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썽T] 문제 하나 풀고 가실게요~! (비연계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7305

안녕하세요^^ 슈퍼썽 샘입니다.
여름에 개강 예정 중인 슈퍼썽 실전독해(비연계) 교재를 손보면서
여러 종류의 글들 올리는 중간중간에 하나씩 문제도 올릴까해요.
정답은 1.14 0시에 올려드릴게요!
오르비식으로 답 달아보면서 풀어보시면 좋겠네요^^
흠. 일단 올해 처음 던지기 시작한 문제니까
작년 수능 비연계 정도 난이도 맞춘다고 어렵지 않게 푸실수 있게 만들었어요~
설혹 기초가 부족한 친구들은 선생님 개념 문법과 개념 구문 강의부터
힘차게 따라온다면 올해 건승하실 수 있게 옆에서 팍팍! 돕겠습니다.^^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
잘들 풀어보셨나요^^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 희생양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살펴보면, 타인에 대해서는 파악하나 본인과 관련해서는 파악하지 못하는 모순적 성향을 띄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새로이 등장하는 희생양 이론들은 받아들여질 수 없어야 하는데, 3번 선택지의 cannot fail to 는 '~하지 않을 리가 없다, 반드시 ~하다' 의 뜻으로 '새로운 이론이 왜 반드시 크게 오해를 받는가'라는 뜻의 3번이 가장 적절하다. 2번은 새로운 이론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내용이 지문에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등장하였으므로 적절하지 못하며, 4번은 앞의 또 다른 why절의 이해를 통해 부적절함을 알 수 있다. 앞의 why절은 새로운 희생양 이론이 그 단순함에도 규정되기 힘들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새로운 이론인 it(빈칸 바로 앞)은 모두에게 통용되는 단순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규정되기 힘들다는 내용이 되어야 함을 의미하는데, 4번은 동료들의 희생양에 관해서만 설명히 가능하다고 함으로 부적절하다.
해석: 심지어 (정당한 근거를 가지고) 희생양(책임 전가)에 관하여 알아야할 것을 모두 알고 있다고 스스로 자부하는 오늘날의 우리 현대인들 중에서도, 보통 말하는 그런 알아차리기 쉬운 희생양들은 우리의 적의 희생양들뿐이며, 우리의 아군의 희생양들은 찾기가 더욱 어렵고, 만약 이것이 마찬가지로 우리 스스로의 희생양이 된다면, 이것들은 전적으로 희생양으로써 볼수 없게 된다. 유독 흥미로운 희생양은 바로 이 보이지않는 희생양이다. 우리들 안에서의 이것의 계속되는 존재는 우리 이웃의 희생양에 관해서는 맹렬히 비난하면서도 결코 우리 스스로를 이 희생양을 만드는 과정에 잡아넣지 않는 우리의 태도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문자 그대로 이러한 사악함에 사로잡힌 세상 속에서, 이러한 희생양의 모순적인 관점은 왜 새로운 희생양 이론이 그것의 단순함에도 규정되기가 힘들고, 왜 반드시 크게 오해를 받을수밖에 없는가의 진정한 이유이다.
이 지문을 이해함에 있어서 '희생양'이라는 개념을 '책임전가'의 개념으로 바꾸어서 이해하시면
보다 이해가 수월할 것입니다. 위의 해석은 지문 그대로에 충실하기 위해 희생양이라고 가급적
사용하였네요^^
잘 풀어보셨나요^^
그럼 다음에 또 다른 문제로 만나요~!
Good night~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수생입니다 첫 개념인데 한지 사문하구요 6모 전까지 다른 과목하느라 사문만 개념...
-
그냥 수능 때 박은 거라고 보면 됨? 제 얘기는 아니고 지인 성적이긴한데 본인이랑 비슷한 사례같음
-
영어N제 4
수특, 강대서킷도 다 풀어가고 학원 주간지랑 브릿지도 다 풀어서 더 이상 풀게...
-
사문지1하면 됨?
-
어후 피곤하다 1
겜하다 코코넨네 할랭~~
-
현여기 집중력 3
집중력이 넘 떨어져서 넘 슬퍼용
-
없는 거임?? 아젠장
-
망했는데 그거라도 하게 해줘라 어차피 그거 붙잡아봤자 간호사들한테 뚫릴뻔했잖아 침은...
-
민주, 사법부 총공세에 '이재명 면죄법'도 처리... 국힘 "李 독재 정치 신호탄" 2
대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사법부 몰아치기가 끝장을 보고 있다. 헌정 사상 최초로...
-
사탐이랑 수학이 너무 부족해서 수능 한달전까진 내신기간처럼 수면시간 최대로줄이고...
-
되나요?
-
동덕여대, ‘공학 전환 반대’ 시위 참여 학생들 고소 취하 10
‘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나선 학생들을 형사고소했던 동덕여대 측이 고소를...
-
시작해 완강했는데 아직 회독은 안돌렸는데 뭔가 저랑 정식쌤이랑은 안맞는거같아서요
-
6모만 남았다 11
가자가자 TEAM06
-
사문/경제 하는데 개념 다 까먹음 엄... 주 1시간씩은 복습해야겠네..
-
전대실모 후기 6
언미물화 90 100 93 50 50 국어는 평소 실력대로 본듯 수학 서프보다 공통...
-
당신이 주기적으로 씻는 사람이라면 괜찮습니노
-
'미국 대입시험 ACT' 한국서 사전 유출 의혹…경찰 수사 2
지난달 치러진 미국 대학입학자격시험 ACT(에이씨티)의 시험 문제와 답안이 한국에서...
-
롤대남이 서폿하는 여자애 꼬시는거랑 머가 다름 본인은 압구정가서 모델이나 여캠들 번호따고 같이논다
-
수능참전할까 19
알러지에 수전증있고 비위 약한 병신이 이런 일 하는거 맞나
-
홍대사람개많네 1
축제보러왓는데 왤캐많냐
-
짧칼럼 여러가지 쓰면 보시나요?
-
서울대치대 4
서울대 치대 목표로하면 투투가 유리한가요?
-
ㅇㄷㄴㅂㅌ
-
효과가 좋아서 약국에서 한약 잔뜩 들여다 팔고 일반인들 개나소나 경옥고 만들어다...
-
슈퍼비 2
ㅈㄴ좋고
-
정치인들 중 가장 건전한 사상을 가진 윤석열이 반국가세력의 모함으로 탄핵당했다...
-
그래도 40 언저리는 찍히나?
-
난이도 2단계 빈칸 1문제 투척 (도전 가능한 분들만 오세요) 5
이전에 2문제가 난이도 1이라면 이번에는 난이도 2로 가볼께요. 요청하신다면 순서,...
-
뚱뚱하면 2
살을 뺍시다 남자면 머 내 알바아니고
-
정치권 국룰임 이거 정말 서러운 처사가 아닐 수 없다 공보의도 원래 한의사는 안갔다...
-
퀄 기준 0
내가 못 보면 평가원스럽지 않은거임 아무튼 그럼 반박 안 받음
-
지인은 많은데 8
친구는없군
-
큰일났다 6
슬슬 대학 수업을 못따라간다 일반물리학 미적분학 개어렵네
-
누구 또 갔어? 6
잉?
-
본인 3덮 100 4덮 96 에 맞힌거에 확신도 있었는데 전대실모에서 90점에다가...
-
25수능인건가
-
원준햄꺼 풀었는데 그럼 안사도 되나여
-
작수 29,30은 쉽게 푸는데 28번만 못풀겠음 ㅋㅋ ㅜ 이차곡선은그래도 너무...
-
작년 상상 파이널 패키지 개인적으로 좋았는데 물론 만족스러운 점수는 한번도 못받음
-
현역 물1 3모 43(2) 5모 42(2) 입니다 겨울방학에는 모르는 개념 채우고...
-
애초에 입결이 이렇게 거품이 안껴있다면 낚여서 물리는 상위권 인재들이 없었을 것...
-
예를 들면 230630같은거... 일단 가형 기출들은 죄다 조까치 어려워서 배우기도...
-
전대실모 후기 2
화작 95 4덮 대비 좀 쉽게 느껴진듯. 독서가 좀 쉬웠는지 4덮처럼 막 시간...
-
국 영 수 괜찮은 곳 있나요옹
-
들어봐용~~
-
근데 실모 퀄리티를 일반 수험생이 평가할 수 있음? 12
전대실모 얘기 찾으러 디시 돌아다니니까 퀄리티 안좋다는 말이 많네 더프가 더...
-
수능표본이면 예상 1컷 어느정도 될까요 제 개인적 체감은 문학은 쉬운편(연계 체감도...
-
치즈를 좋아하는 7
배찌
12345312345
^^ 내일 밤에 정답과 해설 올릴게요^^
.
딩동댕~! 맞았어요 ㅎ
4..?
^^ 이따 밤에 자정 지날즈음해서 올려드릴게요^^
에궁! 다음 문제에서도 힘내요! 확인해보시고 질문있음 자유로이 주세요~^^
답은 6번
ㅋㅋㅋㅋ 땡 7번이에여 ㅋㅋ
빼박 3번
빼박 ㅋㅋ 맞네요 ㅎ
3번
굿 굿 굿!
3번이긴 한거같은데 뭔가 글을 다른 글에서 잘라오신건가요? 갑자기 the new theory 는 어디서 나온거지.. 앞부분에 내용을 더 넣던지 저부분은 빼야할거같네요
오, 날카롭다잉~ 본 지문은 Williams, J.G. (1991)의 The bible, violence and the sacred: liberation from the myth of sanctioned violence. San Francisco: Harper. 에서 발췌한 내용을 기반으로 제작한 문제에요. 검토진을 아직 운영을 안하고 혼자서 읽고 하다보니 이런 실수가 생기네요. 타인이 검토하기 전에 제 눈에 보이는 부분이 한계가 있네요. 여기서 the는 분명 바뀌어야 하는 부분이네요.
흠. 빈칸에 대한 정답 논란을 피하고, 빈칸 앞의 it이 new theory의 대명사이다 보니 빼기는 어려워요. 정답 논란을 피하기 위해 why 절을 일부러 두개 병치시키되, 앞의 why절은 다소 어려운 단어를 사용해서 빈칸추론에 바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어렵게 해 놓은 것이거든요.
새로 등장하고 있는 내용이고, 그러나 현재의 모순적 상황에서 새로 등장하는 이론이라는 내용으로 크게 내용상 전개에 문제는 없다고 생각되므로, the를 a로 바꾸어 a new theroy라고 해주면 되겠네요.
아! 활동한 내용을 좀 들어가서 봤는데 전전 독수리 되셨군요! ^^ 축하합니다. 제 친구들도 거기 나와서 다들 좋은 직장 들어가서 행복하게 삽니다. 뒷조사(?)를 한건.. 여름에 책으로 비연계 문제들 묶어 책 낼 예정인데 학생분이시면 나~중에 공부하시면서 검토 좀 부탁드리려고 했죠. 대학 생활 하셔야죠 ㅎㅎ
좋은 안목과 지적, 감사합니다^^ 수정하였습니다.
ㅎㅎ네 검토는 부탁만 하시면 언제든지..
(지금 다시 읽어보니까 제 댓글이 약간 기분나쁘실수도 있는 말투였던것 같아서 죄송해요ㅜ)
ㅋㅋㅋㅋ 그럴리가요. 그런 글은 항상 고맙죠. 웹상에 글쓰는데 ㅋㅋ (존대) 이러고 쓸수도 없고 ㄱㅊㄱㅊ ㅎㅎ
저기 modern이 저형태로 동사자리에 갈수있나요?. modernize 와 같은의미인가요?.
we, modern people 처럼 동격인 느낌인데 쉼표는 원래 생략이 가능해요 영어에서
아 감사합니다. 그런 문법사항은 어디서 배우셨나요.ㄷㄷ. b
음.. 딱히 어디서 배운 기억은 없구 많은 지문 보다보니까 그런경우가 종종있어서요ㅋㅋ 저는 영어를 거의 독학해서..
밑에 라이님이 매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간단한 예문을 들면서 이야기해볼게요.
You guys are so lovely. 와 같은 문장을 보시면 You(당신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위해 guys를 더 붙였죠. 대명사를 주어로 사용했을때 그에대한 구체적인 명사 표현을 동격처럼 병치시켜 구어체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내용입니다. 흠.
저도 마찬가지지만 다른 강사님들도 이와 같은 내용을 하나의 강의로 따로 엮지는 않으실 것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EBS 및 독해 강의 등 강의 중 지문 내에서 등장하게 될때 설명하시거든요.
다른 궁금한 표현들도 질문하시면 설명해드릴게요^^
저기 첫문장에나오는 저 관계사절이 어디까지 이어지는건가요?..
Even among us, we 하고 나올때 us의 동격으로 we를 먼저 썼습니다. 그리고 나서 we (modern people) [ who pride ourselves ~~ (~~some justification)] 까지 해서 관계사절이 명사 modern people을 수식해 주는것이죠. 여기서 중요한 것은 we를 주격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목적격과 같은 단순 명사의 느낌으로 사용하는 점입니다.
좀 간단히 도식화 하면,
- 전치사 + 명사, 명사(동격) [관계사 수식] - 으로 판단하게 되죠.
본 문제를 구성할 때 학생들이 다소 까다로워 할 것이라고 판단한 부분이 바로 그 첫 문장 부분인데요. 구어체적인 요소가 가미되어서 사용된 것으로 보셔야 하고, 우리가 가진 문법의 틀로 보면 다소 빗나간듯 보이지만 실제로 저렇게 사용되는 경우가 꽤나 있습니다.
수업에서 항상 강조하는 것이, 제일 처음에는 문법이라는 잣대를 가지고 영어를 공부하고, 그 이후에는 이제 그 잣대에서 벗어나 언어라는 특수성에 기인하여 자유롭게 읽어나가기를 강조합니다. 까다로운 부분이 맞아요.
그렇다고 너무 영알못이라 생각 마세요. 올 한해 다양한 문제를 풀어간다면 그 과정에서 충분히 익히실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부분이 맞구요. 시간은 있으니, 앞으로 배워가야지~ 하시고 화이팅 해요^^
유유
ㅠㅠ 해설 해석 올렸으니 확인해보시고 궁금한건 물어보세요^^
새로운 희생양 이론이란게 뭘 의미한느걸까요~
네. 희생양을 책임전가 라는 단어로 바꾸고서 이해하시면 좀 더 이해가 수월하실것이라고 말씀을 드렸었죠. 기존의 책임전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속에는 본인들의 내부적인 책임전가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책임 전가를 비판하는 데에만 맹렬했었죠.
따라서, 글에 등장하는 새로운 희생양 이론(책임전가 이론)이라는 것은 공정한 잣대를 가지고 무엇이 희생양인가 희생양이 아닌가, 즉 지금 책임 전가가 이루어진 것인가 아닌가에 대해 판단하는 (공정한) 새로운 기준을 의미할 것입니다. 허나 이러한 이론은 결국 인정받기가 쉽지 않다. 이렇게 내용을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문 내용 이해가 좀 어렵죠? 추후에 책으로 나올때는 좀더 이해하기 편한 지문들도 수록할 예정입니다.
일단 여름전까지 공부하실때는 하나씩 꼼꼼히 해석하고, 이러한 내용들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집중하시면서 공부하시고 여름부터는 답 찾는데 좀더 중점을 맞춰서 학습해 가세요^^
ㅎㅎ감사합니다 전체적 맥락은 해석햇는데 빈칸 주위에서 해석이 잘안되서 얼버무리면서 푼거같네요 ㅎㅎ
그래도 답은 일단 잘 내었나 보네여^^ 굿굿! ㅎㅎ
두번째줄에 there절은 어떻게 처리해야되나요? Everything 수식인가요?
Everything there is to know라고 자주 쓰이는 형태가 있어요. 질문자님 이야기처럼 there is (everything) to know 에서 목관대가 이어주는 것으로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