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기출을 다 찾아봐야 명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출제가 안된다는 확신은 없네요. 예를들어, f(x+a)=f(x) 꼴의 관계식을 문제에서 제시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를 풀기 위한 과정에서 단순한 대입정도의 정보만을 요구한다면 문과범위에서 출제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곧장 떠오르는 문과기출이 바로 생각나지 않는걸 봐서는 적어도 자주 출제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저도 확인을 해본게 아니라서... (일단은, 내신공부를 하다보면 문과학생들도 기본적으로 다 알게되는 지식이라 저도 크게 신경을 안쓴탓이 있네요.)
일단 '주기함수'라는 용어는 미적분2에서 소개되기는 합니다.
그렇다면 문과에서는 언어는 배제된채로 나오는건가요? 아님 나오지 않나요?
그것은 기출을 다 찾아봐야 명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출제가 안된다는 확신은 없네요. 예를들어, f(x+a)=f(x) 꼴의 관계식을 문제에서 제시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를 풀기 위한 과정에서 단순한 대입정도의 정보만을 요구한다면 문과범위에서 출제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곧장 떠오르는 문과기출이 바로 생각나지 않는걸 봐서는 적어도 자주 출제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저도 확인을 해본게 아니라서... (일단은, 내신공부를 하다보면 문과학생들도 기본적으로 다 알게되는 지식이라 저도 크게 신경을 안쓴탓이 있네요.)
자세한답변 감사드립니다!
네 뭐 빈번히 보이던데요
그렇군요
연속성 미분가능성 적분 등등에서..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