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A [420505] · MS 2012 · 쪽지

2016-01-28 15:08:51
조회수 12,512

(이과)논술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794433

제가 울산대를 논술로 붙기는 했지만 연대랑 카대는 광탈을 해서

조금 쓰기는 애매한 주제라고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가끔씩 쪽지로 물어보시는 분들도

있으셔서 그냥 한 번 적어보겠습니다.(절대적이진 않습니다. 그저 참고용입니다.)


#1.  논술은 최저가 우선이다.(가장 중요함!!!)

 가장 중요한 사실입니다. 논술 준비를 하시면서 자꾸 이러한 사실을 간과하시면 안됩니다.

아무리 내가 논술을 잘 쳐서 100점짜리 시험지라고 해도 최저 맞추지 못하면 바로 쓰레기통 직행입니다.

여러분들이 원하는 대학들의 대부분은 최저가 높습니다. 특히 의대쪽은 높으면 합3, 합4를 기본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더욱 맞추기 어렵죠. 게다가 요즘 수능의 추세가 불수능이 아닌 물수능에 가깝기 때문에

논술 최저 맞추기가 더 까다로워집니다.

올해 6,9평을 칠 올해 현역들은 모의고사를 치고 난 이후에 "왜 최저를 못 맞춰서 광탈하지?"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n수생 분들이라면 정말 공감하실텐데) 수능치고 나면 정말 최저 못 맞춥니다. 상당히 못 맞춰요...

카대 논술 치러 갔을 때, 제가 있는 반에는 약 60%가 결시 하였고, 울대 논술 치러 갔을 때에는 약

50%가 결시 했는데, 다른 고사장 보면 10%정도가 치러 온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정말 정말 논술 최저 맞추기 어렵습니다.

부탁이니 논술 공부 이전에 가장 우선인 것은 "수능"임을 명심 하시길 바랍니다.

아직 최저도 못맞추면서 논술 공부하려고 달려들지 마세요.

모의고사에서 최저를 맞추는 성적이 꾸준히 나와야 비로소 논술을 준비할만한 여력이 생깁니다.

요약하면 논술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논술"이 아닌 "수능"이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 2. 논술 공부 시간은 어느정도 배정하고 또 어느 때 배정해야 하는가?

절대적으로 case by case 입니다. 지금부터 말할 내용은 모두에게 해당되는 내용은 아닙니다.

다만 처음 공부할 때 조금 길잡이가 될만한 글이라고 생각하고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1에서도 말했듯이 가장 중요한 것이 '수능' 이므로 수능의 절대강자가 아닌 이상

평일에는 논술 공부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평일에는 다소 공부할 것이 많기 때문이죠.

만약 독재라서 여유가 된다면 평일에도 논술 공부 하는 것 괜찮습니다. 하지만 보통 그렇지 않기 때문에

주말에 배치하는 것이 조금 더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논술 공부를 하겠다 생각하시면 공부시간은 2시간 ~ 3시간 정도로 생각 하셔서 알아서 분배하시면 됩니다.

수리논술만 공부하겠다고 생각하시면 2시간 정도 공부하시는 것이 좋고,

과학 논술까지 같이 하겠다 생각하시면 수리 2시간 과학 1시간 반 정도로 3시간 반은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말한 2시간 ~ 3시간 반 은 수업 듣는 시간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순수 자기 공부시간만을 말하는 것입니다.

강의를 포함한 시간은 사람마다 달라서 딱 정하기는 어렵네요.)

좀 많다고 느껴지실 수도 있는데 제가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공부하는 것을 싫어하기도 하고(즉 논술을 준비할 것이면

제대로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논술을 준비하겠다고 생각한다면 분명히 "수능"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

어느정도 수능공부의 비중은 조금은 줄여도 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3. 수리 논술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가장 좋은 것은 학원다는 것입니다. 정말요.)

수능이랑 논술을 같이 준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데, 수능 기출 4점을 "완전히 논리적 허점 없는 해설"을 쓰는 연습을 하세요.

기출문제 풀 때, 우리는 어느 정도 직관을 가지고 풀고, 약간의 스킬들을 사용해서 많이 풉니다.

그런데 이렇게 논리적 허점 없이 쓰려는 연습을 하다 보면, '교과내'에서 답을 도출해내는 서술능력이 올라가게 됩니다.

저도 그 덕택을 많이 봤고요. 수능과 논술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한완수와 같은 교재를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논술을 대비하기 위한 교재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 역시 논술과 수능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난만한님께서 한완수에 잘 서술해 놓았으니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얻어가야 할 것은 '서술 방식'입니다. 한완수에 잘 기재되어있으니 반드시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당연히 기출문제를 풀어야죠.

내가 원하는 대학, 원하지 않는 대학에 상관없이 최대한 많이 푸세요. 서울대, 연대, 고대, 서강대, 성대, 한양대,

울의, 카의, 경북, 부산, 등등.... 정말 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논술 공부할 때 최대한 많이 푸세요.

자기가 원하는 대학은 반드시 모두 다 푸시고,

조금 더 하면 서울대, 연대, 고대, 서강대까지는 풀었으면 좋겠습니다. 

약간 본고사 스타일이 나는 문제들이 많기는 하지만 거기서 얻어갈 것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좋은 해설지까지 구하시면 거기서 쓰는 '서술방식'에 대해서도 익혀가시길 바랍니다.

혹은 [채점기준] 같은 표를 얻을 수 있다면 무엇을 중점으로 써야하는 지도 피드백 하시길 바랍니다.

(해설지는 교육청 같은 곳에 가면 많더라고요. 아니면 ebsi 해설강의나 구글링을 통해서 얻었습니다.)

그리고 이것까지 다하셨다면 [천일수학]이라는 교재를 사셔서 푸시면 됩니다.

옛날 일본 본고사 문제인데 더렵게 어렵습니다. 이정도까지 푸신다면 현행 수리논술 난이도 수준으로 볼 때

충분한 것 같습니다. 혹은 사설 모의고사 같은 것도 괜찮죠.


 
# 4.  과학 논술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먼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중 어떤 과목으로 논술을 쳐야할지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러한 순위로 결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심화된 공부를 해본 적 있는 과목(과고생, 올림피아드 혹은 경시대회 준비생들)

2) 수능을 칠 계획인 과목

3) 내신을 공부해 본 과목(특히 2과목을 내신으로 공부했다면 상당히 좋습니다.)

4) ....... 그냥 2), 3) 내에서 결정하세요.

여기서 약간의 조언을 드리면 웬만해선 생물논술은 피하세요.

왜냐하면 최상위권들이 기본적으로 생2 공부를 해서 생물논술을 많이 선택합니다

(강대에도 늘 물리논술 1반 화학논술 1반 생물논술 2반씩 개설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약간 과학논술을 전략적으로 공부하길 원한다면 생물논술은 피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조언이니 너무 깊게 생각하지는 마세요.)

 이제 한 과목을 택하셨다면 가장 공부하기 쉬운 방법은 학원 다니는 것입니다.

서울 사시는 분들은 유명 논술 학원 찾아가서 논술 수업 듣는 것이 그냥 맘 편합니다.

내가 준비할 것도 없고, 그냥 하라는 데로 하면서 내가 조금 더 하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독학을 하거나, 혹은 그럴 처지가 안된다 하시면

제가 생각할 때 가장 이상적인 과학 논술 대비 공부법은

"논술 기출 문제와 기출 문제를 통한 2과목 공부"입니다.

솔직히 2과목의 전범위를 공부하기에는 너무 시간이 많이 들고 아깝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공부하려면

아무래도 기출문제에 자주 나오는 주제를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먼저 기출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1과목이 나왔다면 그냥 푸는 것이고, 2과목이 나왔다면 백지상태에서 계속 푸는 것이죠.

이때, 아무리 모르는 내용이 나와도 내가 쓸 수 있는 만큼은 써 보는 것입니다.(실제 논술 칠 때 아는 내용이 나오면 좋지만

모르는 내용이 나올 수도 있는데 그런 상황을 대비하는 것에도 의의가 있습니다.)

 그 이후에 첨삭도 받아보고(학교 선생님한테 답지 들고가서 한번 해달라 하세요. 그래도 안하는 것 보다는 나을 겁니다.)

, 해설강의도 들어보고하는 기본적인 피드백을 거친 이후에 내가 푼 과학 논술이

"2과목의 어떤 부분을 토대로 출제하였는가?"라는 것을 선생님께 물어보면 다 답변이 나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을 공부하는 것이죠. 자료는 교과서 수능특강 인강 등등 다양하게 있으니 활용하시고요.

이렇게 계속 과학 논술 공부하다보면 충분히 논술공부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현실적으로 보면 과학 논술을 이렇게까지 하기도 힘들고, 이 정도만 해도 충분합니다...

만약 조금 더 공부하고 싶다면 논술 모의고사와 같은 사설 문제지를 풀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죠.

또 거기서 조금 더 나가면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일반생물학까지 보기도 하는데, 독학으로 이것까지 공부하기에는

아무래도 어렵죠..

요약하면

1) 학원가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

2) 독학으로 한다면 "논술 기출 문제 풀고 2과목 공부"가 좋다고 생각.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


# 5. 첨삭은 어떻게 하지? (여기서는 약간 반말입니다.)

1) 학원을 다닌다. - 가장 이상적인 방법. 그래도 가장 전문적일 것으로 생각됨

2) 학교 선생님께 부탁한다. - 좋은 방법인데, 이건 선생님의 역량, 성품에 따라 다름

논술을 준비하시지 않으셨으면 아무래도 효과가 좀 떨어짐. 만약 그렇다면 여러 선생님께 부탁해서

최대한 많은 결과를 얻어내서 피드백 하기를 권함.  선생님의 역량이 너무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부탁드리는 것이 좋음

3) 인터넷 이용 - ebs 같은 곳에서 무료로 첨삭을 해주기도 한다. 그런데 너무 빨리 마감되어서 힘듬

이건 나도 잘 모르니 한번 확인 해보길 바람.

4) 친구끼리 첨삭 - 약간 애매하긴 한데, 그래도 내가 스스로 하는 첨삭 보다는 낫다. 다만 나랑 수준이 좀 비슷해야하고

그리고 해설지가 있는 편이 좋다고 생각함. 서로 토론을 하면서 생각의 장을 넓혀갈 수도 있음. 나보다 뛰어난 친구한테

첨삭을 맡길수록  확실히 좋음.

5) 1,2,3,4로 해결이 안되면 나도 어쩔 수 없음...


# 6 Q&A..는 댓글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베네딕 · 641167 · 16/01/28 15:11 · MS 2016

    이런글은 추천이야...!
    근데 11과목 하면 논술대비 불가능한가여

  • PLANA · 420505 · 16/01/28 15:50 · MS 2012

    아니요. 제가 11친 사람들의 처지와 비슷해서 제가 과학 논술을 위와같은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 지상포병 · 560693 · 16/01/28 15:19 · MS 2015

    논술은진자 사교육조장제도다..  누군가에겐 희망이될수잇겟지만 누군가에겐 돈없어서억울한결과를맞이함

  • PLANA · 420505 · 16/01/28 15:50 · MS 2012

    아무래도 공교육에서 담당하기에는 너무 어렵죠...

  • baaaaaaaaaam · 592393 · 16/01/28 15:24 · MS 2015

    질문이요!!! 저 지방에 수리 논술 학원 다니고 있는데 그냥 기출 풀 시간 좀 주고
    다음시간에 썜이 칠판에 예시답안 적는걸로 수업이 끝나요... 첨삭은 거의 안하고 채점 정도만 하시고...
    (일주일에 한번 3시간반하네요) 계속 다니는게 바람직할까요 아니면 혼자서 기출풀고 답지 보고 한완수 보고 할까요???

  • PLANA · 420505 · 16/01/28 15:52 · MS 2012

    첨삭이 좀 있는 편이 좋습니다..... 수리논술 수업은 보통 그런 방식으로 진행되기는 합니다.

    따로 논술 공부할 여력이 없다면 그냥 학원 다니시는 것이 낫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혼자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 공부공부또공부 · 618807 · 16/01/28 18:03 · MS 2015

    좋은글 감사합니다ㅎㅎ
    혹시 과학논술은 언제부터 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그리고 이번 울산대가 무난하게 출제되었다고 들었는데 몇문제 정도 맞추셨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PLANA · 420505 · 16/01/28 21:27 · MS 2012

    과학논술은 재수 시작하면서 바로 준비했습니다.

    울산대 같은 경우 전 일단 다 풀었네요. 의학논술도 싹 다 썼고요,

  • 이루다 · 571519 · 16/01/28 21:44 · MS 2015

    1. 과학논술 화학으로 보셨죠? 논술대비로 화2는 어느정도 해야될까요?  전체적 개념은 다 알고 있어야 되나요? 화2로 수능 볼 게 아니라서요...강대논술시간에 배운 것만 하면 될까요? 
    강대정규반수업 말고 따로 더 할 것이 있을까요?
    2. 의학논술은 어떻게 준비하셨나요?
    3. 울산대는 내신 낮아도 붙으신분들 있으신가요?

  • PLANA · 420505 · 16/01/28 21:48 · MS 2012

    1. 네 논술 화학으로 봤고요, 화2는 만약 강대다니시면 어느정도 하기는 할 텐데, 그게 9월까지 진도를 끌고가서 좀 별로입니다. 따로 공부하시는 것
    추천하고요, 아마 부교재 보면 주요 주제들 다 나와있는데 거기에 나와있는 주제들 위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2. 준비안했습니다. 그냥 영어실력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한번 직접 풀어보시면 알 거에요.

    3. 글쎄요. 동기들을 아직 만나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 뚜뜹 · 559720 · 16/01/28 18:07 · MS 2015

    그럼 논술공부를  자기가 수능 최저 맞출수있는 시점부터 시작해요??

  • PLANA · 420505 · 16/01/28 21:27 · MS 2012

    네. 논술 최저를 맞추지 못하면서 논술을 준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운찬곰 · 553813 · 16/01/28 21:58 · MS 2015

    지방 자사고 다니는데... 3학년때 수업시간에 주당 3시간씩 수리/과학논술 수업을 하는데요, 그러면 학원은 안가도 되나요?

  • PLANA · 420505 · 16/01/28 22:07 · MS 2012

    와... 많이 하시네요. 만약 수업이 만족스럽고 괜찮다면 당연히 학원 갈 필요 없죠.

  • 전국 수석 · 607939 · 16/01/28 22:09

    메가패스가 있어서 논술 인강을 들을지 고민되는데.....독학이 나을까요???인강이 나을까요????

  • PLANA · 420505 · 16/01/28 22:16 · MS 2012

    상대적으로 독학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전 논술에 있어서는 독학보다는 인강을 추천합니다.

  • 솔이 · 600580 · 16/01/28 22:09 · MS 2015

    문과논술 여쭤봐도 되나요...? 작년에 학원 다녀봤는데 그냥 모의문제, 기출문제를 예시답안에 맞게 쓰기만 배웠어서요.. 이번에 재수하는데 그냥 학원 안다니고 기출돌려도 될까요..?

  • PLANA · 420505 · 16/01/28 22:18 · MS 2012

    문과논술은 이과눈술과 약간 주안점이 다르다는 사실만 알고 있어서.... 정확하게 답변은 못드리겠네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님이 저보다는 더 많이 아실 것 같습니다. 도음을 못드려 죄송하네요.

  • 아앙아 · 609369 · 16/01/28 23:18 · MS 2015

    수능볼과목과 다른 과목을 논술로 치는 경우도 괜찮나요 저를 예로 들자면 화1생1에서 화1지1으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생명논술 할예정입니다

  • PLANA · 420505 · 16/01/28 23:56 · MS 2012

    나쁘지는 않습니다.
    생명과학 논술이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그쪽으로 해도 괜찮죠.

  • AJStyles · 641740 · 16/01/28 23:29 · MS 2016

    최저가 제일 중요하다에 공감. 특히 영재고, 과고 학생들에게 논술 진입장벽이 생각보다 높은 이유가 수능최저 때문인거 같네요

  • PLANA · 420505 · 16/01/28 23:56 · MS 2012

    최저가 제일 중요하죠!

  • 앞씨 · 570863 · 16/01/28 23:29 · MS 2015

    논술 3광탈 예비3수생으로서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 지우지말아주세여♧

  • PLANA · 420505 · 16/01/28 23:56 · MS 2012

    넵 알겠습니다.

  • 앞씨 · 570863 · 16/01/29 01:11 · MS 2015

    >. <

  • 수분감 · 565221 · 16/01/29 00:00

    스크랩해놓고 두고두고볼게요~
    지우지만 말아주세요ㅠㅠ

  • 일더하기일 · 508868 · 16/01/29 00:28 · MS 2014

    쪽지보냇는데 답장해주실꺼죠??♥

  • PLANA · 420505 · 16/01/29 12:41 · MS 2012

    답장했습니다.

  • 일더하기일 · 508868 · 16/01/29 17:07 · MS 2014

    감사합니다 잘읽었어요^^
    컴공쪽으로 갈려하는데 수학2등급 괜찮나요??물론 꾸준히올릴예정인데
    논술준비를 병행해야하지않을까요??

  • PLANA · 420505 · 16/01/29 19:38 · MS 2012

    국영 안정적으로 1등급 나오면 하세요.

  • 포돌이 · 608875 · 16/01/29 01:31

    작년 지2 하고 올해 지1  하는데 지과 논술해도 괜찮겠죠?

  • PLANA · 420505 · 16/01/29 08:53 · MS 2012

    좋죠 당연히 1,2 다했으면 그쪽 논술 준비하는 편이 훨씬 편하죠

  • 포돌이 · 608875 · 16/01/29 10:08

    감사합니다!

  • 논술은사랑입니다. · 622083 · 16/01/29 09:22 · MS 2015

    생물논술럽니다. 생물논술은 진짜 학원안다니면 답이 천차만별... 허허..

  • [인트] · 583288 · 16/01/29 10:06 · MS 2015

    반수생인데 수리논술인강 기본강좌부터 다 들어야 되나요 현역때 제가 논술을 거의 생각 안하고 살아서 논알못인데...

  • PLANA · 420505 · 16/01/29 10:30 · MS 2012

    반수생이니 시간이 없을 것 같은데 기본 부터 듣기보다는 기출문제해설 위주로 듣기를 권합니다

  • 들녘해바라기 · 580533 · 16/01/29 10:22 · MS 2015

    울의 논술로 가려면 머머준비해야대나요??
    수리논술안에 의학논술,과학논술 포함되있어요?

  • PLANA · 420505 · 16/01/29 10:32 · MS 2012

    울산대 입학처 홈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의학논술 수리논술만 칩니다.

  • [인트] · 583288 · 16/01/29 11:57 · MS 2015

    아 울산의대 과학논술 없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12:41 · MS 2012

    네. 없습니다.

  • 와이낫 · 632918 · 16/01/29 10:59 · MS 2015

    논술에서 내신이 안 좋으면 다 떨어진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자사고 다녀서 내신이 별론데...

  • PLANA · 420505 · 16/01/29 11:48 · MS 2012

    내신이 너무 안좋지만 않으면 됩니다.
    울산대 입학처에 논술에 반영되는 내신점수 한번 살펴보시길..

  • 보재기 · 520246 · 16/01/29 12:53 · MS 2014

    화1,2를 수능보지 않아도.. 3학년때 내신으로 화2를 했다면 화2논술보는게 맞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13:05 · MS 2012

    어느정도 공부를 많이 하시고, 지금 화2책을 펼쳐봐도 대부분 기억이 난다면 화2논술 보는것 괜찮은 생각이죠.

    저도 그랬고요.

  • 보재기 · 520246 · 16/01/29 13:07 · MS 2014

    감사합니다!

  • 욱제 · 645086 · 16/01/29 13:22 · MS 2016

    논술 독학책(수학, 과탐) 없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13:46 · MS 2012

    있으면 좋겠네요..

  • imfact · 497976 · 16/01/29 14:36 · MS 2014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아들이 증3 올라갑니다.  현재 실력정석으로 수2  하고있습니다.수리논술 위하어 경시준비를 해야하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19:34 · MS 2012

    이제 중3 올라가는데 벌써 수2를....?
    일단 여유가 되는 편이니 경시준비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수리논술을 위해서는 경시대회는 별로 좋지 못하죠... 그냥 수학적 사고력을 넓힌가는 의미에서 경시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imfact · 497976 · 16/01/29 20:31 · MS 2014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스눞 · 551067 · 16/01/29 15:58 · MS 2015

    전과생이고정시올인하려했는데
    논술도전하는게옳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19:35 · MS 2012

    아니요. 수학 과탐 하시기도 바쁠 것 같습니다.
    수능에 최선을 다하시길 바랍니다.

  • 스눞 · 551067 · 16/01/29 19:43 · MS 2015

    감사합니다~

  • 병신새끼임 · 522611 · 16/01/29 22:58 · MS 2014

    시험장에서 과탐은 한과목만 응시하면 되나요??

  • PLANA · 420505 · 16/01/29 23:48 · MS 2012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mataon1 · 644092 · 16/01/30 03:58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mataon1 · 644092 · 16/01/30 04:02 · MS 2016

    고3이에요 얼마전까지논술하다가 올려주신글읽고 논술은 미루기로했습니다
    최저를 생각안하고있다가 뒷통수를 망치로 한대 맞은기분이네요ㅋㅋㅋ
    오르비하면서 처음으로 도움받은글이라서 댓글남겨요! 감사합니다

  • PLANA · 420505 · 16/01/30 09:14 · MS 2012

    네 도움이 되었다니 감사합니다

  • 나는7수다 · 636866 · 16/01/31 05:41 · MS 2015

    좋은글들 잘 읽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하도록하겠습니다.

  • PLANA · 420505 · 16/02/03 01:12 · MS 2012

    네.. 도움이 되었다니 감사합니다

  • suH71Ij2PlZmeF · 621919 · 16/02/02 13:47 · MS 2015

    그동안 쓰셨던 글들을 보면 괜히 메이저 의대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 PLANA · 420505 · 16/02/03 01:11 · MS 2012

    하하.... 과찬이십니다

  • 둠둠 · 633432 · 16/02/02 23:46 · MS 2015

    물1 지1 정시파이터인데 의대논술쓰면 광탈이 자명한가요? 메이저는 물론이며 중대의대 경희 의/치 물1으로 커버 안되려나요?

  • PLANA · 420505 · 16/02/03 01:11 · MS 2012

    ?? 논술 잘 쓰면 됩니다.
    굳이 과탐선택에 연연하지 마시길..

  • 뎅뎅 · 623453 · 16/02/06 08:04 · MS 2015

    과학논술 2과목 꼭해야하는건가욥????
    물1 생1인데 이거 두개로 보면안대는건가요?투과목으로 굳이쳐야하는거예요??

  • PLANA · 420505 · 16/02/06 08:51 · MS 2012

    성대만 하실 생각이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 FZeW7pwk8vfCEO · 600176 · 16/02/12 08:47 · MS 2015

    혹시 좋은 논술학원이나 강사 쪽지로 부탁드려도될까요? 수리랑 과학논술 다요~~~~~~

  • 안잘려니졸ㄹ · 309700 · 17/06/10 21:22 · MS 2009

    혹시 수리논술, 생명논술 어느샘 수업 들었을까요?
    저도 논술 의치대 준비하려고 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