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저의 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785959
저도 국어 때문에 고생한적이 있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어요!
우선 저는 16수능 때 국어를 4등급 받고 재수 때는 똑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나름대로 분석을 해봤어요. 분석해본 결과 저는 비문학 지문을 읽을 때 눈은 읽고 있는데 머리가 이해를 하지 못하고 정보를 튕겨내더라구요.
아마 비문학 때문에 고생하는 대부분이 같은 현상을 겪을 거에요ㅎㅎ
그래서 저는 우선적으로 독해력과 집중력을 키워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 두개를 키우기 위해서 재수 시작하면서 씨리얼 비문학 문제집 하나 사서 지문을 놓고지문에 하나도 손 안대고 머리로만 이해될 때 까지 집중해서 읽었어요.
처음에는 지문 한개 읽을 때 2~3시간 걸리는 것도 있었고 그렇게 해도 이해가 안되는 지문은 A4용지에 이해가 될 때까지 베껴썼어요.
그렇게 하다보니 어느 순간 느리지만 머리로만 차근차근 이해하게 되었고 결국엔 남들보다 빠른 속도가 되었어요.
그리고 비문학 지문을 심도 있게 읽다보면 어느 순간 모든 비문학 지문에는 글의 구조가 존재한다는 걸 알게되실 거에요.
예를 들어 16수능에 출제 되었던 도덕적 운 지문 아시죠? 그 지문만 하더라도
1문단에서 도덕적 운에 따른 평가를 부정(화두를 던짐).
2~4문단에서 도덕적 운 종류 설명(주장하기 위한 개념 정의).
5문단에서 위 내용을 근거로 1문단에서 언급했던 도덕적 운에따른 평가가 불가능 하다는 사실을 정당화(진짜 주장).
6문단에서 이러한 한계에 대한 보완점 제시(결론).
이런식으로 거시적으로 보면 글이 각각 덩어리로 구성되 있다는 걸 알게되실 거에요! 근
데 독해력이 상당한 수준이 되면 글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구조 파악이 되긴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어려운 글이나 이해가 잘 되지 않을 때는 서론 읽고 대충 구조 파악부터 하고 천천히 글을 읽어나가니까 도움이 되더라구요.
그리고 지문에 밑줄이나 기호는 문단에 1~2개 정도만 키워드 중심으로 간단히 표시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괜히 거기에 집착하니까 집중이 잘 안되더라구요!
그리고 문법이랑 문학은 인강으로 개념 정리하고 문제 많이 풀면 자연스럽게 늘어요!
그리고 국어 시험 볼 때 이까짓 한장도 안되는 지문 다 정복할 수 있다는 자심감으로 임하세요ㅎㅎ 이번에 재수하신다면 꼭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그리고 제가 말을 횡설수설해서 이해가 잘 안 될 수도 있는데 다시 물어보셔도 돼요.
저의 비루한 글을 요청하신 분들이 계셨는데 이상하게 제 컴퓨터에서 복사해서 쪽지 보내는게 안되요ㅠㅠ그래서 게시글로 올리고 링크 보내드리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문제는 수능날 저게 안먹혔음 ㅠㅠ.. 비문학 30분넘게 남아있었고 긴장한것도 아닌데 그냥 안읽혔네요..
ㅠㅠㅠ너무 안타깝네요ㅠㅠ국어는 참 알다가도 모를 과목이긴 해요...
"지문을 놓고지문에 하나도 손 안대고 머리로만 이해될 때 까지 집중해서 읽었어요."
좋은방법인것 같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진정한 독해력을 기를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움 많이받고 가요 감사합니다!!
넹ㅎㅎㅎㅎ내년에 꼭 국어 만점!!
질문있는데요.. 그럼 서론읽고 구조파악부터 하는게 장기적으로 봤을때 더 빠른건가요??
서론에서 앞으로 전개될 글의 구조를 알려주면 전체 지문을 읽는데 있어서 속도를 조금 더 높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글도 있기 때문에 저는 독해하면서 자연스럽게 구조를 파악하는게 더 괜찮은 것 같아요! 그리고 구조 파악부터 시작하면 아무래도 그냥 읽을 때보다는 덜 꼼꼼하게 읽게되더라구요ㅠㅠ 그래서 꼼꼼하고 능동적으로 독해하는 연습부터 먼저 하고 그게 숙달되면 구조 파악은 당연히 자연스럽게 될 뿐만 아니라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