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주의 타파해야한다vs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865004
ㅈㄱㄴ 솔직하게 눌러주세용
+순수하게 오르비언들 의견을 여쭤보고싶어서
해보는겁니당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습자 중심의 분석이란? ‘문제가 이런 유형이다’, ‘문제의답은 이렇게 찾을 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865004
ㅈㄱㄴ 솔직하게 눌러주세용
+순수하게 오르비언들 의견을 여쭤보고싶어서
해보는겁니당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학습자 중심의 분석이란? ‘문제가 이런 유형이다’, ‘문제의답은 이렇게 찾을 수...
타파해야한다
타파하면 안된다
기능론자라서 후자
타파가 될 가능성 없을듯 적어도 우리나라에선
타파는 해야하는데, 저런식으로 편승은 에바임;;
닥전임ㅇㅇ학벌로 그 사람을 절대적으로 평가할 수가 없고, 우리나라는 학벌주의가 정말 심한듯
우리나라 학벌주의가 심한건 맞음
어느정도는 있되 대학 진학 후에
노력으로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지금보다 완화되는 것이 좋을듯
타파하는건 좋은데 방법이 없음
학벌주의는 좋은거에여
학벌이 낮다고 기회를 아예박탈하는게 나쁜거에여
그게 학벌주의 아님??
학벌주의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른거지
기회의 빈도에 차별을 두어야하는것은 당연하다는 의미에요
제가 찾아본 학벌주의는 학벌을 중요하게 여기는 입장이나 태도. 또는 개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어느 학교 출신이냐에 따라 차별을 받는 사회현상. 이라 나와서 능력상관없이 학벌로 기회박탈하는걸로 봐서요
뭐든 적당한게 좋은것 같습니다
타파하면 안된다. 이렇게 하나씩 능력과 노력에 따른 보상을 없애나가면 학벌 뿐만 아니라 나머지 분야에서도 능력과 노력에 대한 보상을 없애고 결과의 평등을 이루자는 분위기가 득세함.
적어도 조선에서는 불가능합니다
학벌주의가 심하면 문제지만
기회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면 학벌은 그 사람만의 장점이죠
22222
제가 군대에 있어본 결과
일단 그 사람이 일을 잘하냐 못하냐는 적어도 6개월이상걸리는거 같아요 .
그런데 이것도 어찌보면 굉장히 주관적인데
다른 것도 있겟지만
그나마 노력의 상징인 학벌로 객관적평가할수 있기 때문에 저는 전자
학벌주의 타파는 힘들지만 그 영향력이 너무 막강하지 않는 선으로... 진학 후에도 노력에 따른 대가를 얻을 수 있는 공정한 사회 조성
반대쪽이지만 학벌의 뒤에 숨어서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들은 걸러야 한다고 생각. 뭐 무한 경쟁 시대이니 저런 분들은 거의 없으러라고 생각
좋은 학벌을 가진 것 대해서 그만한 대우를 해주는 것은 어느정도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만, 좋은 학벌이 없을 경우에 더이상 넘기 힘든 벽이 있다면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학벌이 어느정도 중요하다가 아니라 그걸 넘어선 "학벌주의"라면 타파...
학벌주의는 그 자체로 부정적 표현이라 타파가 맞지만, 학벌에 차등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며 해소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임.
또한 서류로 사람을 판단할 때 보기 가장 편한 지표가 학벌인 것은 사실.
이상적으론 모든 지원자와 같이 몇년씩 일해보면서 좋다나쁘다를 갈라야 하겠지만 현실적 어려움으로 학벌이란 그나마 가까운 지표를 이용하는 것.
학벌은 업무능력과 다르다고 하겠지만, 현재로선 가장 확실한 지표임.
조직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직무 수행능력 지표 중 논리성이나 추론능력 인지능력등이 직무능력에 중요한 것으로 나오는데 이를 테스트하는 제도가 수능이기 때문. 교수도 심지어 '그래서 대학보고 뽑는게 맞다'라고 할 정도.
따라서, 이론상으론 문제가 있으나 현실적으론 (학벌을) 가리게 되는 것 같다. 라고 하겠음.
또한 이것이 절대적 벽이 될 순 없단 것에 전적으로 동의함. 분명 아웃라이어는 존재하기 때문. 다만 일반적인 차원에서의 능력 평가엔 학벌이 쉬우며 비교적 정확하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