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 22>26인 이유 + 기하가 개꿀인 이유(반박환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76427
일단 비교를 위해 같은 유형 문제끼리 배치해 봤습니다.

우선 2230 vs 2628
이건 논란의 여지없이 2230이 더 어렵다 생각합니다.
2628은 정삼각형만 찾으면 끝나지만 2230는 문제 호흡도 더 길고 해석하는 데만 시간이 많이 걸리구요.

2229 vs 2630
이건 좀 갈릴 수 있다 생각하는데 저는 동급이라 생각합니다. 발상 면에선 2630이 더 어려운데 마지막 계산도 벡터 분해하면 계산량도 많지 않고 오히려 풀이 시간만 따지면
2229가 더 문제 푸는 데 오래 걸리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주관식에서 최대 최소 구한다는 것만으로 이미 정답률은 높지 않다는 걸 알 수 있고요. 그래도 2630도 30번답게 만만치 않아서 둘 다 어려운 문제로 정답을 맞히는 면에서는 동급이라고 생각합니다.

2228 vs 2629
마지막으로 말 많은 문제들인데 저는 2228에 한 표를 주고 싶습니다. 2629가 최근 3년간 가장 까다로운 문제는 맞으나 기하 이차곡선 파트에서 가장 기본적인 정의인 초점, 장축, 중선,교차지점 좌표만 미지수 세우면 그냥 일차방정식으로 미지수 다 지워지면서 풀리는 문제였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기하 기출에서 많이 나오던 유형이기도 했고요. 하지만 2228은 식을 3개 연립해서 푸는 문제여서 계산량이 더 많습니다. 여기서 제가 말한 계산량은 단순히 사칙연산이 아니라 식을 세우는 가짓수를 얘기한 겁니다. 물론 2문제 다 실수 유발하기도 좋고 겉보기에 비해 잘 안 풀리는 문제들이라 어렵다는 건 절대 부정 안합니다.
따라서 22가 26보다 아무리 잘 춰줘도 동급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25랑 비교해야하는 느낌이고요.
그리고 기하가 배신 때렸다는 말이 많은데 이정도 난이도는 나와야 확통보다 어렵고 미적에 가깝다 생각합니다 이거보다 쉽고 표점 높은 걸 원하면 그저 수능수학시험에서 꿀만 빠려는 심보가 아닌가 생각들고요...
기하 선택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미적이 어렵거나 도형이 좋아서일텐데 정말 잘 오셨습니다. 저는 미적같이 식 많고 그래프 추론하는 문제들은 정말 시간 오래걸리고 못 푸는데 기하는 문제도 직관적이고 난이도도 미적에 비하면 크게 어려운 적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기하가 진입장벽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일정 한계선만 넘으면 모든 문제가 다 풀리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이 올해 261114 같은 도형 문제나 쉽거나 재밌었다 하면 기하 만점 받을 자격 충분합니다. 이상 대께기하러였고 반박 환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교에서 출력 가능할까요……
-
고대 최근 3개년 결과 보니까 1 0
24 때가 23, 25에 비해 70프로 점수가 좀 높던데 혹시 이유 아시는 분들...
-
지구 개념 기출만 해도 7 0
47까진 뜰거 같은데
-
대구가 너무가보고시픔 14 0
서울밖을 잘 안벗어나봐서... 뭔가 대구가 너무가보고싶음 사투리도 그렇고 호감임...
-
미적 백분위 2 0
원점 92 96 백분위어케됨 99 100 될라나
-
앞으로 문법 글 안 쓸 듯 8 2
난 범부야 수능 어려워이
-
현역 정파였는데 노베로 시작한거라 작수때 65435 받고 12월부터 재수학원가서...
-
수능 끝난 오르비 고닉득 13 0
뭐하고 사냐 요즘
-
진짜 망령이네 나는
-
설문과 ㅇㄷ까지 가능임 이거 1 0
재수생 성불
-
항상 약점을 대비하면 1 0
다른곳에서 뒤통수치더라
-
39번 맞춰서 영어 2떴는데 2 0
기출패턴인게보여서 살았음 그전까지 그냥 얘기하다가 삽입문장으로 전환시키고 짧게...
-
이거 라인 잡아주세요 ㅈㅂㅈㅂ 0 0
ㅈㄱㄴ
-
11312 대학질문 8 0
연고대 가능한가요? 영어가 얼마나 큰지 잘 몰라서..
-
+ 1 1 0
국어 문학까진 ㄱㅊ았는데 독서에서 무너져서 독서 피지컬 기르고 +1 해봅니다
2629가 백호행동 안하면 3차식 뚫어야 하는걸로 알고있어요
아 그런가요 제가 너무 이상적인 풀이만 생각한 걸수도
25는 솔직히 여기 낄 급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2211기하28이 식 3개 세우는 문제엿나
닮은 삼각형 비 3개 연립했던 걸로 기억해요
갠적으로 26수능 이차곡선이 지금까지의 이차곡선중 최고라고 봄ㅋㅋ 기존에는 이런 계산없이 정의긋고 닮음 대칭쓰면 끝났는데 이번은 ebs식 무지성 계산시켜서 현장에서 튕겨나간사람 많을거같네요
현장감 ㅇㅈ합니다
기하하는 n수생인데 쪽찌가능할까요..? 기하에대한 질문입니다....
도움이 될 진 모르겠지만.. 편하게 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