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60328
책이나 강의를 들어보면?
두함수 f(x)와 g(x) 가
각각 x=a 에서 미분가능하면 f(x)g(x)
도 미분가능하다.. 라고 나오는데..
책을 찾아봤는데 내용이 없는거 같아서요
혹시 있는 내용이면 있는곳좀...
없다면 내용좀 알려주세요..
혹시.. 미분계수가 평균변화율의
극한값이라서 ...
그런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해클리닉 37] 문장 결합 문제 풀이 방법 - 관계대명사 0
레슨 목적 당연히 두 개 이상의 문장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문장은 더 많은 정보를...
-
레슨 내용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형용사 기능을 수행하는...
그거 f(x)와 g(x)가 서로미분 가능하니까
둘다 연속함수라고 할 수가 있죠.
둘다 연속함수니까 연속함수끼리 곱하면 연속함수가 나온다는
조건하에서 f(x)g(x) 는 연속함수가 되죠.
그리고 그래프 아무거나 정해서 그려보면 f(a)g(a)도 f(x)g(x)가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에 놓이게 될거에요. 한번 해보세요.
{f(x+h)g(x+h)-f(x)g(x)}/h={f(x+h)g(x+h)-f(x+h)g(x)+f(x+h)g(x)-f(x)g(x)}/h
={f(x+h)g(x+h)-f(x+h)g(x)}/h + {f(x+h)g(x)-f(x)g(x)}/h
=f(x+h)[{g(x+h)-g(x)}/h]+g(x)[{f(x+h)-f(x)}/h]
양변에 h->0의 극한을 취하면,
{f(x)g(x)}' = f(x)g'(x)+f'(x)g(x)로 문제없이 f(x)g(x)의 미분계수가 잘 정의됩니다.
뻘댓글이지만 이걸 치시는데 박수를..
미분가능하다의 정의는 미분계수가 존재한다입니다. Schrodinge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묶어서 미분계수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지 연속성을 따져서 구하는건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