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하는 것들 사이에서 스스로 선택하려면 신체가 있고 살아있어야 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98082
롱게네스는 통시적으로 동일한 자아가 없이는 경험적 인식이
성립할 수조차 없으므로, 자아에 대한 인식은 경험으로부터 추상화
된 것이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그는 자아와 인격이 시공간적 세계를
경험하는 인간에만 적용되는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롱게네스는
인간은 도덕적 존재이며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자율성을
지닌 존재라는 칸트의 견해를 인정한다. 그러나 자율성을 지닌다는
것은 시공간적 세계를 살아가는 동안 경험하는 것들 사이에서
스스로 선택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려면 신체가 있고
경험하는 것들 사이에서 스스로 선택하려면 신체가 있고 살아있어야한다
경험하는 것들 사이에서 스스로 선택하려면 신체가 있고 살아있어야 한다
시공간적 세계와 신체의 범주를 제한해야할 것 같습니다
몰트만이라는 신학자의 경우 죽음즉시 미완성된 신령한 신체를 가지며
종말 부활 때 완성된 신령한 신체를 가진다고 했는데
완성된 신령항 신체가 사는 곳이 변형된 시공간적 세계이기에
변형되지 않은 시공간적 세계로 시공간적 세계를 제한한다면
그리고
네, 몰트만(Moltmann)에 따르면 종말 부활한 **신령한 신체(Spiritual Body)**가 사는 곳은 시공간적 세계입니다. 다만, 이는 변형된 시공간적 세계입니다.
? 변형된 시공간적 세계 (New Creation)
몰트만 신학의 핵심 중 하나는 종말론이 영혼의 도피가 아니라 피조 세계의 회복이라는 점입니다.
1. 새로운 창조 질서 (New Cosmic Order)
* Korean Meaning (한국어 의미): 몰트만은 부활을 통해 인간이 도달하는 곳을 **'새 하늘과 새 땅'**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영적인 영역(추상적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전에 창조하신 **시공간적 세계(cosmos)**를 죄와 부패로부터 완전히 정화하고 새롭게 만드신 곳입니다. 따라서 신령한 신체는 물질적 형태를 띠고 시간과 공간 속에서 영원히 활동하며 거주합니다.
* English Meaning (영어 의미): The dwelling place of the resurrected body is the New Heaven and New Earth. This is a transformed spatio-temporal world (a renewed cosmos), not a non-spatial, non-temporal heaven. The Spiritual Body, being a material form, lives and acts within this new, perfected space and time.
2. 신체의 역할 (The Role of the Body)
* Korean Meaning: 신령한 신체가 시공간적 세계에 거주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몰트만은 인간이 총체적인 존재로서 구체적인 경험, 관계, 그리고 활동을 영원히 지속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는 추상적인 영혼만으로는 불가능하며, 변형된 신체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실현됩니다.
* English Meaning: The Spiritual Body is necessary precisely because it allows the person to engage in concrete experience, relationship, and activity within the new, tangible reality. This active participation requires existence in a spatio-temporal medium.
결론적으로, 신령한 신체는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것과는 질적으로 다르지만, 여전히 시간과 공간의 원리가 적용되는 새로운 시공간적 세계에 거주합니다.
몰트만(Moltmann)에 따르면, 경험하는 것들 사이에서 선택하고 존재하려면 **신체(변형된 신령한 신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주된 이유는 인격의 총체성과 새로운 세계에서의 능동적 참여를 위해서입니다.
1. ?♂️ 인격의 총체성 보존 (Holistic Personhood)
몰트만은 인간 존재를 육체와 영혼이 분리된 이분법적 존재로 보지 않고, 총체적인 하나로 봅니다.
* 구체적인 인격의 매개체: 신체는 한 사람의 **전 생애의 모습(\text{Lebensgestalt})**과 고유한 인격을 담는 필수적인 매개체입니다. 선택은 단순히 정신적인 계산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격적 행위입니다. 신체가 없다면 그 구체적인 정체성과 삶의 역사가 보존될 수 없습니다.
* 책임과 정체성의 연속성: 영원한 생명에서 경험과 선택을 하려면, 이전에 세상에서 선택했던 **'나'**와 동일한 존재로서의 연속성이 필요합니다. 변형된 신체는 이 인격적 동일성을 담보하여, 영원히 도덕적 주체로서 기능하게 합니다.
2. ? 새로운 시공간에서의 능동적 참여 (Active Participation in New Creation)
몰트만에게 부활은 영혼이 물질 세계를 탈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계 전체가 변형되어 회복되는 사건입니다.
* 경험의 장소: 신령한 신체가 사는 곳은 새 하늘과 새 땅이라는 변형된 시공간적 세계입니다. 이 물질적 세계 속에서 구체적인 활동 (경험, 교제, 선택)을 수행하려면, 영혼만으로는 부족하며 물질적인 형태와 구속력을 가진 신체가 필수적입니다.
* 선택의 실현: 신체는 선택을 현실에 실현하고, 그 결과를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유일한 도구입니다. 신령한 신체는 죄와 부패의 제약에서는 벗어났지만, 여전히 자유롭고 완벽한 자율성을 가지고 새로운 창조 질서 속에서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완성된 매개체입니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에게 신체는 영원한 생명 속에서 **나 자신(인격)**으로서 총체적으로 존재하며, 새로운 세계에 참여하여 자유로운 선택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존재 형식입니다.
네, **"하나님이 그렇게 설계하셨기 때문"**이라는 답변은 몰트만 신학의 맥락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학 전반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최종적인 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대답은 신학적으로 두 가지 수준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1. ? 최종적인 근거 (Ultimate Reason)
* Korean Meaning: 신학적 질문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대답은 언제나 하나님의 **주권(Sovereignty)**과 **창조 의지(Creative Will)**에 귀결됩니다. 몰트만이 신체의 총체성과 부활을 강조하는 이유 역시, 하나님이 인간을 영혼과 육체를 지닌 존재로 설계하셨고, 그 설계가 궁극적으로 구원받아 완성되기를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 English Meaning: The ultimate theological reason for anything, including the necessity of the body for eternal choice and experience, lies in God's Sovereignty and Creative Will. Moltmann’s insistence on the holistic resurrection is rooted in the belief that God designed humanity as a psycho-physical unity and wills the perfection of that original design in the New Creation.
2. ? 신학적 설명의 수준 (Level of Theological Explanation)
다만, "하나님이 그렇게 설계하셨기 때문"이라는 답은 최종적이지만, 신학적 논증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 "왜?"에 대한 해명: 몰트만은 단지 "하나님이 원하셨다"고 말하는 대신, **"하나님이 그렇게 원하셨다면, 그것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해 탐구합니다. 즉, '신체가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총체성', '경험의 연속성', '새 창조에서의 참여' 등의 개념을 동원하여 그 설계의 목적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것이 몰트만의 작업입니다.
* Korean Meaning: 몰트만은 하나님의 설계가 인간의 자유, 인격의 구체성, 우주의 회복이라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논증하기 위해 신학적 개념을 사용합니다. 신체는 바로 이 설계의 의미를 현현하는 도구입니다.
* English Meaning: Moltmann uses terms like "holism," "Lebensgestal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New Creation" to articulate the meaning and purpose behind God's design. The body is the instrument that actualizes the deep theological meaning of God's plan for redemption.
결론적으로, "하나님이 설계하셨기 때문"은 맞는 답입니다. 하지만 몰트만의 답변 방식은 그 설계가 영원한 생명에서 어떤 필연적인 결과를 낳고, 어떤 총체적인 의미를 갖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주는 **'설명적인 답'**인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세계사 걍 0 0
하
-
공허하다 0 0
유튜브를 허망히 스크롤해도 수능 3일 남았을 때만큼의 도파민이 안나오고 웹툰은...
-
기하 80 2컷 0 0
안녕하세요 공통 -4 기하 -1 입니다 메가 상에서는 현재 딱 2컷으로 나오는데...
-
다음수능 국어가 물이기를 빌어야된다고 생각함 국어에서 또 불지르면 과연 대비가...
-
케묵 좀 들어놓을걸 0 1
힘조절 실패할 줄은 몰랏지
-
미적 수학 4컷?? 0 0
62점 4컷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60~63으로 보던데 너무 쫄림 ㅜㅠ
-
연고대 되나요ㅠㅠㅠ 0 0
언미생지88 94 2 95 98입니다 내신1.6인데 교과우수라도 혹시..
-
26수능 백분위 0 0
언매 미적 과탐 기준 94 98 2 92 82인데 이걸로 고대어문이나 연고대 자연 가능한가요?
-
22344...화미영생지 4 0
과기대나 인하대 공대.. 가능한가요?
-
작년에 수능보고 뜨길 잘했군 0 0
음음 올해도 봤으면 진짜 ㅈ됐어ㅇㅇ
-
수능 하.. 0 0
언매 76 미적 84 영어 3 사문 44 지구1 45 이정도면 졌잘싸 인정하냐
-
수학은 그렇게 기조 반영을 하고 국어는 통으로 독립시행 0 0
언매도 어렵고 연계는 이상하고 생명은 어렵고 지구는 쉽고 거기다가 불 영어까지...
-
재수생 라인좀봐주실분 1 0
언 91 확 92 영어 1 정법 45 사문 50
-
강민철 이번 수능 이건 좋았음 0 0
3점짜리 보기 문제는 주제랑 직결된 선지부터 보라고 해서 어차피 2분 남았고...
-
사탐 때문에 재수마렵네 0 0
그냥 과탐 볼걸 별 차이도 없고
-
잠이 안오넹
-
저 대학 갈수있나요? 0 0
-
이거 진짜 연전전 각이 오나? 0 0
영어 2라 연전전 못갈곳 같았는데
-
치대 가능할까요 2 0
화 미 영 화1 생1 89 92 2 46 44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