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1 반도체 다이오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064502
다이오드에서 p형 반도체의접합면부분의 극이 왜 -이죠...?
그렇다치면 다이오드내의 전기장의방향은 +에서 -이니 n형반도체에서 p형반도체가되나요..?
제가알기론 다아오드내의전기장방향은 p형반도체에서 n형반도체라알고있는데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064502
다이오드에서 p형 반도체의접합면부분의 극이 왜 -이죠...?
그렇다치면 다이오드내의 전기장의방향은 +에서 -이니 n형반도체에서 p형반도체가되나요..?
제가알기론 다아오드내의전기장방향은 p형반도체에서 n형반도체라알고있는데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광다이오드?
그냥 다이오드 넓은범위요
반도체 반으로 쪼개봤을때 p형이 +극과 붙어있으니까 그 반대는 -극이 되서 그런거 아닐까요
윗 게시글님이랑 상호 답변하심될듯
웃기넠ㅋㅋ
전류의 방향이랑 전자의 방향은 반대여서 그런거 아닌가요?
조금 자세한 설명을 하자면 접합부에서는 농도차에 의해 p형반도체에 있던
양공이 n형으로 넘어가고
전자가 p형으로 넘어와서 공핍층이라는 것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일단 공핍층이 형성되고 나면 전기장의 방향이 n에서 p로 형성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확산이 일어나지는 않죠.
그러면 전기장의방향은어떻게대ㅣ죠?
P형에 +전극을 만들어서 전류를 흘리면 n형에 있던 전자가 p형으로 이동. 접합면 p형쪽에 소수캐리어인 전자가 형성되면서 음의 charge가 발생하나 전체적으로 전기장은 p형에 걸려있는 +에서 n형 -쪽으로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