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훈기출] 2017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나형 분석집 (교과서+기출 만으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667275
2017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분석집.pdf
2017학년도 수능 수학 나형 분석집.pdf
안녕하세요. 이동훈 기출문제집의 이동훈입니다. :)교과서, 평가원 기출문제 만으로 분석한2017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나형 분석집.pdf입니다.이번 분석집을 만들면서 느낌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평가원에서 신문항을 만들 때의 방식은 변하지 않는다.(기출 문제들을 2~3개 이상 결합하여 출제하기(난이도 UP),기출 문제의 일부를 출제하기(난이도 DOWN),난문일 수록 교과서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풀리도록 출제하기,... 등등)(2) 어려운 문제일 수록 교과서의 기본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하고,교과서의 예제의 전형적인 풀이를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즉, 풀이가 막혔을 때, 교육과정 외 같은 딴 생각을 말고,교과서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3) 교과서+평가원 기출 만이 수능 수학 대비의 전부는 아니지만적어도 이 두 가지에 대한 학습은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이루어져야지만수능에서 고득점이 가능하다. 분석에 참고한 교과서는 미*엔이며, 기출문제집은 이동훈 기출문제집입니다.감사합니다~ :)atom 책 페이지http://atom.ac/books/388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고2인데 선택과목으로 수학과재탐구를 들을지 기하를 들을지 너무 고민돼요 제가...
-
문디컬 약대가 미적과탐으로 틀어서 가는 것보다 빠르겠지? 0
과탐가산 5%를 감안해도?
-
"진짜 93세 맞아?" 이길여 총장 근황 화제…허리 꼿꼿·머리숱 풍성 2
[파이낸셜뉴스] 올해 93세를 맞은 이길여 가천대학교 총장이 최근 건강한 모습으로...
-
말이이상한데암튼
-
6월까지 강대에 있다가 나와서 그냥 동네 스카 다녔었늠 (12시에 자고 6시30분에...
-
입실 0
-
국어 수학 영어 9평 기준 각각 몇년도가 가장 어려웠나요???
-
그러고 나서 이해원 미적 시즌2를 사는거야 샤인미 미들까지 7일컷 조져야겠다
-
사문 도표 0
심기일전에 있는 모든 유형을 워크북까지 풀어야할까요? 부양비,사회이동,사회보장제도는...
-
독재다니는데 이쁜애는 보이는데 잘생긴 오빠는 한명도 없네
-
사문 수특수완 0
수특은 내신 범위만 조금 풀었었고 수완은 전범위 대충 풀어보긴했는데 사문 수특 수완...
-
몇 시에 독서실 가시나요
-
여태 커리 안 타고 그냥 문제만 풀었었는데 뭔가 파이널 루틴 잡으려면 누구 커리...
-
남자는 왜그럴까 4
실모치다보면 다리떨고 가만있지를 못하고 코 훌쩍이고 목 가다듬고 불안해하는 애...
-
내 사는 곳 근처에는 9덮 받아주는 외부생 학원이 없어ㅠㅠ 10덮 10섶 11섶 신청이나 해야지ㅠㅠ
-
신발깔창 밑에 폰 넣기 보관도 신발깔창밑에 넣은 채로 기숙사 입구에 떡하니 두면 절대안들킴
-
일욜에 단과 서바보고나면 10시인데 셤보고 바로 이해원 현장응시 10:30이라...
-
늘 느끼지만 1
실력과 실모성적은 전적으로 비례하지 않는 듯 N제는 최대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
어제 칸타타님이 2
우리 기숙 숙소에 핸드폰 밀반입하는 꿈 꿨음
-
아직 다 나오지도않았는데 오늘 15만원썼다 하....
-
거죽기딱 0
좋은 날씨네
-
화확정사 75 55 48 43 궁예질 삽가능입니다
-
교육과정 바뀌고나서도 과외 가능함.. 지금 생각해보니 확통런이 무조건 이득이었네 난...
-
6평 84 7월교육청 85 8덮 69 9평 72 9월전대실모 68 근데 작년10월...
-
ㅇㅇ?
-
나옴 5
지각 연속 3일 안 하기 신기록 ㄷㄷ
-
등원 3
시원하네요 더프 화이팅 “무언가가 정말 간절하다면, 승산이 없어 보여도 도전하라.” - 일론 머스크
-
ㅅㅂㅅㅂㅅㅂㅅㅂ
-
원래도 위생안좋은거ㅈ알고있었는데 지금 주인장 바뀌고 위생도 안 좋고 맛도 없음....
-
9모는 89점이었지만 지난주에 서바를 59점 맞은 뒤에 (ㄹㅇ 지문 이해한 문제가...
-
심장이 예전부터 안 좋았기도 하고, 지금 두통 때문에 죽겠는데 그냥 더프 응시라도 하는 게 좋겠죠?
-
화미 사문생1 93 96 3 91 96 인데 남은 55일동안 뭘 해야될까요
-
4덮 76 5월 전대실모 64 6월 평가원 87 7덮 93 8덮 78 9월 평가원...
-
더프 2
화이팅!!!
-
오늘도 2
최선을!
-
뭐야언제잠들었지 0
일어나보니까 폰도 없어서 탭에서 내기기찾기 함..
-
나도 축제.. 가고싶었어
-
브라키오사우르스의 토사물을 맞고 죽은사람은 왜 없을까?
-
분위기, 시설, 급식 궁금해요
-
ㄹㅇ.
-
정신 나갈 거 같다. 빨리 자야 할 거 같다. 현재 대부분의 과목의 감이 돌아왔고...
-
내일 야곱먹어야겧다
-
기차지나간당 6
부지런행
-
잘자 0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
수능출정식 공지 쓰는데 게슈탈트 옴
-
자야지 7
굿밤
-
음 뻘글을 슬슬 지워야갰군요.
-
‘감성충’ 2
조합 ㅈ되는부분이구요
-
이게 그림만 보면 굉장히 찍기 같아 보이는데 사실 귀류 하나 쳐서 필연적인 대칭성...
-
엄..
감사합니다 기출문제집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면서 의문이 드는 점들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
기출문제집 선생님꺼로 선택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올해 원하는 바를 꼭 이루시기를 바래요~ ^^
기츨문제집으로 공부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꾸준하게 열심히 공부하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거예요~ ^^
감사합니다 쌤! 이동훈기출문제집으로 열심히, 정직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직함에 대한 보상이 꼭 있으실 거예요. ^^
2쇄 혹시 언제 나오나여?!
아직까지는 1쇄가 넉넉히 남아있어서요. 2쇄 출간 시기는 가늠하기 힘듭니다. ^^;
미적분1 풀고 있는데요 작년 9월 21번 풀이는 교과서의 어떤 내용을 따른건지 잘모르겠어요... 미분이불가능한점을 그림을 그려서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걸 교과과정에서 어떻게 추론할 수 있나요?? ㅠㅠ
예를 들어 교과서의 본문에는 4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1) 극대, 극소를 모두 갖는 경우 (2) 극대 혹은 극소 중에서 하나만 갖는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교과서에는 (1), (2)에 해당하는 4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이 모두 제시되어 있긴 합니다.) 4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1), (2)로 구분하여 (더 나아가 ->(2)를 서로 다른 3가지의 경우로 구분 -> 대칭이동(+정적분 관점 포함)시켜 세분화하여 구분) 접근해야 하는 문제는 평가원 기출문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실전개념이라고 부르는데요. 수능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서는 교과서 학습과 더불어 수능/평가원 기출문제에 대한 연습, 이 과정에서 실전개념들에 대한 의식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 실전개념이 특별한 것은 아니고, 기출문제(사실은 잘 만들어진 문제집들, 예를 들어 정석)을 풀면 저절로 익혀지는 것들입니다. 모두 수학적으로 중요한 것들 뿐입니다.
작년 9월 나형 21번의 경우에는 함수 h(x)를 f(x) (x크거나같다a), g(x) (x작다a)로 주었을 때, h(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이는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지요.) 즉, 두 곡선의 위치관계를 따지는 문제였는데요. 이에 대한 평가원 기출문제는 여럿 있습니다. 원본 문항은 2007학년도 가형 7번 정도일 것이구요. 그런데 주로 이와 관련된 기출문제는 가형에 있어서, 나형 응시자 분들은 답을 맞추었더라도, 뒷맛이 깔끔하지는 않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형인데 나형도 봐야할까요?
가형 응시자의 경우 수학1, 수학2는 간접출제범위입니다. 이 두 과목은 교과서의 개념을 이해하고, 교과서의 문제들을 능숙하게 풀 수 있는 정도로 학습하시면 됩니다. 수능/평가원 기출문제 풀이의 과정에서 수학1, 수학2를 간접적으로 연습하게 되므로, 별도의 단원별 문제집을 풀 필요까지는 없습니다.(기출문제를 풀면서 수학1, 수학2에서 막히는것 같다면 얇은 단원별 문제집을 풀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수능 가형에서 수학1, 수학2가 간접연계될 경우, 교과서의 개념, 교과서의 예제 수준에서 연계되기 때문에, 심화학습까지 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단, 미적분1은 간접출제범위입니다만, 수학1, 수학2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미적분1의 개념설명이 미적분2에는 생략되어 있으므로, 미적분1은 미적분2에 대한 직접적인 선수과목으로 보아야 합니다. 미적분1은 교과서와 수능/평가원 기출문제집을 모두 푸는 것이 좋습니다. 단, 미적분1의 수열의 극한, 급수는 평가원 기출문제까지 반드시 풀어야 한다고 말하기는 좀 힘들것 같습니다. 풀면 더 좋겠지만요.
지금 겨울방학때 헛공부 하고 다시 제대로 개념 잡고 있는 고3 현역인데, 6월 모의고사 대비로 봐도 될까요?
제가 만든 분석집, 기출문제집 모두 수능대비용이므로, 6월, 9월 모평 대비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궁금한게 있는데요 혹시 교과서랑 참고서랑 다른게 뭘까요..? 교과서 볼지 개념서를 다시 볼지 생각중입니다..ㅎ
교과서와 참고서(정석, 수학의 바이블, ... 같은 개념서 혹은 쎈, ... 같은 문제집)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는 평가원이 감수/허락하였고, 후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교과서에는 수능대비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과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교과서의 정의/정리/성질/법칙/공식과 예제는 체화되어야 합니다. (일부 정리/공식은 스스로 증명이 가능해야 하구요.) 수능/평가원 기출문제는 확장된 교과서이므로, 이 역시 체화시켜야 합니다. 참고서는 말뜻 그대로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위한 책 입니다. 교과서 학습만으로는 부족함을 느끼는 학생분들 (대부분의 학생분들이 그러하겠죠)은 정석 같은 책의 내용설명이나 필수예제를 통해서 심화된 이론을 공부하고, 쎈 같은 책의 문제들을 풀면서 문제풀이 양을 늘려가는 것입니다. 수능대비에 있어서 교과서와 수능/평가원 기출문제(가 당연히도 모든 것은 아닙니다.)는 절대적입니다. 하지만 참고서들이 주는 이득이 분명 있으므로, 어느것하나 소홀히 할 수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