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반생 [790893] · MS 2017 · 쪽지

2018-09-27 00:41:38
조회수 13,865

생활과 윤리 요나스 총정리 (26부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540140

요나스에 관련해서 나올 수 있는 아리까리한 선지나 제시문들 다 모아봤어요
제가 인강듣거나 문제 풀면서 필기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출처는 모릅니다ㅠㅠ


  • 모든 생명체는 내재적, 본질적 가치를 가진 목적 자체
  • 미래세대의 생존에 방해되는 어떤 행위도 하지 말아야 함.
  • 프로메테우스 비유:
     - 모든 힘은 파멸시키는힘이 아님 힘은 존속, 파멸 둘다 가능
     - 미지의 미래: 공포의 발견술, 권리에 상응하는 의무 X
     - 미래 인간, 생명, 자연 다 고려!
  • 인류가 따라야 할 최고의 의무는 인류의 생존이다
  • 악의 인식이 선의 인식보다 무한히 쉽다
  • 모든 책임의 원형은 인간의 인간에 대한 책임 ->자연까지 확대
  • 인류의 존속 : 제 1명령, 절대적 도덕명령
  • 두려움이나 경외심 같은 도덕적 감정이 책임의 중요한 동기가 될 수 있음
  • 정언명법: 무조건적
  • 누구인지 모르고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관계까지 책임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 인간은 지구 전체에 대한 권력을 갖고, 인간만이 책임질 수 있는 존재
  • 악의 표상을 이용하긴 하지만 선의 표상을 거부하는 것을 아님. 도덕적 반성을 통해 선을 인식하려 노력해야 함. 하지만 선의 표상보단 악의 표상에 주목해야 함.
  • 자연과 모든 생명은 직접적인 도덕적 고려 대상
  • 새로운 윤리학은 행위의 효과와 인간적 활동성의 지속 간의 일치를 지향해야 한다.
  • 인과적 책임을 배제X -> 인과+존재론적 책임
  •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근거로 작용 가능하다
  • 예견할 수 있는 모든 것 책임 + 예견할 수 없는 결과에도 책임
     - 생명은 자유로운 존재이므로 애초에 ‘예견 가능’한 것이 아니다.
  •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책임을 포함한다.
  • 인간은 각 생명의 목적 달성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지녀야 한다.
  • 인류 존속의 문제와 생명에 대한 외경은 상호독립적인 문제일 수 없다.

미래지향적 책임은 공리와 효용의 관점이 아니라 책임 대상의 존재에 의해서만 타당성을 지닐 수 있다.


반응좋으면 다른 학자들 총정리도 해볼게요!

0 XDK (+110)

  1. 100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