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롱로리키 · 573589 · 19/08/27 19:31 · MS 2017

    미분가능은 평균변화율의 좌우극한이 같으면 됩니다

  • 헤네시스 · 740249 · 19/08/27 19:48 · MS 2017

    와 근데 이거 재밌는 소재네요.

    i(x)=(x+2)(x-4)라고 정의했을 때,

    h(x)랑 i(x)는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결과값이 같고 그래프도 똑같이 생겼는데 둘은 다른 함수가 되어버리네요. 미분하면 달라지니까.

    두 함수가 '같다' 는 걸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 롱로리키 · 573589 · 19/08/27 19:32 · MS 2017

    미분가능이면 도함수 연속 이거 오개념인데

  • (,,>_<,,) · 900837 · 19/08/27 19:34 · MS 2019

    ㅇㅇ미분가능이 도함수 연속 이거 대표적 오개념이쥬

  • 옯린디동문둥이 · 795824 · 19/08/27 19:37 · MS 2018

    왜요???

  • 롱로리키 · 573589 · 19/08/27 19:39 · MS 2017

    미분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평균변화율의 극한이 존재(좌우극한이 같음)만 얘기했잖아요.

  • 옯린디동문둥이 · 795824 · 19/08/27 19:40 · MS 2018

    흐어... 나형에서는 왠만하면 미분가능시 도함수는 연속이라던데,... 현우진이..

  • (,,>_<,,) · 900837 · 19/08/27 19:45 · MS 2019

    ? 뉴런 미1 132p remark3

    f'(a)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1.lim x->a f(x)-f(a)/x-a의 값

    어딜봐도 그런얘기 안쓰여있는데

  • 헤네시스 · 740249 · 19/08/27 19:50 · MS 2017

    어지간하면 그렇게 풀어도 된다는 편법론적인 얘기지 꼭 그런건 아님
    가형이면 큰일나고

  • 근햬공식 · 875282 · 19/08/27 19:37 · MS 2019

    미분가능하면 연속이다이건맞지만 (원함수가)
    도함수는 그런거 상관없이 부호만 신경쓰면 되지 않나요? 잘못 알고 계신듯한뎅

  • (,,>_<,,) · 900837 · 19/08/27 19:40 · MS 2019

    맞아요 원함수 연속>>>미분가능은 맞지만 미분가능>>>원함수 연속은 아니에요

  • 옯린디동문둥이 · 795824 · 19/08/27 19:49 · MS 2018

    원함수 연속이 미분가능..?? 절댓값함수는여..

  • (,,>_<,,) · 900837 · 19/08/27 19:52 · MS 2019

    아 위에분 말이 맞다는걸 말하려는거였는데 ㅎㅎ 연속>>미분가능은 아녜요

  • (,,>_<,,) · 900837 · 19/08/27 19:39 · MS 2019

    혹시 뉴런 미1 있으시면 참고해보세요 형광펜까지 동원해가면서 필기한걸 봐선 꽤나 강조하셨던거 같은뎅

  • 하스로확통함 · 878059 · 19/08/27 19:40 · MS 2019

    대표적인 예싫 말하면 좌우극한이 둘다 양으로 발한하거나 둘다 음으로 발산해도 미가인 경우들이 있음

  • ㄱ.ㄷ · 795387 · 19/08/27 19:44 · MS 2018

    제가 이걸 본기억으로 저렇게 쓴거같은데 이책에 있는말은 도함수를가지면 미분가능하다고 제가 시험지에 쓴말은 미븐가능하면 도함수를 가진다 라서 다른건가요??

  • 롱로리키 · 573589 · 19/08/27 20:24 · MS 2017

    도함수가 연속이면 미분가능하지만 그 역은 성립 안해요

  • 롱로리키 · 573589 · 19/08/27 20:28 · MS 2017

    그리고 저기에도 도함수를 갖고 모든 실수에서 f'(x)의 값을 가진다고만 되어 있지 도함수가 연속이면 미분 가능이라는 말은 없네요.

  • 대치동 일진짱 · 898365 · 19/08/27 19:48 · MS 2019

    미분가능하면 도함수가 연속임

  • 옯린디동문둥이 · 795824 · 19/08/27 20:12 · MS 2018

    저도 이렇게 알고잇음

  • 문과에서 이과정시로 · 886993 · 19/08/27 20:34 · MS 2019

    댓글에서의 논쟁과 별개로, 사진 속 함수는 도함수가 연속인 게 맞습니다. 작성자님께서 x=4일 때의 도함수를 따로 구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못된 겁니다.
    만약 어떤 열린 구간에 대해 식이 주어졌다면, 그 구간 내에서는 위처럼 식을 미분하여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어요. 하지만 문제에서는 어떠한 구간이 아니라, 한 점을 경계로 잡았기 때문에 그것이 불가능합니다.
    미분계수의 정의 f’(a)=lim h->0 f(a+h)-f(a)/h 에서 f(a+h)가 f(a) 그 자체는 아니기에, 한 점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그 부근의 다른 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즉, x=4일 때의 상황은 그 부근의 다른 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x=4일 때의 f(x)식을 미분한다고 f’(x)가 나오는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