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ha [441451] · MS 2013 (수정됨) · 쪽지

2016-10-31 13:46:19
조회수 4,395

전과, 소속변경 고민하는 분 볼만한 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476008

요번 강용석 전 의원이랑 박원순 시장 그 건에서 나온 말인데


“미대에서 법대로 전과가 쉬우면 누가 서울대 법대로 시험을 보겠는가? 미대에 입학했다 전과하지···”


이거. 잘 생각해보셨으면...ㅋㅋ
예전에 종종 나오는 말이 뭐 가령 철학과 입학해서 경영대 전과, 분캠 입학해서 본캠 변경 이런거 있는데....
그게 말처럼 쉬우면 누가 갔겠습니까...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래도대학가면생기겠지 · 678008 · 16/10/31 13:50 · MS 2016

    ㄹㅇ 편입할거라고 재수안한애들중에 성공한애(지금까지 공부하는애) 1도 못봄.. 현재까지..
    다들 적응완료해서 노는중

  • Praha · 441451 · 16/10/31 13:51 · MS 2013

    외대 버리고 국민대가서 학점 학살하고 취직하겠다던 친구 국민대 졸업 평균도 못내고있음.

  • 우리가 승리합니다 · 683130 · 16/10/31 13:51 · MS 2016

    미래의 고대분교생인데 이거보고 편입을 결심했습니다

  • Praha · 441451 · 16/10/31 13:52 · MS 2013

    편입이 쉬웠으면...

  • 우리가 승리합니다 · 683130 · 16/10/31 13:55 · MS 2016

    사실 소속변경도 생각해봤으나 정신나간짓인거같아 복전하거나 이중전공 고려중이였는데 걍 편입준비해서 본캠갈려고요 재수하는것보단 쉬우니까요

  • 랄라랄 · 480626 · 16/10/31 14:04 · MS 2013

    본인이 영어를 유독 잘하는게 아니라면 재수가 더 쉬울수도 있어요.

  • Praha · 441451 · 16/10/31 14:10 · MS 2013

    과연...

  • 제르맹 · 343315 · 16/10/31 13:57 · MS 2010

    제일 멍청한 소리중 하나가 일단 들어가서 적성 안맞으면 전과하라는 소리... ㅋ 전과할려면 탑클라스 성적이 나와야하는데 안맞는 과에서 탑클라스 성적이 나오는게 참...

  • 연바 · 419534 · 16/10/31 14:06 · MS 2012

    탑클라스 성적을 요구하는 전과제도는 들어본적이 없는데..
    전과가 가능한 학교라는 전제 하에,전과를 위한 학점을 따는건 굳이 어렵지 않다고 봅니다.대체로 1학년이나 2학년 마치고 하는데 1~2학년때 과목들이야 뭐 거의다 전공기초과목이니 조금 신경쓰고 3이상만 받아주면..
    해당 학과를 수능으로 입학하기 위한 수험생 노력의 반만 해도 전과 충분하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저는..
    다만 고대나 서강대처럼 제도적으로 전과가 불가능하거나 성균관대에서 '문이'간 전과가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 제르맹 · 343315 · 16/10/31 14:15 · MS 2010

    저희학교같은경우엔 생과대에서 공대 들어올려면 4를 넘겨야했습니다. 애초에 더 성적이 더 높은과에서 낮은과로 전과를 할리는 없으니 (요샌 수시위주라 그럴수도 있겠네요) 대개 경쟁이 치열해서 그런 결과가 나왔었죠. 아시다시피 의약계열은 대부분 학교에서 아예 전과금지이고... 제가 좀 오해가게 쓰긴했는데 전 비인기과에서 인기과 갈때 매우 높은성적으로 옮기는 것만 봐왔기때문에 한 말이었에요. 수시가 주류가 된 현재 대학시스템에선 좀 다를지도 모르겠군요

  • Luna · 405382 · 16/10/31 14:15 · MS 2012

    애초에 전과 가능 인원을 제한한 학과도 있어서 사실상 탑클라스 성적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제 동생 다니는 학과가 그렇더라고요

  • 연바 · 419534 · 16/10/31 14:43 · MS 2012

    제가 과거의 일은 알지 못했고 최상위권 학과에 대해서는 빼먹고 말씀드렸네요. 각 학교의 최상위 학과는 경쟁률이 높아서 4점 이상 받아야 해볼만 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합니다..하지만 저는 제르맹님께서 말씀하신 상황이 최상위 학과를 위한 전과가 아니라,그냥 학교 간판만을 따기 위해 억지로 입학한 하위학과에서의 전과를 전제하고 이야기 한거여서 최상위과에 대해서는 생각을 못했었네요.. 그 점에 대해서는 인정합니다만,
    https://youtu.be/AD4SV5Kcf5U 이 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한양대에서 비교적 쉽다는 뉘앙스로 전과를 홍보하고 있고, 제 친구중에선 인서울도 안될 점수로 수능 점수로 선발하는 예체능학과에 진학해서 전과한 사례가 있고 뭐 이런저런 사정으로 전과에 성공한 사례가 더러 있어서 말씀드렸네요(한양대 아닙니다) 두분께서 말씀해주신 것에 대해서는 인정합니다.

  • 모아이 석상 · 694155 · 16/10/31 14:35 · MS 2016

    "마 요즘은 이상한 과가도 복전하면 된다"
    "마 요즘은 복전 개나소나 한다"
    "마 안되면 전과하면 된다"
    "마 요즘은 나라에서 등록금 안내도 되게 하지않냐!"
    "마 기숙사는 폼이가"

    죄다 케바케성 발언들이었군요...

  • Praha · 441451 · 16/10/31 15:46 · MS 2013

    물론 전과 쉬운곳도 있을거고 이것저것 다 할만할겁니다 해보면.
    그러나 요점은 그렇게 하는 사람이 다수가 아니란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는 통계라는겁니다.
    의외로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익이 돌아오는 것에 대해선 똑똑합니다.
    대통령 그래도 잘하지 않았냐? 하는 사람들도 세금 한푼 줄이는거는 법항까지 찾아보는 경우가 다반사죠.
    누군가가 홍보하듯, 누가 성공했듯, 전과 소속변경, 편입이 재수보다 평균적으로 쉬웠다면, n수생들은 소수의 호구겠죠. 그들이 편입생들과 비해 절대적 다수라는 것은 분명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 Levain · 676190 · 16/10/31 15:59 · MS 2016

    주변(동창/군대)에 전과 및 편입 성공한 케이스
    1.아주대공대-아주대의대
    2.홍익대경영-연대경영
    3.국민대경영-한양대정외
    4.고대경영학부-고대경영
    5.한양대전화기-한양대미자공
    6.대진대이공계-고대건축 개인적으론 수능이 더 쉽다고 생각함

  • 모아이 석상 · 694155 · 16/10/31 17:29 · MS 2016

    고경에서 고경..?
    그나저나 아주의 리스펙

  • Levain · 676190 · 16/10/31 18:17 · MS 2016

    아 잘못 썻네요. 조치원 경상대학-안암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