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대북송금 임기 절반 7억 6천 5백만 달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446888
<앵커 멘트>
역대 정권에서의 대북송금 규모와 내역이 KBS 취재를 통해 최초로 확인됐습니다.
이를 취재한 정치외교부 이민영 기자와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그동안 대북송금의 자세한 규모와 내역이 나오지 않았었는데 어떻게 내역이 공개됐나요?
<답변>
지금 국회에서는 국정감사가 진행 중인데요 한 의원이 자료를 요구했고 통일부가 자료를 제출하면서 그동안 장막에 가려져 있던 대북송금의 실체가
드러났습니다.
통일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김대중 정부의 경우 5년간 13억 4,500만 달러를 북한에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강산 관광대금으로 4억 2천만 달러, 교역대금 4억 7천 6백만 달러, 현대의 포괄적 사업 대가 4억 5천만 달러 등 입니다.
노무현 정부 때는 이보다 많은 14억 1000만 달러가 북으로 송금됐습니다.
관광대금은 1억 2천5백만 달러로 떨어졌지만 개성공단과 이에 따른 남북경협이 활발해지면서 교역대금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질문> 상당히 많은 금액인데 현 정부 들어서는 어떻습니까? 언뜻 생각하기에는 줄었을 것 같은데요.
<답변>
이명박 정부 들어서 대북 교류가 줄어들면서 송금액도 감소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오히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임기 절반인 지난 6월까지 모두 7억 6천 5백만 달러를 송금했습니다.
대북송금액이 가장 많았던 노무현 정부 5년 동안이 14억 천만 달러니까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이보다 더 많은 돈이 북한으로 송금된
셈입니다.
관광대금은 1,800만 달러로 김대중 정부의 30분의 1수준으로 급감했지만 개성공단은 노무현 정부에 비해 2배 이상 늘었고 교역대금도
증가했습니다.
대북송금 자료를 공개한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의 인터부 내용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윤상현(한나라당 의원):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부 들어서 북한에다 들어가는 현금이 너무줄어서 북한이 불만이고 남북관계가
경색이 되있다라고 얘기를 하는데 오히려 정 반대이다. 현정부 들어서 더많은 달러가 북한에 들어갔다."
<질문> 이
기자가 대북송금 규모를 달러로 설명했는데 우리 돈으로 계산하면 얼마나 되나요?
<답변>
환율이 그 때 그 때 변하기 때문에 우리돈으로 정확히 얼마다 이렇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근 환율로 계산해보면 대략적인 규모는 알 수 있습니다.
화면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김대중 정부 1조 5천 5백억, 노무현 정부 1조 6천 2백억, 이명박 정부는 임기 절반인 지난 6월까지 8천 8백억 원입니다.
모두 더하면 4조원 가량입니다.
<질문> 그런데 천안함 사태 이후 우리 정부가 경제교류를 중단하면서 북한이 많은 타격을 받지 않았나요?
<답변>
그렇습니다.
지난 2008년 8월 박왕자씨 피살 사건 이후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되면서 남북 교역대금이 북한의 사실상 유일한 돈줄이 됐습니다.
하지만 천안함 사태 이후 우리 정부의 5.24 조치로 남북교역마저 중단되면서 달러 기근에 직면했습니다.
이 때문에 3대 세습 과정에 있는 북한은 방문객 수에 비례해 현금을 챙길 수 있는 금강산 관광 재개에 집착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조봉현 박사의 인터뷰 들어보시죠.
<인터뷰>조봉현 박사: "경제문제 해소하지 않고는 3대 세습화도 순조롭지 않기 때문에 북한 입장에서는 한푼의 달러라도 벌어들여야
되는 그런 절박한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북한은 금강관 관광 재개를 위해 오는 15일 당국자 접촉을 갖자고 제의해 놓은
상탭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만나서 관광 재개 문제를 논의하기 전에 피격 사건에 대한 사과와 관광객 신병안전 보장 등 필요한 조치를 먼저 취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대 심리 진학사 등수 낮았는데 앞 사람이 더 높은 학교 문과나 중대 경영 같은...
-
이정도면 진짜 발뻗잠 가능??
-
35% 정도면 아직 표본이 부족한가요 진학사는 5칸 최초합이었습니다
-
최초합하고시픈디
-
경희 상경 쭈욱 봐왔는데 진학사 실지원 수에서도 별로 차이 안나고 생각보다 낮은...
-
원서접수 할때 전형이나 인적사항을 잘못 적었다거나 설마 원서접수 순간에 오류가...
-
건대 물리 수석 아니면 차석입학일 것 같은데 장학금 주나요??
-
지방국립대 6칸 0
지방 국립대인데 이정도면 써도되나요? 실지원자 47중 9등 전체지원자 170중 46등 20명 뽑음
-
물리 82명 지원인데 그럼 진학사에 있던 140명은 절반이 분탕이였던거…?
-
아니 띠발.. 0
별 생각 없이 진학사 표본분석만 하고 썼는데 경쟁률 왜케 높아 다 허수겠지..?? ㅎㅎㅎㅎ
-
가군 쫄튀 2
이거 붙을까요 제발 알려주세요 8명소수과 실지원자 5등/34명 전체지원자 29등/212명이에요
-
744를.... 다군은 그냥 무지성 지르기긴한데 나군은 제 표본분석으로는 되는...
-
이상하리만큼 나군 중대만 갑자기 컷이 떡락하는데 뭐임? 다군이랑 가군은 그대론데
-
왜!!! 이제서야!!! 들어오노!!!!!!!!
-
중경외시인데 등수 이상 없으니 표본이 들어와서 촘촘해져서인가요 지금 상황에서 컷...
-
작년에는 한양대 문과랑 중대 문과라인이 그래도 꽤 많이 겹쳤는데 올해 보면 한양대...
-
진학사 백분위 1
진학사 돌리고 있는데 제 성적이 국수탐 83 63 95 97 인데 왜 평백이...
-
고대 2
이거 추합이라도 되겟죠 ㅠㅠ
-
12명 모집 적정표본수 확보에 3등입니다 더 적게 모집했던 작년 재작년 추합 둘다...
-
연고대 상경 5
진학사 컷 정상화된건가요 아님 후해진건가요? 희망고문 하는 느낌이라 ㅋㅋㅋ
-
중경외시 과입니다 최종컷 기준 1.53 ^ 윗 짤은 149명 기준이고 1등만 더...
-
6칸 최초합 12명 모집 중 3등인데요 두장 상향으로 쓸거라 이게 꼭 붙어야 되는데...
-
지금 외대 시립 진학사 칸수 너무 후하게 주고있는거 같은데 괜찮을까요..?...
-
갑자기 컷 확 낮아졌는데, 이거 뭐임요??? 갑자기 개쫄리네
-
컨설팅에서는 제가 진학사 돌려봤을때 외대 어문계열 5,7,8칸 최초합 뜨는 과들을...
-
이거 붙나요? 6
12명 모집에 실지원 적정표본수 확보했고 2등입니다.. 전체지원 25등이긴한데…...
-
긱사 로망도 있고해서 대구교대는 성적 남는데도 눈에도 안 들어와요 ㅋㅋㅋㅋㅋ
-
낙지 낙지하니까 진짜 낙지 데려다 업뎃하노?
-
최저가 쉬우니 아무래도...
-
안정 하나 잡고 두개 높게 지원하려 하는데 안정으로 잡는 과가 소수과라서 조금...
-
합격 가능성 4
외대 9명 뽑는 학과이고, 현재 3등입니다. 갑자기 사람이 들어오네요.. 6등까지...
-
춘교 수시이월 10
54명 나왔는데 너무 이렇게 많으면 상위권 입장에서 사람몰려서 불리해질수도 있나요?
-
서성한 적정 17
본인이 올해 서성한 공대 적정,소신이면 보통 연고대 무슨과 지를것 같나요? 표본분석...
-
표본분석 중인데 1
이거 진학사 경쟁자들 점수 백분위로 나오는 거 표준점수로 어떻게 바꿔서 볼 수...
-
표본분석 지금부터 해야하나요?? 아니면 이틀 전부터 해도 되려나…
-
인문 759.34 사과대 747.15
-
8칸에서 6칸으로 내려가길래 뭔가 했는데 이 사람 뭐임??? ㅋㅋㅋㅋ 소수과라...
-
크럭스 입시가이드 설문조사 했는데 제대로 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
새알깨투 0
오래된 생각이다 위에 파랜새끼도 새다.
-
귀신같이 2등 밀렸노
-
대학들 변표 물변 내고 가산 5퍼정도 맥이면 건동홍 이상 학교들에서 연 서 건 정도...
-
저번주는 일요일도 ㄹㅇ 와리가리치던데 오늘은 거의 변함이 없냐 표본 이제 앵간차서 그런가
-
44344진학사에 해보니까 6칸으로 추합 예측됐는데 할만할까요+해양대 컴공도...
-
ㅈㄱㄴ
-
한 100명 넘게뽑는
-
이것도 겁나 불안하네 올해 교대 갈수 있는건가
-
가군 스나 0
100명 넘게 뽑는 가군 4칸 1등2등이면 해볼만 한가요..? 작년 제작년 꽤 많이 돌았던데
-
본인도 138.14 에서 138.16으로 조금 올랐는데 원래 통변 적용한건지....
-
사1과1, 사2 같은 경우에는 애초에 고려대 공대에 모의지원 자체가 안 되던데,...
-
ㅈㄴ 짜다 윤(전)카처럼 탄핵해야한다 VS 고속 창고안에 소금 1도 없다 이게 뭐냐 ㅈㄴ 싱겁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