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질문 (사회 불평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03939
이지영 선생님 4step강의에서 &'불가피&'라는 단어가 맥락별로 느낌이 다르다고 배웠는데 어떻게 구분해야하나요 ㅜ
Ex)
갈등론은 기능론과는 달리 사회 계층화 현상을 불가피한 것으로 본다. (불가피-> 필수불가결하다)
갈등론은 사회 갈등을 불가피하다고 본다 (불가피-> 피할 수 없음)
그리고 위의 첫번째 예에서 만약에 불가피를 &' 피할수 없음&' 이라고 해석하게 되면, 갈등론이 사회불평등을 보편적 현상이라고 보니까 갈등론도 사회 계층화 현상을 불가피다고 보는게 맞게 되지 않나요..?
아니면 마르크스는 사회 불평등을 보편적 현상이라고 보면서도 사회 계층화는 피할 수 있다고 보는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
불가피와 보편적은 달라요
보편적은 현 사회또는 지금까지의 사회에 널리 퍼져있음을 의미하고 불가피는 말그대로 피할수없음을 의미
갈등론은 사회불평등이 보편적이지만 혁명을 통해 없애려하기에 불가피하다고보지는 않아요
+ 갈등론은 폭력혁명의 형태로 사회대립이 일어나야만 하는 필연적인 것으로 봅니다
감사합니다!!
둘다 x아닌가요?
위는 x 아래는 ㅇ 라고 배웠어요 ㅎㅎ
폭력혁명으로 갈등제거가능하지않나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