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영어 천재 소리를 들었던 적이 있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075765
하지만, 지금은 그저 흔하디 흔한 학생일 뿐이다.
*주의 : 아래의 내용은 개인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뿐 아니라 특정 선생님에게 감사하는 내용이 담긴 글입니다.
어렸을 때, 나는 한국어보다 영어를 더 빨리 배웠다고 한다.
외국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었다. 그저, 영어 선생님이셨던 어머니께서 어린 내게 말을 가르칠 때,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가르쳤는데 영어를 더 잘 말했다고 하셨다. 물론, 그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는 속도가 늦어졌고, 의사선생님께서 영어 가르치는걸 그만두셔야 아이가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을거라는 말씀을 들으신 후에야 어머니께서는 영어 가르치기를 그만두셨다고 한다. 그래서, 나는 다섯살이 되어서야 한국어를 평범한 아이들처럼 말할 수 있었다고 한다.
물론, 나는 그런 일이 있었다는 얘기만 들었을 뿐, 실제로 그랬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빨리 영어를 접해봐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시절 내가 영어를 배우는 속도는 다른 학생들보다 빨랐던 것으로 기억한다. 영어를 참 잘하는구나라는 말이 너무나 듣기 좋았다. 영어를 잘한다. 그것은 나라는 사람에 대해 붙어다니는 라벨이었고, 나라는 사람의 가치를 높여주었기에 그 시절 그 말을 너무 좋아했던게 아닌가 싶다.
잘한다는 말을 듣기 위해 계속해서 영어를 했고, 초등학교 5학년 때 이미 영어 학원에서 고등학생과 같이 수업을 할정도가 되었다. 그 때는 teps가 유행처럼 번졌던 시절이었다. 나도 학원의 고등학생들을 따라 teps를 공부했다.
그리고 지쳤다. 나라는 사람은 영어 천재 소리를 들을 사람이 아니라는걸 6학년 여름방학 때 알게 되었다. 그저, 남들보다 조금 빨랐을 뿐이다. 나를 빛나게 해준 "영어 잘한다"라는 말은 허상에 불과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된 나는 혼란 속에 빠지게 되었다. 열심히 공부하면 문법과 듣기는 어느정도 가능한데, teps용 단어 외우기는 지긋지긋했고, 읽기는 무슨 뜻인지조차 알 수 없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영어를 놓았다. 학원 가기가 싫다고 떼를 썼다. 어쩔 수 없이 학원을 끊었다. 그 때가 중1, 내 teps 점수는 500점대였다.
그리고 영어를 하지 않았다. 수학 학원을 다니면서도, 영어는 시험준비를 제외한 때는 보지 않았다. 그 때 조금이라도 꾸준히 공부했어야 했다고, 이제야 생각하지만 그 때의 나는 영어만 봐도 짜증이 몰려왔다.
그래도 공부한게 있다고 중3때까지는 별 문제 없었고, 고1 올라가면서 그래도 고등학생인데 영어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영어는 인강 하나 구매해서 들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영어는 그냥 인강 하나 듣는다고 성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내신시험은 선생님께서 알려준 내용을 전부 다 외워야할정도로 지엽적이었고, 모의고사는 해석을 해도 답이 뭔지 모르겠는 빈칸추론이 내 발목을 잡았다.좋은 대학교를 가기 위해 원치 않는 것을 꾸역꾸역했지만, 영어를 거의 하지 않은 약 3년간의 시간동안 나라는 사람이 영어에 대해 잊어버린 것은 생각보다도 너무나도 많았고,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야하지만 아직까지도 영어라는 것 자체에 일종의 트라우마가 있던 나는 그저 문법 좀 외우고, 구문 해석 연습 좀 하는 식으로 공부하기만 했다. 그 결과로, 나는 영어 상위권까지는 갈 수 있을지언정 영어를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는 없게 된 것이었다. 영어를 놓은 순간 나는 어렸을 때 내 스스로 자랑스러워했던 것을 내 스스로의 선택으로 지운 것이었다.
결국 영어에 대한 공포와 회의감으로 영어를 제대로 하지 못한 나는 2016 수능에서 영어 3등급을 맞고 (물론 다른 과목도 잘 보지 못했다.) 재수를 하게 되었다.
재수를 결정한 순간, 싫더라도 영어를 무조건 잡아야한다고 생각했고, 싫증 속에서 악착같이 영어 단어를 외우고, 문법을 외우고,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지만, 독해, 특히 빈칸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어 가입을 하고, 검색을 통해 좋다는 영어 독해 강의는 다 직접 찾아보았다. 하지만 특별히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 좋은 강의임에는 틀림없지만, 내 입장에서는 너무 어렵고, 실전에서 가능한 얘기인가 의문이 들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실전에서 유용한 강좌를 찾기 위해서 여러 독해 강좌를 찾아다녔고, 8월에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처음 알게된 것은 심민호 선생님의 보케미스트를 듣던 와중 심민호 선생님께서 파이널 유심칩이라는 것을 오픈한다는 얘기를 들었고, 그것을 통해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어떤 분이신가 알기 위해 카톡으로 상담 요청을 했고, 선생님께서는 나를 구문해석 방식의 영어의 희생자라고 표현하셨다. 맞는 말이다. 텝스를 공부할 때부터 독해 지문은 이해가 안되니 일단 해석부터 하고 알아보자는 방식으로 공부했던 나이고, 재수 이후에도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을 뿐이었다.
선생님께서는 지문에 중심생각은 한 개고, x와 y라는 관계항(x->y)을 잡으면, 그것이 다른표현으로 와도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말을 하셨다. 빈칸문제도 결국 x와 y의 관계만 먼저 잡고 풀면 된다고 하셨다. 일치문제, 도표문제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문제가 XrYs라는 최소한의 도구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최소한의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어야 실전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강의를 듣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해가 안 되었지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다보니 독해 방법을 알게 되었고, 그 독해 방법으로 9월 모평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100점을 맞게 되었다. 100점이 1등급 컷이었던 작년 6월, 9월의 경우에도 100점을 맞아본 적이 없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몰랐다면, 영영 받을 수 없었을 점수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번 9월에 잘봤다고 수능을 잘본다는 보장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능에서 잘봐야 좋은 것이다. 그럼에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던 100점을 맞은 것에 대해서 너무 기뻤고 희망이 보인 듯 했다.
이런 점수를 받을 수 있게 한 강의를 찍으신 유정우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보케미스트 심민호 선생님과 9월 모평 직전 듣기 칼럼을 올리신 바나나기차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바나나기차님 방식대로 듣기 중 독해 풀어서 9문제나 듣기 중 풀었어요. 감사합니다)
수능 이후에도 이런 글 쓸 수 있도록 더욱 더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번외) XrYs로 문제를 풀어봤어요.
Xrys로 이번 9월 모평에서 34번 같은 문제를 풀면,
It does not follow that _____________
일단 어떤 주장이 온다고 생각하고 빈칸을 x->y로 놓되, not에 따라서 반대의 표현이 올것이라고 판단..
(빈칸부터 잡는 것은 무엇을 집중적으로 볼것인가를 체크하는 것인데 지금과 같은 상황은 큰 의미는 없네요..)
Even if ~~~~, it may be a big mistake to suppose that there ar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what is doing the representing and what is represented.
구조적 유사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실수다=차이가 있다.
그 차이점에 대해서 나올테니 두 개를 대립되는 요소, 즉 대립항으로 설정합니다.
A:representing
B:represented
그리고 예시들이 쭉 나열되는데요,
9 vs 12-3으로 나눠지고
9는 12-3으로 can be represented = B 12-3은 A
B=reperesented=9 ->12, 3, 뺄셈이 구성요소가 아니다.
A=representing=12-3
치약 vs 튜브로부터의 치약
B=representing=치약 ->치약 그 자체가 긴 것이 아니다.
A=represented=튜브로부터의 치약 -> 길게 나온다.
총합해보자면
B는 representing -> 형태 x
A는 represented -> 형태 o
그리고 나서
Similarly, a thought might be expressed out loud in a statement with a particular linguistic structure.
여기서 표현 -> 형태o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으니
생각 -> 형태 x라는 것이고
빈칸에는 not 때문에 반대의 내용이 들어갈테니 표현이 형태 없다 or 생각이 형태 있다고
답은 1번 the thought itself has such a structure가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아... 가능?
-
수강신청 망했다 0
크아아아악 휴학 빔이이이이이ㅣㅁ
-
의대증원, 필수의료 패키지를 고려해도 닥의대인가요?
-
드디어 체크카드가 다시생김 후불교통 없는건 조금 아쉽긴해
-
고양이처럼 앙칼진 본인이 똥싸는 중 으어 시원하노
-
1) 쌩 삼수:2026학년도 수능 응시> 2026 입학> 2027 공군 (27...
-
네덜란드 팀이 이탈리아 전부 탈락시켜버림 PSV - 유벤투스 (탈락) 페예노르트 -...
-
시대재종 물2생2 인원수 어마어마하다네요 화2는 화1 47 48 50점 난민 총집합...
-
오늘까지 등록 취소해야 추가모집 지원 가능하데서 고민중임 엄마한테 먼저 말하면 절대...
-
넘기느냐/남기느냐
-
1월 14일에 생명과학1 문항공모 했는데 언제쯤 답장이 올까요.? 정말 8주 꽉...
-
안녕하세요..... 인하대 입학을 할 줄 알았으나....떨어지게 되어서 미리...
-
ㅈㄱㄴ 아님 예비 몇번에서?
-
서울대 동점떨 0
저같은 분 있나요.. 하 진짜 ㅜㅜ ㅅㅂ
-
제목 어그로 죄송합니다 부모님이 지원해주신다고 수능 한번더 쳐보는거 어떻냐고...
-
ㄱㄱ
-
동국대 기계 기다리다가 생각지도 못한 컴공이 됐습니다
-
이러케 뜨고 새로고침 하면 원상복구 되는데 어케삼뇨
-
국어 선택과목 0
24수능 국어 높3 25수능 국어 높4 두 시험 다 언매에서만 25분정도 썼습니다...
-
하루에 day1개씩만하자..
-
생각보다 본인이 자랑스러워하는거 만큼 타인은 간지나게 안보는거같음
-
올오카 개강하기 전까지 강기분 작년 교재로 독학할때는 막판에 리트지문도 2개이상...
-
화2 내년 표점 1
설대 목표인데 화1러들이 탈출하면 화2가 내년에는 표점 높아질 것 같은데 맞나요?
-
그래도 밤이라 얘 조금은 바래다 주고 걸어갔는데 얼어뒤지는줄 지하철역에서 피채우고...
-
그것도 공부해야 하면 좀 짜증날듯
-
ㅅㅂ소주는 그냥 식용 손소독젠데 왜 먹는거야 칵테일 존맛탱
-
으악
-
탈르비 9
홍대 붙어서 탈르비합니다 그동안 응원해주시고 도와주신 모든분들 정말 감사드려요 더...
-
선착순 5명 0
덕코주세요 헤헿
-
처음 해보는데 대학생 된 기분임
-
을 어떻게해야할까요. 일단 구조독해를 하고 그읽그풀아 맞는것같아서 섞어서 들을려는데...
-
현역이고 정시로 에리카 높공 붙었습니다 국어랑 수학이 실력보다 조금 잘 나왔으나...
-
오늘도 화이팅 2
아자자
-
멍청하게
-
유전 들어간다
-
어디까지 내려간거임? 360초중반?
-
님들의 수강신청이 올클이 될것입니다 아마도요
-
습관됨
-
홍대 문과중에 0
129.40으로 되는 학과 있나요?
-
도쿄대 본고사 왜케 계산 파티엿을가 계산을 많이한다한들 계산만 하는건 좀
-
현 상황; 수1, 수2 중3에 한번 돌렸고 지금 다시 돌리는 중 / 미적분 특강...
-
아직 최종컷은 다 못 구해서 여기까지 올립니다 추가 제보는 쪽지로 부탁드립니다
-
남을 괴롭히는 사람에게는 평안이 없고, 남을 도와주는 사람에게는 불안이 없습니다....
-
현정훈 러쉬 0
언제부터 수강신청해야됨
-
MS, 세상 뒤집을 양자 칩 공개... 수년내 AI 학습속도 100배 2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양자 컴퓨터 상용화의 최대 걸림돌로 꼽혀온 양자 오류와...
-
강의 듣는걸 안좋아하는데 독학서도 없고 대부분 인강 듣거나 현강 들으시나요?
-
ㅈㄱㄴ
-
어떻게 해야 공부를 잘 하게 될까?
-
반수 질문.. 2
1. 보통 반수는 언제부터 준비하나요? 1학기부터하나요? 2. 2학기때는 휴학하는게 일반적이죠?
http://enginius.tistory.com/m/605
딱 맞는 얘기네요
도랏ㅋㅋㅋㅋㅋ
와ㅋㅋㅋㅋ 명작이다
난 그저 거들었을뿐
뭐여 갑자기 제 이름이 나와서 깜놀..
수고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