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원천] 8차 강대 모의 국어 리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818749
행복한 오전 10시를 위한 국어의 원천
손원천 선생입니다.
오늘 강대모의 7차 시험이 있었습니다.
국어의 경우 반평균 점수가 많이 내려가 상위권의 경우 90점 전후로 파악됩니다.
1등급 컷도 꽤 내려가서(6점 정도) 87점 정도로 예상해 봅니다. (중요한 문제는 아니지만요)
<오답률 순위>
순위 | 문항번호 | 제재 |
1 | 22 | 비문학 사회 |
2 | 35 | 비문학 인문-과학 |
3 | 36 | 비문학 인문-과학 |
4 | 34 | 비문학 인문-과학 |
5 | 32 | 비문학 인문-과학 |
6 | 23 | 비문학 사회 |
7 | 33 | 비문학 인문-과학 |
8 | 18 | 현대시 |
9 | 19 | 현대시 |
강대 앞반 기준 (전체 순위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모의고사에서
개인적으로 좋았던 점은
첫째) 인문 – 과학 융합지문으로
인식론적 주제는 논리학과 더불어 수능 인문 제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지요.
이걸 생리학적으로 접근한 지문은 사실 제가 2014년 이후로 한번 제대로 써보고 싶었던 주제로 몇 년 동안의 로망이었는데 능력의 부족으로 몇 번 시도만 하고 말았지요.
이걸 제대로 해낸 이감의 출제팀에게 경의를~!
참고로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간의 뇌에 GPS 역할을 하는 장소 인지와 위치 파악을 하는 신경 세포가 있다는 것을 밝혀낸 팀에게 돌아갔죠.
그 기사를 읽으면서 ‘오성의 범주’를 강조했던 칸트의 입장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이 들어 무척 흥미를 느껴서
(문송한 탓에 뇌과학 보다는) 칸트에 꽂혀서 칸트의 인식론, 윤리학, 예술론에 관한 평가원, 학평 기출들을 뿌려댔던 적이 있었지요.
(그해 수능에 칸트가 나왔다는 것은 안 중요)
아무튼
뇌과학 등 생리의학적 관점에서 칸트의 견해를 점검해 보는 것은 이미 과학적으로 유용성이 입증된 접근이지요. 이번 지문은 매우 탁월한 융합 지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둘째
사실 실전 모의고사의 한계(?)는
문학작품 선정이 수능과는 다르게 100% EBS 연계라는 것이지요.
실제 수능에서 작품의 내용이 그대로 나오는 것은 현대시 1편, 고전시가 1편 내외이고
나머지는
제목만 연계, 작가 연계, 비연계임을 생각하면
지금의 실전 모의고사는 참으로 비현실적인 구성이지요.
상황이 이러하다보니 학생들이 이맘때가 되면 수특, 수완의 작품들을 외우다시피 해서
모의고사를 볼 때, 시나 수필들은 제목만 읽고 문제를 풀어대는 경지에 오르게 되고
그렇게 해서 확보된 시간으로 비문학 독서 문제를 풀면서
언뜻 보면 시간관리도 되고, 점수도 오르지만
실제 수능장에서 문학 문제를 그 속도로 풀어내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작년의 경험을 돌아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현대시 16~19에서
(가) 김용택, <섬진강 15- 겨울, 사랑의 편지>
(나) 정끝별, <속 좋은 떡갈나무>
(다) 평설
은 학생들에게 좋은 성찰의 기회를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몇 번 풀었던 기억만으로는 쉽게 답을 내기가 쉽지 않았을 테니까요.
우리들의 주의할 점은
1)
<평설>에서 근대를 비판적으로 보고 근대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시인이 한다는 내용이 나온다고 해서
그 시의 내용 자체에 근대의 부정적인 모습이나 근대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직접 드러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시인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모습 자체를 형상화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입니다.
2)
시에서 [인간 + 자연]이 나오거나 [자연, 자연물] 만 나오더라도 궁극적으로 화자가 말하려는 것은
인간, 인간의 삶, 인간과 자연의 관계라는 것입니다.
시 (가)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간의 모습을
시 (나)는 자신을 비우고 다양한 존재들과 더불어 사는 자연의 모습을 통해 시인이 생각하는 인간의 삶, 내지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이는 평설의 맨 마지막 부분
‘인간사(人間事)를 비롯한 삶의 본질과 실상에 대한 통찰로 이어진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간사(人間事)를 비롯한 삶의 본질과 실상에 대한 통찰’이 이 시들의 주제인 것이지요.
그리고
EBS 비연계 작품이지만 시나리오 <서편제>의 바탕이 되었던 연작 ‘남도 소리’ 중의 <선학동 나그네>가 출제된 것도 반가웠습니다.
출제 가능성이 희박한 이청준의 ‘줄’을 보고 또 보고 풀고 또 푸느니 훨씬 의미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질문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오늘 당장은 아니더라도 주말을 통해 틈틈이 가급적 자세히 답글 달겠습니다.
또 필요하다면
지문의 구체적인 해설도 추가적으로 올리겠습니다.
수고 많았습니다.
수미잡!
원천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잠이 안오는데 할 줄 아는게 국어밖에 없어서요
-
하.. 서럽다 진짜 그 혹시 동그랑땡 케찹안찍어며으면 사람이 아닌가요 아까 욕먹음
-
뭐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감이 안 잡히네요ㅠㅠ
-
아이고
-
밥약이고뭐고 4
그냥 혼밥혼강만 안하면 좋겠다 그렇게 큰 소원은 아니잖아....
-
나도그거작년에들억어 나해줘 ㅜㅠㅓㅠㅠㅠㅠㅠㅜㅜㅠ
-
1. 동네에서 놀기 2. 용인 카페 가기 3. 분당 맛집 탐방(친구가 추천)
-
다들 대학을 보내주었던 하나의 간절함/무기가 있음? 11
공유해주세요!
-
?ㅋㅋㅋㅋ 1
ㅋㅋㅋㅋ
-
시대 화1화2 1
시대 재종 강준호 화1이 160명인데 화2가 280명이라함......ㅋㅋㅋㅋㅋ 화2...
-
간절함이 사라니까 뭘 하려고 해도 끝을 볼 수가 없네..
-
시대 3일 후기 13
ㅈㄴ힘드네... 근데 수업은 거의 다 좋은거같음 국어 손창빈t 박준호(서준혁)t...
-
그러면 뭐하냐 맨날 보던 사람밖에 없는데
-
선샌니 저 하장실가따와도데요??ㅠㅠ
-
오르비에서밥약걸어야하나까지고민중..
-
김과외에서내껄봐주길 ㅠㅜㅜ
-
입문 - 성인지 킬러 - 성적인지 감사합니다.
-
의예25 재수 고민 14
고3 수학 미적분 3모 93점 백분위 99.28 5모 92점 백분위 99.84...
-
봉인!! 해제!! 12
오르비 오랜만이에요오오 다들 잘 지내셨나요? 일주일 휴르비하겠다는 말 지키고...
-
리ㄸ 칠만 하다 생각해요
-
수학의 시발점에 충실한, 조력자 지인선과 기초를쌓는 N제 "수시충 조지기 N제"...
-
문과고 수능수학 3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내신 때는 수학 공부를...
-
죄송합니다
-
0.5학점이 최소학점이라 반수할 때 0.5학점만 듣고 하려고 합니다. 근데 만약에...
-
편의점치킨꼬치ㄹㅇ 양적은거말곤좋음 매콤하고 적당히불량해서
-
2021 9 21(가형) 그래프가 아닌 원으로 생각해보기 4
유튜브 정병훈 선생님 21년도 9월 21번(가형) 고찰 참고하여 단위원으로부터...
-
어차피 지금 사람없어서 이륙 못함ㅋ
-
방금 플러팅함 2
네이버폼으로 법사님이 수강후기 쓰라고해서 정성스럽게 5줄적고 사랑해요 는 참았다 얼빠라 미안해..
-
시대 차주현t 5
그냥 친절한 강기원이라 다음수업도 기대됨
-
작년 평가원.수능기준 하이커리어가 백분위 96 젤 못쳤을때(실수투성이) 백분위...
-
이대 꿀팁 5
기숙사 안에 미용실 2만원대인데 친구 레이어드 컷 맛깔나게 잘해줌 외부인도 머리 가능
-
다들 재수할 때 운동 10
보통 언제 얼마정도 하셧음???
-
입시 상담같은거 0
유료로 받을수 있는 곳이 있나요? 사탐과탐 선택과목 뭐할지나 어느학원 다닐지,...
-
자 이제 탈릅해볼까
-
우와 새르비 5
너무 오랜만이다..
-
방법이 궁금합니다.
-
탈옯창이군아.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사실 아닙니다
-
문붕이 기하 0
작년 수능 직전 모의고사까지 못해도 높3~낮2는 떴는데 작수 확통에서 27번부터 쭉...
-
난청이있는건지 발음을 하나도 못알아듣겠음 한국어 해석하는데 에너지를 너무 많이 씀...
-
ㅇㅈ 22
생일이에용
-
약간 싸이코패스된것같음 21
존나뜬금없이 부모님 이혼통보받았는데 전혀안슬퍼서 그냥그렇군요... 한다음 바로...
-
현역 정시파이터이고 선택과목은 현재 언매 미적 생명은 좋아해서 계속 들고가려고...
-
젭알
-
지구1 1등급 지구2 1등급 둘 중 뭐가 더 어려움???
-
학고 반수할건데 지금 미리 친목 쌓아두는 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용히...
-
ㅅ 0
ㅜ ㄹ ㅅ ㅜ ㄹ
-
많이아픈건 아닌데... 자려고 누우면 허리가살짝아픔 원래 그런가
망했다 ㅠㅠ
모의고사를 망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 홧팅!!!!
홧팅! 오늘 비문학 지문 정말 좋고 재밌었어요
그래서 성적도 재밌게 나온듯...
자학하지 마시고~~~
88점 틀린 번호8.12.22.30.32번 인데
제가 틀린거랑 오답률 상위에 있는 문제들이 너무 다르네요
제가 뭐가 부족한걸까요
정말 걱정 됩니다.
작년 수능 비문학 30번
문학 4문제
문법 11번 틀렸었어요
지금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ㅠㅠ
한번만 도와 주시면 안될까요??
기운 내시고 수업 끝나고 나도 좀더 고민을 해 본 후에 답글 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시험의 틀린 문항만 가지고는 상태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1) 작년 수능에서는 문학을 많이 틀렸는데 이번에 문학에서 틀리지 않았다는 것은
정말 문학에서 실력이 는 것인지 아니면 모의고사는 수능과 다르게 EBS가 100퍼 연계되니까 EBS에 익숙해진 결과인지를 냉철하게 돌아봐야 할 것 같구요.
2) 올해 푼 평가원 및 주요 모의고사를 다시 검토하면서
틀렸던 문제 외에도 결과적으로는 맞았지만 100퍼 확신이 없었던 문제들까지 보면서
자신이 하는 실수들의 목록, 자신이 명확하게 정리하지 못한 개념들을 챙겨보는 것이
현실적으로 제일 실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늦어 미안하고
건투를 빕니다.

정말 감사합니다너무 무작정 문제만 풀고 있어서 걱정되네요
다시 국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선생님 12번에 2번선지요
그 강사(주어)는 수업이 (대상) 있으시다
에서 그강사는 수업을 갖고있다는 have라는의미의 '있다' 라는 동사니까 선어말어미 '시'는 간접높임이아닌 그냥 주어의 행위를 높인것아닌가요?
'그 강사가 수업이 갖고 있다'는 한국어가 아니지요.
그 강사는 수업이 있다.
에서 있다의 주어는 수업이가 되고 '수업이 있다'가 문장 전체의 주어가 되겠지요.
'있다'에는 have라는 의미가 없어요.
존재와 소유는 전혀 다른 개념이지요.
에리히 프롬의 To be or To Have를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