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앞두고 불안한 마음 다스리기.txt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260756
얼마전에 여고(!)로 3박 4일동안 교육봉사를 다녀왔습니다 ㅎㅎ.....
대학생 20명 정도가 고등학생 40명 정도를 데리고
본인들이 설계한 수업(레크레이션, 게임 등 교과와 관련없이 설계한 수업)을 진행하는 거였는데요.
예상하시듯이 굉장히 행복한 시간이었고,
또 오랜만에 고등학교의 모습을 접할 수 있어서 느끼는 것도 많았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했었는데요.
수업만 하고 끝날 줄 알았는데, 애매하게 비는 시간이 있어서
교육봉사 동아리 총괄하시는 분이 저 포함 4명 정도의 사람들한테 5~10분 스피치를 시켰습니다.
"지금 고3들한테 해주고 싶은 자기 얘기"를 주제로요.
듣자마자 머릿속이 깔끔하게 백지가 되고, 공포감이 슬슬 몰려왔었는데
우여곡절 끝에 머릿속에 떠오른 얘기가 있었습니다.
다행히 제 얘기를 들어준 학생들도 용케 싫은 티를 안 내줘서 잘 마쳤고요.
그래서 지금, 학생들 앞에서 했던 얘기들을 회상함과 더불어
그 곳에서 미처 못다한 얘기를 글로 써보려고 합니다.
제가 학생들에게 무슨 얘기를 해줄지 생각할 때,
"수능을 100일도 안남은 시점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게 무엇일까?"
가 가장 먼저 떠올랐습니다.
저는 가장 힘들었던 게 "내가 지금 열심히 하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을까?",
"과연 1등급이 나올까?", "얼마 전에 수시 넣었던 거 그거 붙을까?" 하는 고민들이었습니다.
내가 지금 뭔갈 하고 있기는 한데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없을지 굉장히 걱정이 많이 됐어요.
이럴 때 "저는 비록 불안했지만 나를 믿고 끝까지 최선을 다했고,
결국 결실을 맺어서 원하는 대학에 합격했답니다!"
라고 썰을 풀면 참 감동적인 장면이 될 수 있었을
텐데....
저는 목표했던 대학에 붙지 못했습니다.
저는 수시에 올인했었고, 수학교육과를 너무 가고 싶어서 6개 전부 수학교육과를 썼었는데요.
4개 전부 1차에서 광탈하고, 나름 안정/하향지원이라고 생각했던 2곳만 겨우 붙었습니다.
지금도 기억이 나는게, 제가 어떤 학교 수학교육과에 서로 다른 2개 전형으로 넣었는데요.
그 학교 발표날 친구들이 결과 궁금하다면서
저희 반에서 아이패드로 입학처 홈페이지를 띄워줬어요.
반애들 여럿이 모여가지고 수험번호를 딱 입력했는데,
2개 전형 전부다 불합격이 찍혀 있었습니다.
그때의 정적, 냉랭함이 아직도 기억이 나네요.
친구들 다 자기 자리로 돌아가고 자습하는데, 그때는 좀 서러웠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이런 걸 회상하면 "그래 내가 그때 열심히 못했지", "그때 내가 덜 놀았어야 됐는데"
라면서 자신을 책망하곤 했는데, 요즘 들어 생각이 바뀌어 버렸습니다.
"난 그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건 다 했었는데. 공부도 할 수 있을땐 무조건 했고,
쉰 것도 그 정도도 안 쉬면 내가 버틸 수 없었고, 그랬는데 왜 안 됐을까."
이렇게 생각하게 됐어요. 이러다보니 자괴감이 더 깊어질 때도 있었는데
그러다가 문득 깨달은 게 하나 있습니다.
"열심히 하는 건 나한테 달렸지만, 결과는 나한테 달린 게 아니었다."
제가 열심히 수능을 분석할 것인지, 기출을 몇회독을 할 것인지는
철저히 제가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었어요.
그런데, 수능에서 1등급이 찍힐 것인지 안 찍힐 것인지는
나 아닌 다른 모든 학생들이 몇 점을 받았느냐에 달렸던 거죠.
내가 1등급을 받을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저는 짝사랑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고 보는데요.
내가 좋아하는 사람을 생각할 때마다 너무 간절하고,
그래서 매일 선물을 사다주던 집에 데려다주던 그건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내 진심을 받아줄지 말지는 나한테 달린게 아니잖아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 사람이 싫다면 싫은거죠.
난 그냥 마음을 바꾸려고 노력할 수 있을 뿐이지,
진짜로 마음을 바꾸는 건 상대방이니까요.
저는 고3 학생들이 원하는 대학, 원하는 성적에 짝사랑을 앓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생각보다 아주 간단해집니다.
"오늘 내 할 일을 제대로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딱 그것 뿐입니다.
"이렇게 하면 1등급이고, 저렇게 하면 3등급이다."
이건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통제 가능한 것에만 집중해야 합니다.
남은 시간동안 끊임없이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과 내 통제 밖에 있는 것을 구분해야 합니다.
그래서 통제 불가능한 것에 매달리는 고민을 줄여 나가야 합니다.
원하는 대학을 위해 오늘 하루 열심히 공부하는 것,
원하는 성적을 위해 오늘 하루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내가 컨트롤할 수 있지만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는 것, 원하는 성적을 받는 것은 내가 컨트롤하는 게 아닙니다.
이를 철저히 구분지어 보면 내가 해야하는 고민의 수가 상당부분 줄어듭니다.
이 글을 읽는 단 한 명이라도, 제가 수험생활 때 겪었던 고민들에서 빠져나올 수 있길 바랍니다.
이건 분명히 여러분들이 컨트롤하실 수 있습니다.
------------------------------------------------------------------------------------------------------------
작년 이맘때쯤 다른 곳에 써둔 글입니다.
벌써 1년이 다 되었나 하는 생각에 오르비에도 올려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 붙은거 좀 신기하네..
-
질문 받습니다 0
ㅇㅇ
-
작수 봤을때 국어 간당간당하게 3정도 커트 겨우 맞췄고 수학은 안정2정도 나오고...
-
나도 점봣는데 1
귀에 점잇음 나
-
양쪽어깨높이 평소에 다름 골반높이다름 왼다리가 눈에보일정도로 오른다리보다...
-
결혼은 무조건 32살 이후에 하라니요.. 할 수 있으면 빨리 하고 싶었는데
-
의외로 한번 하니 그다음부턴 쉽더라
-
미기확 전부 기반있는데 미적은 제 한계가 97같고 확통은 고점이 낮아서...
-
팩트는 졸업만 해도 28이라는 것임... 졸업 전까지 연애는 할 수 있을까
-
통매음 무서운거임 15
대놓고 선넘으면 안되는거임
-
사람 안만나니까 떨어지는듯..
-
귀여워
-
무물보 21
안해주면 삐짐
-
혹시 의대에서 의대반수할거면 그다음 내용궁금한뎅.
-
뜬금없는 문잘 보내보지 난 어떻게 해볼까란 뜻은 아니야 그냥 심심해서 그래 아니...
-
3센치의 기적 잇나
-
1명빼고
-
삼수할건데 탐구 바꿔야해서 근데 뭘해야할지모르겟어여 현역 물1 4등긎 생1 2등급...
-
일단 난 김종웅t 수강생은 아님 메가캐스트 종종 챙겨봐서 아는 정도였음 김종웅t...
-
매일매일 헬스장가기 삼시세끼 맛있게 먹기
-
얘들아 안녕~~
-
엄마동생 다잇고 나도 분명히잇을거같은데 한번도 그런소견이 나온젓이없음 근데 동생은...
-
배드즈가 뭐냐구요? 뭐게요
-
26학번 진학 예정이라 ㅎ
-
현우진만 빼고요…
-
오늘 계획 3
3시 친구와 헬스 등이두 끝나고 택시타고 곱창먹으러감 5시에 가서 바로 줄서야됨...
-
그래서 모밴이뭐야 10
모바일밴스드라는데 친절하게알려줄 천사
-
안젤리나 졸리
-
술 좋아라는 글을 쓴 기억이 읎어
-
아닌가
-
굿즈가 있다면 12
배드즈도 있나여?ㅋㅋㅋㅋ ㅎㅎ
-
시비걸었다고 쪽지로 욕박고 차단하는사람없음
-
1통이 되려면 8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
엄마가 너 어깨 높이가 다르다 해서 병원가봣는데 발목다리골반목 다틀어지고 어깨만...
-
생윤, 화학 이런식으로 과탐사탐 섞어서는 수능못보져??? 걍 궁금
-
내 기준 최강인강 강사 16
대 종 웅
-
인강 권용기쌤밖에 안들어봐서 도저히 감이 안와요,,, 25수능 백분위 85인데...
-
사실 에타 1년정지먹어서 글을 못써 ㅋㅋㅋㅋㅋㅋㅋ
-
야 코ㅋㅋㅋㅋ 걔 맞음
-
디톡스해야겠다
-
아니 나의 세상이 무너졌다
-
사우나를 가지않는이상 모루나 직장 건강검진때나 가서야 알게되남
-
ㅈㄴ 남자답고 뇌섹남임 ㄹㅇㅋㅋ
-
해서 얻는게 없을텐데
-
물론 대학이 끝이 아닌건 알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근데 막상 들어와보니 여기서부턴...
-
뼛속까지 꼬인 패배자인지라 무의미한 반박을 계속했을 뿐
-
사진을 올리느것도 아니고 디엠이 오는것도 아니라 없어도 될고같다
-
수험생 시절 기준이니까 이의 있어도 이해 해 ㅎ 김기현 박석준 김종웅 강영찬 강윤구...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