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영어 천재 소리를 들었던 적이 있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075765
하지만, 지금은 그저 흔하디 흔한 학생일 뿐이다.
*주의 : 아래의 내용은 개인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뿐 아니라 특정 선생님에게 감사하는 내용이 담긴 글입니다.
어렸을 때, 나는 한국어보다 영어를 더 빨리 배웠다고 한다.
외국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었다. 그저, 영어 선생님이셨던 어머니께서 어린 내게 말을 가르칠 때,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가르쳤는데 영어를 더 잘 말했다고 하셨다. 물론, 그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는 속도가 늦어졌고, 의사선생님께서 영어 가르치는걸 그만두셔야 아이가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을거라는 말씀을 들으신 후에야 어머니께서는 영어 가르치기를 그만두셨다고 한다. 그래서, 나는 다섯살이 되어서야 한국어를 평범한 아이들처럼 말할 수 있었다고 한다.
물론, 나는 그런 일이 있었다는 얘기만 들었을 뿐, 실제로 그랬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빨리 영어를 접해봐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시절 내가 영어를 배우는 속도는 다른 학생들보다 빨랐던 것으로 기억한다. 영어를 참 잘하는구나라는 말이 너무나 듣기 좋았다. 영어를 잘한다. 그것은 나라는 사람에 대해 붙어다니는 라벨이었고, 나라는 사람의 가치를 높여주었기에 그 시절 그 말을 너무 좋아했던게 아닌가 싶다.
잘한다는 말을 듣기 위해 계속해서 영어를 했고, 초등학교 5학년 때 이미 영어 학원에서 고등학생과 같이 수업을 할정도가 되었다. 그 때는 teps가 유행처럼 번졌던 시절이었다. 나도 학원의 고등학생들을 따라 teps를 공부했다.
그리고 지쳤다. 나라는 사람은 영어 천재 소리를 들을 사람이 아니라는걸 6학년 여름방학 때 알게 되었다. 그저, 남들보다 조금 빨랐을 뿐이다. 나를 빛나게 해준 "영어 잘한다"라는 말은 허상에 불과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된 나는 혼란 속에 빠지게 되었다. 열심히 공부하면 문법과 듣기는 어느정도 가능한데, teps용 단어 외우기는 지긋지긋했고, 읽기는 무슨 뜻인지조차 알 수 없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영어를 놓았다. 학원 가기가 싫다고 떼를 썼다. 어쩔 수 없이 학원을 끊었다. 그 때가 중1, 내 teps 점수는 500점대였다.
그리고 영어를 하지 않았다. 수학 학원을 다니면서도, 영어는 시험준비를 제외한 때는 보지 않았다. 그 때 조금이라도 꾸준히 공부했어야 했다고, 이제야 생각하지만 그 때의 나는 영어만 봐도 짜증이 몰려왔다.
그래도 공부한게 있다고 중3때까지는 별 문제 없었고, 고1 올라가면서 그래도 고등학생인데 영어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영어는 인강 하나 구매해서 들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영어는 그냥 인강 하나 듣는다고 성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내신시험은 선생님께서 알려준 내용을 전부 다 외워야할정도로 지엽적이었고, 모의고사는 해석을 해도 답이 뭔지 모르겠는 빈칸추론이 내 발목을 잡았다.좋은 대학교를 가기 위해 원치 않는 것을 꾸역꾸역했지만, 영어를 거의 하지 않은 약 3년간의 시간동안 나라는 사람이 영어에 대해 잊어버린 것은 생각보다도 너무나도 많았고,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야하지만 아직까지도 영어라는 것 자체에 일종의 트라우마가 있던 나는 그저 문법 좀 외우고, 구문 해석 연습 좀 하는 식으로 공부하기만 했다. 그 결과로, 나는 영어 상위권까지는 갈 수 있을지언정 영어를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는 없게 된 것이었다. 영어를 놓은 순간 나는 어렸을 때 내 스스로 자랑스러워했던 것을 내 스스로의 선택으로 지운 것이었다.
결국 영어에 대한 공포와 회의감으로 영어를 제대로 하지 못한 나는 2016 수능에서 영어 3등급을 맞고 (물론 다른 과목도 잘 보지 못했다.) 재수를 하게 되었다.
재수를 결정한 순간, 싫더라도 영어를 무조건 잡아야한다고 생각했고, 싫증 속에서 악착같이 영어 단어를 외우고, 문법을 외우고,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지만, 독해, 특히 빈칸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어 가입을 하고, 검색을 통해 좋다는 영어 독해 강의는 다 직접 찾아보았다. 하지만 특별히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 좋은 강의임에는 틀림없지만, 내 입장에서는 너무 어렵고, 실전에서 가능한 얘기인가 의문이 들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실전에서 유용한 강좌를 찾기 위해서 여러 독해 강좌를 찾아다녔고, 8월에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처음 알게된 것은 심민호 선생님의 보케미스트를 듣던 와중 심민호 선생님께서 파이널 유심칩이라는 것을 오픈한다는 얘기를 들었고, 그것을 통해 유정우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어떤 분이신가 알기 위해 카톡으로 상담 요청을 했고, 선생님께서는 나를 구문해석 방식의 영어의 희생자라고 표현하셨다. 맞는 말이다. 텝스를 공부할 때부터 독해 지문은 이해가 안되니 일단 해석부터 하고 알아보자는 방식으로 공부했던 나이고, 재수 이후에도 구문해석을 열심히 했을 뿐이었다.
선생님께서는 지문에 중심생각은 한 개고, x와 y라는 관계항(x->y)을 잡으면, 그것이 다른표현으로 와도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말을 하셨다. 빈칸문제도 결국 x와 y의 관계만 먼저 잡고 풀면 된다고 하셨다. 일치문제, 도표문제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문제가 XrYs라는 최소한의 도구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최소한의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어야 실전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강의를 듣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해가 안 되었지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다보니 독해 방법을 알게 되었고, 그 독해 방법으로 9월 모평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100점을 맞게 되었다. 100점이 1등급 컷이었던 작년 6월, 9월의 경우에도 100점을 맞아본 적이 없었다. 오르비라는 사이트를 몰랐다면, 영영 받을 수 없었을 점수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번 9월에 잘봤다고 수능을 잘본다는 보장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능에서 잘봐야 좋은 것이다. 그럼에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던 100점을 맞은 것에 대해서 너무 기뻤고 희망이 보인 듯 했다.
이런 점수를 받을 수 있게 한 강의를 찍으신 유정우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보케미스트 심민호 선생님과 9월 모평 직전 듣기 칼럼을 올리신 바나나기차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바나나기차님 방식대로 듣기 중 독해 풀어서 9문제나 듣기 중 풀었어요. 감사합니다)
수능 이후에도 이런 글 쓸 수 있도록 더욱 더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번외) XrYs로 문제를 풀어봤어요.
Xrys로 이번 9월 모평에서 34번 같은 문제를 풀면,
It does not follow that _____________
일단 어떤 주장이 온다고 생각하고 빈칸을 x->y로 놓되, not에 따라서 반대의 표현이 올것이라고 판단..
(빈칸부터 잡는 것은 무엇을 집중적으로 볼것인가를 체크하는 것인데 지금과 같은 상황은 큰 의미는 없네요..)
Even if ~~~~, it may be a big mistake to suppose that there ar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what is doing the representing and what is represented.
구조적 유사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실수다=차이가 있다.
그 차이점에 대해서 나올테니 두 개를 대립되는 요소, 즉 대립항으로 설정합니다.
A:representing
B:represented
그리고 예시들이 쭉 나열되는데요,
9 vs 12-3으로 나눠지고
9는 12-3으로 can be represented = B 12-3은 A
B=reperesented=9 ->12, 3, 뺄셈이 구성요소가 아니다.
A=representing=12-3
치약 vs 튜브로부터의 치약
B=representing=치약 ->치약 그 자체가 긴 것이 아니다.
A=represented=튜브로부터의 치약 -> 길게 나온다.
총합해보자면
B는 representing -> 형태 x
A는 represented -> 형태 o
그리고 나서
Similarly, a thought might be expressed out loud in a statement with a particular linguistic structure.
여기서 표현 -> 형태o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으니
생각 -> 형태 x라는 것이고
빈칸에는 not 때문에 반대의 내용이 들어갈테니 표현이 형태 없다 or 생각이 형태 있다고
답은 1번 the thought itself has such a structure가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12 전범위 다 못하는건가요? 안가람선생님 라이브반 들어가려는데 3월부터 쭉...
-
97 99 1 99 99 / 132 135 1 99 99 이게 떨어짐ㅋㅋㅋㅋㅋㅋㅋ
-
이걸 왜 저렇게?
-
뭐야뭐야 3
나만몰라
-
징징징징 2
나같은 징징이가 또 있을까
-
(hwp) 뽑아 쓰는 평가원기출 국어 문법(언어) 문제집 클린엑스 한글파일 0
예전에 pdf로 올렸던 파란문법익힘책 클린엑스 CleanX v3.0을 한글파일로...
-
님들 근데 가끔씩 조회수 많은 질문에도 답글 없는거 많던데 왜 안 달아주는거임? 간절한 사람들 많던데 9
따지는게 아니고 진짜 궁금해서 그럼 며칠 전까지 수열 극혐했었는데 어제부터 수열의...
-
내 세상을 붕괴시키지마
-
이 옷 어때? 3
졸귀야
-
서대주 맹랑하다는 서술자의 호감으로 보기 어렵나요? 3
음........ 아직도 허용가능성의 기준을 모르겠네 호감은 너무 선넘었다 이거지?
-
고3인데 꼴지에 내신 6인거까지 너무 저랑 비슷한 처지에서 시작해서 응원 댓...
-
넵 ㅠ
-
오 메인 2
태클안걸리나
-
저 이번 수능에서 생윤 50점 만점 “무조건” 받아야 합니다 생윤황분들...
-
선택해서 추가 수업 들을 수 있고 관리 잘되고 조용하고..그러면 좋겠어요 ㅎ-ㅎ...
-
변표에서 3퍼를 플러스하는건지 백분위를 3% or 3%p 올려서 쳐준다는건지
-
사랑해이것들아 9
어????
-
내주제에무슨
-
중대가능? 사탐임 국수는 백분위
-
4페 2문제 시간없어서 못풀고 푼거 다맞으면 44,45 1틀하면 41-43 이걸...
-
나를 옯비 복귀하게 만드는구나
-
위즈원잘잤노 2
-
반수고민 4
내신은 1.4 중반이고 수능은 개 말아먹어서 44134임 일단 지금 5광탈하고 1개...
-
시대~강대 탐구 쌤중 1분 조교 수능끝나고 하고싶은데, 즌1까지만 듣고 아쉽게도...
-
국어 잘하고싶다 1
90점대 맞아보고싶어요
-
맨날 발음뭉개고 혀꼬여서 말을 못끝내네..
-
와 전공 비상 6
50점 만점에 39점 맞았는데 하위 30%임
-
기대된다
-
ㄱㅅㅎㄴㄷ 3
누가 페페 레어 다 사줘서 이제 딱 성대레어 하나만 깔끔하게 남음
-
수업끝 6
대학교 다니기 증말 힘들다
-
패드로 기출 2
사탐만 패드로 기출 풀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그냥 책 사야될까요..?
-
1 2 3컷만 물2 40 27 18 화2 44 31 20 지2 38 25 17 생2 38 26 18
-
개씨발애미없나
-
현역 고3입니다 도저히 학교에서 집중이 안되요 ㅠㅠ 17
수능 190일 남은 고3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자습하는데 너무 집중이 안돼요 TnT...
-
지금은 그거의 백배,아니 천배 정도야
-
번복은 안합니다.
-
4덮 확통이구 15 22틀렸습니다. 수2도 부족하긴한데 수1이 진짜...
-
기하런 고민 0
현역때 공통1틀 재수때 공통2틀 미적은 27부터 못건드리는 지능이었음 230913...
-
이렇게 4일만 해볼게요. 각도기재보고 ㅋㅋ할만하누 싶으면 함. 아니면 그냥 미적분 벅~벅 드가는거임
-
17 전(~16)까지는 보다시피 한국사 필수 시절 아니었고 문과 가면 머리 좀...
-
그럼 만족할 듯
-
작년에는 뉴런 문제도 문제지만 애초에 책 밀도가 높아서 책 내용 위주로 실전개념이랑...
-
11번을 실수해버리네 크아악
-
언매 많이 까먹었음
-
정환쌤 현강은 못듣지만, 교재만이라도 풀고자 하는 학생인데요 정환썜 교재 중고라도...
-
현역 고2 정시파이터인데 지구 생명 or 지구 물리 or 지구 생윤 뭐할까 참고로...
-
머지 이상할 정도로 큰데
-
오늘부터 정시공부 미친듯이 해야함?? 막 하루에 10시간씩?? 특히 공대 목표임
-
이거 문제 좀 풀어주셰요... 조건이 fx= sin파이x x의 범위가 닫힌구간...
http://enginius.tistory.com/m/605
딱 맞는 얘기네요
도랏ㅋㅋㅋㅋㅋ
와ㅋㅋㅋㅋ 명작이다
난 그저 거들었을뿐
뭐여 갑자기 제 이름이 나와서 깜놀..
수고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