기 때문입니다. 선생님께서는 계속 텍스트와 어긋난 해석을 하고 계십니다. 미래 시제와 현재 시제를 구분해야 합니다.

저 역시 선생님 주장이 아주 일리가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다만 2에 나타난 부분에 대해, 자랑스러움 자체가 외적인 감정이라는 반론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내적인 감정이 자족감이고, 외적인 감정이 자랑스러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자랑을 느끼면 자랑스러운 것이라고 판단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3번의 경우 입장 차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선생님 주장도 일리가 있습니다. 과외학생들 지도할 때 저도 더 고민해 봐야겠어요.
끝까지 건설적인 대화 감사합니다. 즐거웠어요!
화암구곡에 대한 입장들을 모두 정리해 놓았으니 정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바로 위 댓글에도 말씀드렸듯이 화암구곡의 야인은 표준국어대사전의 1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보다 2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제시하신 논문에서도 2번 의미(향촌 사족)으로 독해했고요. 따라서 낮춤 자체가 아니기에 겸양의 표현으로 볼 수 없습니다.
2번 의미로 해석한다면 야인생애는 그저 향촌에 사는 사람일 뿐, 낮춤의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2. 정서와 태도를 구별해야 합니다. ’자랑할 날이 오리라‘가 미래 시제라는 것은, 자랑스러움을 ‘표현’(태도)할 수 있는 날이 미래 시점이라는 것이지, 지금 자랑스럽지 않다(정서)는 말과는 다릅니다.
3. 마지막으로 선지를 키워드로 논쟁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나)에서 겸양이 드러나는군. 이런 식으로 선지가 출제되지 않기 때문에, 키워드 논쟁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랑스러움을 야인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을 드러낸다’ 라는 문장 전체에 있으며
화자가 자랑스러움을 ’표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야인생애로 자랑스러움을 ’표현‘할 수 없기에,
자랑스러움을 ‘표현’함으로써 겸양을 드러낼 수는 없기에
세 가지 이유에서 틀린 선지라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수험생때의 기분을 느끼게 되는 논의였습니다
끝까지 정중하게 토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바로 위 댓글에도 말씀드렸듯이 화암구곡의 야인은 표준국어대사전의 1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보다 2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제시하신 논문에서도 2번 의미(향촌 사족)으로 독해했고요. 따라서 낮춤 자체가 아니기에 겸양의 표현으로 볼 수 없습니다.
2번 의미로 해석한다면 야인생애는 그저 향촌에 사는 사람일 뿐, 낮춤의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 조선시대 선비들의 출처관을 몰라서 하는 말. 사대부는 기본적으로 출(관직에 나아가 공을 세움)하거나 출하지 못하면 처(자연에 은거)하는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함. 따라서 자신이 향촌에 산다고 말하는거 자체가 나는 출 하지 못해서 처 하고있다는 말이기에 겸양이라고 해석할 수 잇음. 참고로 216 강의 들으셧다고 하셧는데 이 내용(사대부의 출처관) 216 교재에 잇엇습니다
가치중립적 단어를 썻다고 맥락에 따른 해석까지 가치중립적으로 되지는 않습니다 이 시조를 평민이 썻다면 모를까요
그거야말로 지문 외적 내용을 끌어온 독해입니다.
텍스트 그대로 정교하게 독해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여담으로, capablanca님 말씀대로 사대부의 출처관을 배경지식으로 끌어와 독해하기 시작하면 주장에 오류거 생기십니다. 처를 택한 사람들 중에서도 만족하는 사람이 있고,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음을 아실 것입니다. 유박은 18세기에 몰락한 사대부로 처를 택하여 화훼에 큰 만족감을 느끼며 살아온 작가로, 초야우생을 누구보다 자랑스러워하고 더없이 만족한 사람입니다. 벼슬길에 스스로 오르지 않았기에 ’출‘에 큰 미련이 없는 사람이기에 주장하신 대로 배경지식을 섞어 해석하기 시작하면 선지의 자랑스러움도 허용할 수 있다는 관점도 가능합니다.
문학에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다만 수능 문학에서 텍스트와 보기 이상의 무언가는 무게감의 근거로만 사용해야지, 선지판단의 근거로 서용해서는 안 됩니다.
배경지식을 가져와 논의하기 시작하는 순간, 다중 정답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34번 문항의 4번 선지는 배경지식만으로 문제를 푸는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함이 출제의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영상 전체 다시 보세요. 각 수마다 정서가 긍지 자족 회포로 다릅니다. 9수는 선비가 시골 life를 묘사하면서 야인생애라고 햇기 때문에 자기가 출하지 못해서 처하고 잇음을 드러낸거고 그건 즉 낮춤이 됩니다 사대부라서요. 님 말대로 출처관 안 가져와도 보기에 이미 출세하지 못한 선비의 회포라는 단어가 나오죠? 어떻게 이렇게 각 수마다 정서 하나씩 나눠서 해석하냐고요? 보기에 "포착된 자연의 양상에 따라" 를 보면 알죠.
알림이 안 떠서 이제 봤네요
회포는 마음 속에 품은 생각들을 통칭하는 말로,
꼭 부정적인 감정만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국립국어원)
출사하지 못했지만, 그 생활에 너무나도 만족한다면 이 역시도 정의상 회포입니다.
또한, 모든 사대부들이 처를 나쁘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야인생애의 정의는 그저 아무 곳에도 소속하지 않은 채 지내는 사람입니다.
주장하신 대로 출처관을 대입해 출하지 못함을 낮춤으로 보려면
화자가 처를 나쁘게 생각해야 하지만, 그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실제로도 유박님은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꽃을 조화롭게 엮는 일에 흥미가 있는 사대부셨습니다. 출에 욕심이 있으셨는지는 모르겠으나 삶에 너무나도 만족한 것은 사실이고, 화암구곡에서의 야인 표현을 낮춤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회포의 사전적 정의는 그렇죠. 그러나 보통 회포라 함은 아쉬움이나 그리움이라는 정서와 자주 엮여 쓰인다는 사실은 님도 아실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보기에는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생활 공간인 향촌에 머물 '수밖에 없는' 데 따른 회포" 라고 되어 있죠. 저걸 그냥 "회포는 생각일 뿐이야" 하면서 가치중립 딱지를 붙일 만한지 모르겟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만약 정말로 저 회포가 자족과 의미를 같이하는 내용이라면 왜 굳이 보기에 회포를 따로 써 놓았을지도 생각해야겠죠? 또한 처를 꼭 나쁘게만 해석해야 낮추게 되는 건 아닙니다. 고전소설에서 "소첩" 같은 표현은 그런 부정적 인식이 잘 느껴지지 않지만 겸양 취급 받거든요. 유박이 실제 어떻게 살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거야말로 작품 외적인 배경지식 아닌가요? 보기에 따르면 유박은 출세하지 '못해서' 시골에서 머물 '수밖에 없는' 선비이니까요.
외적 내용을 먼저 가져오시길래,,,실제 배경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을 뿐입니다 :)
우선,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정의에 대해 가치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아쉬움/그리움과 같이 쓰이는 단어는 회한으로, 회포와는 결이 다릅니다. 회포는 오히려 정(情)과 더 가까운 어휘입니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국립국어원 답변 예문들을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시로 드신 소첩은 애초 사전 정의상 낮춤표현입니다.
하지만 야인은 정의상으로 낮춤표현이 아니기에
이러한 논쟁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9수에 내려앉은 보기는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써의 회포' 입니다.
여기서 회포를 아쉬움으로 오독하지 않으셨으면 해요.
'출사하지 못한 선비의 생각' 정도로 잡는 게 맞습니다.
'두어라, 야인 생애도 자랑할 때 있으리라'
Fact1 : 화자는 ~한 삶을 자랑하고 싶어 함.
Fact2 : 자랑하고 싶은 마음은 겸손과 대비됨.
Fact 1 2를 통해 화자는 야인생애를 최소한 겸양어로 사용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겸양어과 겸손의 차이를 고려한다 해도 같습니다.)
전 사전적 정의 자체의 중립성을 부정한적이 없습니다. 보기 맥락에서 그렇다고 말하기 어렵다햇을 뿐이죠. 또한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 겸손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겸손과 대비되어 보일 수는 있지만요. "내가 비록 이런 삶이지만 괜찮아(두어라), 언젠가 자랑할 날 있겠지(이런 삶이라도)" 로 생각하면 겸손으로 볼 여지는 충분합니다. 저렇게 말한다는거 자체가 "지금 자신의 삶이 자랑할 만하지 않다" 는 인식을 함축하므로 겸양이 맞습니다.
수식으로 미는 풀이 솔직히 안 할거잖아요 -> 할거임
겸양 문제 시제로 안 푸실거잖아요 -> 풀거임
왜 못한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네요
비유에 핀트를 잡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못 한다고 한 적 없고 잘못되었다고 한 적 없습니다.
최상위권이 부가적으로 알아가기에 좋은 관점일 뿐,
가장 일반적인 풀이라고 합리화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럼 그렇게 적던가요
저게 뭔 비유인지도 모르겟군요
일반적인 풀이가 아니라고 주장을 하고싶으면 근거를 자세히 대시던지 떡하니 주장만 써놓으시네요
"원준쌤 강의를 비하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제가 느끼기에 이원준쌤은 뭔가 강의 방향이 많이 수능이랑 엇나간 느낌이고"
별 근거 제시도 없이 그냥 강의의 가치 자체를 부정하고 잇는데 이게 비하가 아니면 뭔지 모르겠네요
엄밀히 말해 비하라고 볼 여지는 있지만 개인적 사견인거고, 독자 가치판단에 더 비중을 둔 경우임
부정적 어투는 맞는데 그냥 개인의 느낌인 영역이니 근거도 당연히 빈약하죠 그만큼 발언의 경중도 가볍고요
이걸 진지하고 중대한 사안으로 “아 얘가 그렇게 느끼니까 안좋구나!”라고 생각하면 서로 곤란해져요
개추
수능 강사한테 강의 내용이 수능이랑 엇나가있다고 하면 그게 비하가 아니고 뭔데 대체 ㅋㅋ
그런 방향 엇나간 관점조차 도움되는 소수 학생들이 있겠죠.
그건 비하를 하고 나서,
그 비하가 적용 안될 수 있는 사례도 있다면서 비하가 아니라고 둘러대는거죠 ㅋㅋ
저 문장은
"나에게 이원준은 수능이라는 특성에 맞지 않는 강의 방향성을 추구하는 수능 강사로 느껴진다"
그냥 기본이 안돼있는 강사라는건데
그냥 비하하는 게 맞다고 쿨하게 인정하면 안되는거임? 왤케 추하게접근하지
다만 이원준만 체화하면 국어는 무적이다
<< 이딴 개헛소리를 이원준T의 반의반도 못하는애들이 하는 게 꼴보기싫다는거임
좋게 말해도 싸가지가 없으면 답변하기가 싫어지노
뭘 좋게말함 ㅋㅋ
님은 별 근거도 없이 강사의 강의 방향성이 수능에 맞지 않는다는, 강사의 정체성 자체를 부정하는 말을 해놓고
"아무튼 비하는 아니에용~"
하는 게 좋게말하는거임? ㅋㅋ
싸가지가 없는건 본인이고용
타수가 증명하잖아 한잔해 ㅋㅋ
가끔 원준쌤 해설을 보면서 '이렇게 풀 수도 있겠구나' 하고 넘기는 편입니다 (사후적으로 얻어가는 느낌)
제가 그렇게 풀지는 않지만 엄밀하고 정밀한 풀이를 보여주시는 편이라고 생각해요
다만 그런식의 '엄밀한' 문제풀이를 지향하는게 수능 국어 실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국어는 한병훈
231122 수식으로 풀어도 이원준 못 들으면 ㄱㅊ
이원준 들어도 231122 수식풀이는 도저히 못하겠어서 비추
이 강사 저 강사 다 들어봤는데 아, 이게 맞구나 싶은 강사는 정석민 밖에 없었다.
222
일단 231122 전에 171130 1시간 강의 들으면...
댓글 맛있네요
전 양보 안했네? 겸양 아니네? 로 풀었습니다
시험장에서 겸양과 겸손의 명확한 차이를 알고 있었다면 이게 맞죠
근데 가끔 겸양은 겸손과 양보의 합집합이기에 겸손이면 겸양이다라 말하는 사람이 있더군요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95703
국립국어원 답변이 있어용
일단 216 216! 이원준학파!! 스키마스키마!!
하는 사람치고 잘하는 사람을 본 기억이...
모고 담날엔 다 어디론가 사라져....
이원준 듣고 잘하는 사람은 저렇게 광신하진 않겠지
논리적인 사람일테니까
강평!! 강기분!! 하는건
타수, 수천개의 성적 향상 후기가 증명해주니까
5타..? 사알짝 애매하긴해 ㅋㅋ
이원준 강의 방향이 수능이랑 많이 엇나간 느낌 << 이건 너무 주관적인데? 근데 상위권용 수업이란 일부 댓들한텐 공감함 이원준쌤 수업이 구문론적인 굉장히 미시적인 독해를 가르치기 때문에 일단 거시적인 독해력이 어느정도 선행되는 사람이 들어야 효과있음 난 글 읽을때 거시적인 독해력 피지컬만 믿고 선지판단 엄청 왔다갔다 하던 스타일이라 원준쌤 수업듣고 선지 왔다갔다하는거 엄청 줄고 정보처리하는게 편해져서 만족함 그리고 개인적 의견으로 강사느낌아니고 교수님느낌나서 더 좋았음 + 체화하기 어려운건 모르겠음
당연히 주관적이죠 제 생각인데
기본기 잘 되어있는 최상위권 타겟 수업이라는 걸
듣기만 하면 자기도 최상위권이 되는 거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꼴보기 싫어서 쓴 글이에요
교수님 느낌인거 동감 잘 맞으면 좋은거죠
그럼 그렇게만 쓰던지 왜 근거도 없이 비하를 하는지 모르겟노
내가 느낀 걸 쓰는 것도 문제인거임?
열폭 그만하고 공부나 하세요
애니도 좀 그만 보시고
ㅋㅋㅋㅋㅋㅋㅋㅋ
거봐 이럴줄 알앗음
수준 떨어지는 새끼엿노 애초에
글에 100프로 동의
그냥 강민철 들으면 되는 거 아님? (진짜 모름)
수능의 차원에서는 그럴 수 있다고 보는데
대학교 와서는 216 선생과 같이 생각하는게 꽤 도움 많이 되는 듯
이원준은 왜캐 광신도 많은지 신기함
현역 때 1강 듣고 런친 경험에 의하면 고능아 전용 수업같긴함
방향이 엇나갔다 < 주관적인 평가에 불과한 표현을 비하라고 하면 도대체 무슨 말을 할 수 있는 거임? ”돈 아깝다“ 는 강의 후기도 표현에 자유에 해당한다는 판결이 최근에 나온 걸로 아는데,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는 표현을 비난하는 이유를 모르겠네
법적인 판결과 일상에서의 판단을 같이 보시면 안되죠
그리고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는지와 비난이 맞는지의 여부는 별개입니다
비하가 맞고 표현의 자유에도 해당한다면 그 표현을 가지고 글쓴이를 비난할 근거는 되지 않는 거 같은데요. 의사 표현에도 선이라는 게 있지만 강의를 쓰레기라고 한 것도 아니고 일반적인 수험생에겐 과하다는 의미인데 이게 선을 넘은 표현인가요?
그리고 그럼 저도 댓글을 저렇게 달 자유가 있지 않을까요
비난 가능성이 없는 행위에 비난을 하는 건 표현의 자유의 선을 넘은 거죠
겸양이랑 낮춤이 필요충분이라는 분이 뭔 리트 ㅋㅋ
책이나 더 읽으세요 애니 말고
https://m.megastudy.net/mobile/smart/megacast/list_view.asp?tt_num=27245&dom_cd=A&cls_cd=&tec_cd=mysig21#none
이거나 보시구요 12분 37초~
아 그러니까 님은 책 많이 읽고 전 애니 봣으니 리트 치면 님이 좆바르겟죠 ㄱㄱ 하자구요~~
님 저보고 발췌해서 왜곡햇다 하시는데 이런거 찾아볼 생각도 안하고 글을 쳐 싸신거군요 생각해보니
책은 그렇게 잘 읽으시는 분이 왜 검색 하나도 못하실까... 진짜 야인생애 사시면서 책만 읽으시나 봄
이게 겸양이라는 게 어떻게 필요충분이라는 말로 읽히시는지,,,
필요충분을 쓴다면 ”(자책하며)이걸 틀리다니 난 바보야 멍청이야 ㅠㅠ “ 또한 겸양어로 받아드려야 할까요?
맥락상 그렇다는 말을 왜곡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럼 저 영상 내용을 반박해보세요
그리고 리트빵은 안하시나요? 역시 ㅈ밥이 맞긴 한가 봅니다 참 이상하네요 리트하면 분명히 저 쳐바르실텐데
1. 바로 위 댓글에도 말씀드렸듯이 화암구곡의 야인은 표준국어대사전의 1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보다 2번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제시하신 논문에서도 2번 의미(향촌 사족)으로 독해했고요. 따라서 낮춤 자체가 아니기에 겸양의 표현으로 볼 수 없습니다.
2번 의미로 해석한다면 야인생애는 그저 향촌에 사는 사람일 뿐, 낮춤의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 조선시대 선비들의 출처관을 몰라서 하는 말씀이심 사대부는 기본적으로 출(관직에 나아가 공을 세움)하거나 출하지 못하면 처(자연에 은거)하는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함. 따라서 자신이 향촌에 산다고 말하는거 자체가 나는 출 하지 못해서 처 하고있다는 말이기에 겸양이라고 해석할 수 잇음. 참고로 216 강의 들으셧다고 하셧는데 이 내용(사대부의 출처관) 216 교재에 잇엇습니다
심지어 보기에도 "출사하지 못한 선비의 회포" 라는 말이 나오잖아요?
한 곳에만 달아주세요 정신사납네요
위 댓에 반박이나 마저 하시구요 어차피 님 현실에서 한주먹거리도 안되시잖아요 잘 보여요 제가 지금 발가락 골절됏는데 님은 땀뻘뻘로 이길거같음뇨
취업은 머 다들 어찌저찌 하니 하다보면 되겟져 요즘 컴퓨터도 힘들다던데 님도 건승하시구요 같이 힘냅시다
한심하네요
반박은 이 글의 ‘오이카와 토오루는 술을 좋아해’ 님과 토의한 마지막 댓글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저는 과학고등학교를 조기졸업해 정시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하여 재학 중인 이과 인간인지라 리트라는 시험공부를 해 본 적이 없습니다. 앞으로 굳이 할 필요도 없고요
다만 수능 국어는 공부한 적이 있으니 굳이굳이 분에 못 이겨서 내기를 해야겠다고 하시면 2026 수능 국어 현장응시로 어울려 드릴 생각은 있습니다. 따로 연락주세요 도망가지 마시고.
? 리트 걍 비문학 어려운버전인데요? 모르실만한 분이 아니실텐데 ㅈㄴ 잘나셧잖아요
수능국어는 저 지방출신이라 평일에 지방까지 내려가기 빡세요 걍 리트로 ㄱㄱ하시죠 님 비문학 잘하시잖음
교육청에서 접수하는 방법이 있는데 둘 다 공부해 본 수능이 아닌 굳이굳이 공부해 본 적 없다는 리트로 끌고 가시는 것 보니 리트 준비생이신가보네요. 리트 준비할 생각도 없고 응시할 생각도 없습니다. 수능으로 가시죠
님은 제 제안을 안 받아들이면서 저보고 님 제안을 받아들이라뇨? 리트 준비생은 또 뭐임 저 학부 2학년따린데. 리트는 일요일이라 리트치자는 거지 수능이 주말이엇으면 저도 치러갓죠 제가 님때매 목공강 만들순 없잖슴.
싫으시다면야,,할 수 없네요 학부 2학년 따리시면 학업에 더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취업하셔야죠^^
돈아깝다는 건 자기한테 안맞는다는 거임.
자기한테 안 맞은 이유를 제시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그 멘트로 A가 돈아깝다고 B도 돈아까워지는 건 아님.
방향이 엇나갔다는 건 애초에 강의 자체가 기본적으로 잘못됐다는 거임.
수능용으로 알맞지 않은 강의가 수능용으로 팔리고 있다는 거임.
당연히 돈아깝다는 거랑 다르게 강의의 구조적 부분과 강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을 지적하는 것이기에 구체적인 근거가 필요함.
애초에 강의에 구조적 결함이 있다면 다른 학생들이 이거 말고 대체재를 듣는 게 무조건 낫다는 결론이 나옴.
그래서 본문은 근거로 그 예시까지 들고 있고 합리적으로 납득 가능한 수준의 근거로 보이는데요. 애초에 무지성으로 까내릴 목적의 표현이 아니에요
댓글에서 예시에대한 반박이 나오니까 "예시는 예시로만봐라, 예시에 핀트두지말라" 는데 저 예시가 본문에 대한근거라고요?
얘는 글을 좀 잘못썼어서 수정함
진지하게 저 댓글이 논리적인 반박으로 보이시나요?
핀트 못 잡고 떼쓰는걸로 보이는데 저는
전 본문에 든 저 예시가 오히려 핀트나갔다고 읽힘. 문제문제 단위로 찝어서 이 풀이 현장에서 할수있겠냐고 물어보는게
해당 강사의 강의 방향이 수능이랑 맞지않다거나
해당 강사의 내용 방향성을 뛰어난 지능 없이 체화할 수 없단 거의 근거가 됨?
핀트를 못잡고있는건 너에요 저능아님
지가 반박 못하면 그저 나오는말이 "핀트를 못잡는다 맥락을 봐라"
저ㅋㅋ능아ㅋㅋ(연잡대뱃을 달며)
님 내년 리트 내기 ㄱㄱ? 솔직히 ㅈ밥이실듯
연잡대 말 하나 반박을 못해서 뱃지로 찍어눌러야하는 설대좌... 대단하다
쫄아서 도망갔노
이럴줄 알앗징
무지성으로 까내리는 수준의 글 이상이하도 아니라는 게 제 주장임. 설사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 해도.
이원준의 강의는 구조적으로 수능에 엇나갔기 때문에 이원준만큼, 혹은 이에 근접하게 똑똑하지 않으면 이원준을 듣지 말라는 소리랑,
이원준의 강의 들은게 돈아깝다는 소리랑,
뭐가 더 부가설명 없이 작성했을 때 비하표현일지는 명확하다고 생각함.
심지어 전자의 경우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원준은 똑똑한 사람 전용이다"라고 읽히지도 않음.
똑똑한 사람이면 수능준비할때 수능에 엇나간 강의를 들어야됨? 그건 아닐텐데
걍 듣지말라는 얘기를 길게길게 세부적으로 늘린거임
그리고 그걸 뭔가 있어보이는 양 포장하는 게 ㅇㅇ
있어보이는 양 포장해서 불쾌했다 > 이건 이해하지만, 어떤 표현을 사용하든 주관적인 평가에 지나지 않는 글이고 이에 대한 과도한 비난은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그니까 님은 본문은 이원준에 대한 정당한 비판이고 이 글에 달린 댓글은 작성자에 대한 과도한 비난으로 느껴지신단 거임?
표현의 자유측면에서 보자고요.
게시글 작성자는 소위 "이원준 광신도"를 지적하며 이원준 강의 체화하면 고득점이 나온다는 주장을 쓰레기같은 소리로 취급함.
이건 표현의자유침해가 아님?
쓰레기 같은 소리 < 라는 표현을 썼으면 침해라고 생각했겠죠. 근데 그 정도의 과격한 표현은 없어보여요
맥락상 ㅋㅋ 저런얘기하는 거 꼴보기싫다,
저런얘기 좀 안했으면 좋겠다,
"이원준 지능의 반의반도 안되는애들이 저런얘기하고 다닌다"
별개로 저는
저 문장들도, 그리고 댓글의 게시자에 대한 반응도
전혀 표현의 자유 침해로 느껴지지 않음.
님이 그런식의 취지의 댓글을 달았기에,
왜 한쪽에만 불편함을 느꼈는지 이해가 안된단거임 저게 표현의자유 침해란게 아니라
저한테는 글 자체가 전혀 완결성이 없는 무지성 비난 수준의 글이라고 보임.
이를 "비하는 아니다" "사견일 뿐이다"로 포장하는 건 진짜 너무 전형적인 수단이라 굳이 언급도 하고 싶지도 않음 ㅋㅋ
제가 이 글을 지적하는 건
작성자가 소위 이원준 광신도를 지적하는 메커니즘이랑 똑같다고 느끼면 됨.
님이 전자는 안되지만 후자에는 별 문제를 못 느꼈다면 그거 또한 님의 사견이고
후자에 문제를 느낀 거 또한 제 사견임
님이 제 의견이 잘못됐다고 주장하더라도 저는 그걸 원천봉쇄하려 할 이유가 없음
님 댓글 쭉 읽고 다시 확인해보니 충분히 일리가 있네요. 제가 좀 치우친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이원준 맞는 사람은 잘 맞긴 해여 각자 잘 맞는 쌤이 있는 거죠
그냥 맞으면 들으면 되고 안 맞으면 안 들으면 되고 그런갑다~ 하고 살아갑시다 우리
지극히 사견으로는 이원준 강사의 강의는 ‘수능 국어를 풀자‘ 보다는 ’텍스트를 정리하고 그 안의 정보를 처리하자‘에 가깝다고 보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실 수 있다고 보겠습니다.
이원준 통해 국어 4등급에서 백분위 100 수준까지 올린 입장에서 그닥 유쾌하진 않으나 비하의 의미는 없다고 받아들이겠습니다.
이원준 까면서 국어는 손창빈 이러고 있다 ㅋㅋ
강의는 들어보시고 내용으로 까세요
신도들 꼴보기 싫다는건 할말이 없는데 해설 몇개 딸깍보고 기껏 한다는말이 강사 압도적인 스키마빨 ㅋㅋ
비하는 아니라며 포장질까지 가관이네
깔거 다까고
음침하게 암튼 비하의도는 없다노 ㅋㅋ
선특으로 이원준 현장 풀커리 탄 사람인데요 ㅋㅋㅋ
실제로 느낀 후기입니다만
강기분 듣고 와야할듯 ㅋㅋ
보기 해석해도 저 야인 부분은 자랑스러움이 아닌데요
7수도 자랑할날이 오리라...
정서랑 태도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보기에도 나와 있듯이 화자에게 자랑스러움은 내면에 깔려 있는 것입니다. 야인생애로 ’표현‘하지 않았을 뿐이죠.
근데 이원준 강사님의 강의가 수능과 괴리가 있다라는 식의 발언이 이토록 물어뜯기게 된 경위는 조금 의아하네요...
오르비는 친절하면서도 때로는 굉장히 무섭네요..
본문에 해당하는 글이 대체적으로 좀 깐족스럽게 느껴지면서 남을 깎아내리는 듯한 투가 있긴 한데, 전반적인 글쓴이의 태도보다는 수능과 괴리가 있다라는 문장을 집요하게 공격하는 것이 다소 의아하다는 의미입니다.
주장의 방향성은 맞다고 치더라도, 그냥 단발성으로 같잖은 근거 몇개 긁어와 대충 논리세우고 어떻게든 조리돌림 해보려는 어그로성 의도가 너무 보이니까요.
그쵸그쵸 두 입장 모두 이해가 갑니다. 글쓴이가 비판 받아 마땅하긴하지만, 뭔가 우다다다 욕 먹는게 좀 무서워요ㅜㅜ..
모든 사람들이 님처럼 관심받고 싶고 어그로 끌려고 글을 싸지는 않아요
무식하면 자아라도 죽이던가 ㅋㅋ
좋으면 그냥 들으세요 누가 뭐라하냐
이원준 들으면 무적이라는 논리를 님이 펼침?
헛소리하는 수강생들 까는 글에 왜 단체로 열폭하는지 참 ㅋㅋ
싫으면 그냥 듣지마세요 ㅋㅋ 지도 남까내리면서 발끈하긴
듣는다고 하는 거 보니까 수험생같은데, 헛짓 좀 그만하시고 공부나 하세요 한심하니까
걱정 감사합니다? ㅋㅋ
수험생도 아닌데 오르비와서 찐따같이 강사 갈드컵여는
새끼만 하겠노?ㅋㅋㅋ
마지막이 너무 짜치네
흠냐뇨이 할많하않
이 논리대로면 강민철 못막는데 ㅋㅋㅋ
강기분 들으면 전부 해결되는데 ㅋㅋ
ㄴㄴ요즘은 강평업임
저도 겸양은 틀리다고 봄
애초에 겸양이 허용되려면 자기 삶에 자족감을 느끼면서도 일부러 자신을 ‘낮춘다’는 맥락이나 정서가 개연적으로 추론 가능해야하니까요
본인 듣는 강사 찬양하기 vs 지능 운운하며 꼴보기 싫다고 남 까내리기
뭐가 더 꼴보기 싫은걸까요 ㅋㅋ
둘 다 하나씩 봐도 꼴보기 싫은데 둘다인 사람은 ㄹㅇ 뭐하는사람임? ㄷㄷㄷㄷ
ㅋㅋㅋㅋㅋㅋㅋ
개짜치노 ㅋㅋ
말한머디 잘못허면 죽이려 들거같노 ㅋㅋ 무섭네
그니까 216 바이럴들 하는거에 긁혀서 이런 글을 쓴거임? ㅋㅋ 커뮤하는 기본적인 태도가 안돼있네
위에 광신도들 ㅆㅂ ㅋㅋㅋㅋㅋ
설평을.. 설평을 낮추지 마라..
제일 싫어하는게 어떤 사람을 신격화해서 맹목적 추앙하는 사람들임. 수능 강사? 그냥 도구잖아. 솔직히 수능 잘보려고 쓰는 도구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데 뭘 그렇게 추종하는지 궁금하네. 이것뿐만 아니라 아이돌, 정치인, 연예인, 프로게이머 등등 신격화 하는거 자체가 싫음... 그 사람이 인간적으로 좋다는 건 수용 가능함. 근데 그걸 넘어서 맹목적인 추앙은 진짜 인격을 박탈해버려야함 투표권이랑
추종을 하게 해야 조작적 조정을 할 수 있으니깐
아니 근데 다떠나서
현 1타 강민철도 시제로 해설하고 그거 ㅈㄴ강조하는데 뭔 쌉소리신지
커뮤에서 빨리는 거 보면 무슨 요리대가의 숨겨진 비법 배우는 거 마냥 찬양하고 자기들을 216학파라고 칭하는데 강사 타수보면 5타임... 더이상 할 말이 없음 5타인 이유도 원래는 1,2타급인데 사람들이 이원준의 진가를 못 알아봐서 그렇대...
허수아비 때리고 있누
흑흑
무슨 공부든 혼자 생각하고 고민하는게 디폴트인데 강사가 떠먹여주는걸 받아쳐먹으려고 하니까 이원준 거품이다 강민철 들어라 소리가 나오지.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을 가장 잘 이해하는 강사의 엄밀한 풀이라는 점에서 독학하며 참고하기에 더없이 훌륭함
오르비에서 이원준 까시면 큰일나용!!! 도망쳐!!!
확실히 느낌 ㅋㅋ
#허수아비 공격은 중립
국어빡통으로써 216이 뭐 수능과 잘 안 맞고는 모르겠고
그냥 어려워잉 국어 공부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오호라 내가 고2때 이원준 풀커리에 올해 겨울부터 손t인데,,
이원준을 욕하면서 손창빈은 좋아하시는 분은 처음보네
그리고 서울대 컴공이 연잡대이러는건 ㅈㄴ 짜치긴하네요..
님 답좀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