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sci 과학논문 출간을 통해 본 국내 대학들의 기본적인 학술 연구력 비교: 부제-분발이 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38746
대학별(최근 10년)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
1-20-2016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63188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
세계 인용된 상위 1% 논문 한국, 세계 15번째로 많다
10년새 2배 증가…1위는 미국
한국에서 발행된 논문 가운데 세계 주요국 피인용 상위 1%에 드는 논문 수가 세계 15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이 분석한 결과 최근 11년(2004∼2014년)간 게재된 SCI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모두 12만 8498건이고 이 가운데 한국 논문은 3302건으로 15위를 차지했다. 2.6%의 점유율이다. 미국이 전체의 52.1%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이 영국(14.8%), 독일(11.9%), 중국(11.7%), 프랑스(7.8%), 캐나다(7.5%), 일본(5.2%) 등의 순이다.
한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2004년 1.7%에서 2014년 3.3%로 10년 새 배 가까이 늘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3.5%까지 올랐다 최근 조금 주춤한 상태다. 분야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재료과학(6위)과 화학(8위), 수학(10위), 물리학(13위)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 컴퓨터과학과 미생물학 분야는 전체 논문 수에 비해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각각 2.2%, 0.9%)이 낮다. 대학별(최근 10년)로는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등의 순이다.
최근 SCI급 논문 수는 크게 늘고 있지만 피인용 횟수가 많은, 다시 말해 학술적 가치가 큰 논문의 비중이 아직 많지 않은 건 과제로 남았다. 최근 11년간 한국이 발표한 전체 SCI 논문 실적 중 상위 1%의 고 피인용 논문 비중은 0.78%로 세계 주요국 평균(1%)에 못 미친다.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확대와 국제협력 연구 확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연구재단은 분석했다.
다음은 의과대학 소속 대학병원들 연구력을 조명해주는 자료 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으로 꼽히고 있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빅5 병원’이라는 취지에 걸맞지 않게 특허보유 건수와 기술경쟁력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병원은 모두 정부가 3년마다 평가를 통해 선정하는 국가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향후 심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지식재산 전문기업 윕스(WIPS)는 최근 국내 연구중심병원의 국내외 의료특허 등록 현황을 조사한 결과 등록된 의료특허 건수가 3~4개 병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상위 4개 병원의 특허 점유율이 국내 특허에서 84%, 미국 특허에서 85%를 차지했다.
국내특허를 보면 서울대병원의 의료특허 건수가 1122건(35%)로 연구중심병원 중 가장 많았고, 2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656건 / 21%), 3위는 고려대병원(구로·안암, 571건 / 18%), 4위는 경북대병원(392건 / 12%) 5위는 분당차병원(129건 / 4%)이었다.
이어 6위 아주대병원(112건 / 4%), 7위 삼성서울병원(97건 / 3%), 8위 가천의대 길병원(66건 / 2%), 9위 서울아산병원(35건 / 1%) 순이었다.
미국 의료특허 등록 현황도 대체로 국내와 비슷했다. 서울대병원이 78건(46%)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고려대병원(28건, 16%), 3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23건, 14%), 4위는 경북대병원(13건, 8%) 순이었다.
5위는 가천의대 길병원(10건, 6%), 6위는 아주대병원(9건, 5%), 공동 7위는 분당차병원(3건, 2%)과 서울아산병원(3건, 2%), 9위는 삼성서울병원(2건, 1%)이었다.
IP(지적재산권) 경쟁력 역시 비슷한 양상이었다. 서울대병원은 21개 의료기술분야 중 ‘높은’ 경쟁력을 확보한 분야가 7개, ‘중간’ 경쟁력 확보 분야 11개였으며 낮은 경쟁력은 2개 분야에 불과했다.
고려대병원은 ‘높음’ 3개, ‘중간’ 7개, ‘낮음’ 5개였고,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높음’ 2개, ‘중간’ 13개, ‘낮음’ 5개였다.
삼성서울병원은 '인체 속 또는 표면에 매체를 도입하는 장치' 분야에서만 높은 경쟁력을 보였고, 중간 경쟁력 1개 분야, 낮은 경쟁력은 17개 분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은 높은 경쟁력을 가진 분야가 전무했고, 중간 경쟁력 1개 분야, 나머지 18개 분야가 모두 낮은 경쟁력을 보였다.
|
| |
출처: 중앙일보 헬스 미디어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흐흐파산
-
하나 풀고가세용
-
질문게시판 규칙에보면요 하루 질문3개잖아요? n제 풀고 실모 풀다가 질문 3개...
-
하이띠라오라는 커여운 여르비가 쓰던 프사인데 얌기 묻어서 화남 근데 이분 연경제셨네 얌기 롤모델이누
-
싸우자 18
-
에필로그 1
에필로그 vol.4에 쓰여있는 글 보고 울 뻔 했다. 좋은 결과만 가지면 된다는...
-
사문하다가 잘못 눌려서 화1 봣는데 …. 노력으론 안되는게 있다는게 보였음 찬양한다 진짜
-
벌어놓은건 있어도 50만원 단위씩 쓰기가 부담스러움
-
ㅋㅋㅋㅋㅋㅋ
-
씻고 다녀라
-
임마이거 ㅅㅂ 문제 개더러움 사지마셈 어렵기만 ㅈㄴ어렵고 시간 부족
-
강의력 교재를 떠나 제일 인간적으로 좋은 강사이신듯
-
올해는 0
꼭 잘 마무리 해서 고3때 전시회에서 했던 약속을 지킬 수 있길 바라
-
합리적의심...
-
지트 시리즈 모의고사랑 이기상 이모다 그다음 이마다 오메가모고 합치면 차고 넘친다 ㄹㅇ
-
18-20 29 도표 4 8개 품 듣기하면서 1-10때 도표랑 1819 풀고 16...
-
오르비 8
오르기
-
나쁘지 않은걸?
-
남들이 다 N제 푸니까 나도 N제 풀고 남들이 다 실모 까니까 나도 실모 까고 그럼...
-
원래 1-10까진 들으면서 도표4+ 18-19 6문제 풀고 나머진 안정적으로 집중...
-
ㅈㄱㄴ 어떤 중소기업 대표랑 계약한게 있는데 그거 관련해서요
-
시대 서바 경제 0
2회차 푼 사람 국제가격 문제 좀 알려주ㅜ….
-
오늘은 백혈병에 대해서 진도를 나간다
-
아니겟지????
-
오늘 신경안정제를 먹고 잘거임 서바친다고 떨려서 못자는건 개씹새가슴아닌가
-
왜이러지이거
-
하위 문화이면서 어쩌면 반문화였는데 이젠 전체문화가 된 것 같네 이게 그 주류화인건가
-
ㅅㅂ 짇짜 수능이 쉽게 느껴질수 밖에없음 현장체감 고려해도 쉽게 주는 문제가 없다...
-
또선생도 착하긴한데
-
국수도삶는중.. 2
날이그리덥지않아서다행이네.. 더우면의욕이사라져,,
-
원함수는 어떻게 생겼나요 미분가능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맞나요?
-
아니 ㅅㅂ 수능보다 4-5배는 어려운데???? 올해 6모 퍼즐 종교문제 그거는...
-
현장응시도 수능때 해봤지만 실모가 수능보다 괴랄하고 어려운거 같음 적중 모고나...
-
큰손,도긩,김준 다 존나 잘생겨보임 미친건가 감각적인 직관 제외
-
리트 매월승리 1
리트풍고싶은데 매월승리어때요? 아님 작년아수라풀까요?
-
40분 박고 장렬히 전4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광우병 괴담 앞장선 민주당, 美서 소고기 가리지 않고 먹었다 9
[이하원 기자의 외교·안보 막전막후 ] 美식당 지배인 “위험해서 못 먹겠다는 정치인...
-
이거 오늘 사면 11월 1일까지밖에 못듣는데 그럼 수능 전 남은 기간은 뭐들음 ㅅㅂ...
-
수학같은건 단계별로 풀이과정 쓴 거 보면 이해되는데 생명은 그 좁은 자료에 한꺼번에...
-
아침부터 6
뻘글쓰기
-
점심메뉴.. 2
두부조림.. 만들기쉬워서자주먹는,,
-
너무 더워..
-
님들 그거 앎? 3
알면 저도 좀 알려주셈
-
아니 메인 저거 0
자꾸 같이 목욕시키고 국밥먹이는게 개웃김ㅋㅋㅋㅋㅋㅋ
-
남고이기때문
-
이감 5-2 3번땜에 시험 다 말린 기분이네 화작 81점인데 독서 내가 원래ㅜ하던...
왜이럴까
아무래도 교수님들에게 할당(?)된 연간 최소 논문 편찬 수 때문에 숫적인 증가는 늘었지만 창의적인 연구 프로젝트나 연구환경이나 연구비 등등에서 세계적인 관점으론 우리나라가 질적인 열세로 나타나는 듯 하네요. 그래도 경제력으나 산업 발전도로 미뤄보면 적어도 10위권 안에는 들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요즘 저분들 많이 얌전해 졌는데 너무 그러지마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