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잘걸 13 0
-
솔직히 우울글 자주 써왔지만 14 0
객관적으로 상위권은 아니어도 인생이 그렇게까지 망한건 아니긴 한데 이번년도 입시...
-
연애는 어떻게 하나요? 15 0
마지막 연애가...... 작년 초엿나
-
연애는 못 해보긴 했는데 14 0
썸도 남중남고라 딱히 못 타보긴 했는데 현실이든 어디든 이성이 딱히 피하거나...
-
설기계가고싶다 11 0
할수잇으련지..
-
킅이 져서 울엇어 13 0
원랜 티원팬? 애호가? 좋아하는편?인데 비디디가 결승을 오니까 맘이 바뀜.....
-
진짜 자야지 13 1
허허 좋은밤되세여
-
내신반영 CC면 자살함 7 0
그럴일은 없겠지
-
얼리버드 기상 10 0
진짜 얼마 안 남았네.. 일단 오늘도 성공
-
공부 열심히 하쇼
-
피의 사탐머신 가동! 9 0
배도 채웠으니 공부하러 가보자!!
-
내년부터는 모든 방면에서 나아지면 좋겠구나 그러려면 우선 입시부터
-
기상 10 0
.
-
반바지 사왓어? 10 0
를 아시나요
-
참깨라면에 계란추가해서 밥까지말아먹는건 정말 맛있구나 10 1
라멘이랑 다른 저렴한 행복
-
야식 고고! 10 0
-
자야하나 밤을 새야하나... 9 0
1교시 수업이긴함..

둘이 헷갈릴 만한 경우가 있어요?
예문 좀
많이 있다
뭐 이런거에서
많이 가 부사인지
많다를 활용한건지
어케 구분하죠
어미 -이는 없다고 보는 게 맞아요
걍 부사예요
부사형 전성어미 이런걸 좀 알아둬야겟네 뭐 잇는지
https://orbi.kr/00075373880/
위 링크 댓글 참고하시고, 부사형 어미는 -게, -도록, -듯이 정도가 학교문법에서 일반적으로 드는 예시입니다
https://orbi.kr/00058939308/
https://orbi.kr/00018522288
표준국어대사전상 부사형 전성 어미 '-이'는 존재하지 않으며 국립국어원은 부사파생접미사 '-이'만 인정합니다. 또, 현재 교육과정상 대다수의 교과서 역시 '-이'를 어미가 아닌 접미사로 설명합니다. 고로 부파접 '-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 부사형 어미 '-이'로 보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는 설명입니다
일관되게 부사형전성어미가 아니라 부사파생접미사로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가장 어려운 파트중에 하나입니다
많이 경험해 보면서 귀납적으로 데이터를 쌓아봐야 돼요
수능이 낼모렌데 걍 안 나오길 바라야하나
부사로 이런 주제를 내는 건 불가능하고, 윗댓분이 말씀하신 대로 관형사vs용언의 관형사형은 나올 만합니다
명사vs용언의 명사형 이것도 나올 가능성은 있고요
이거 보고 말한거긴 함뇨
24수능
3번은 ㄴ이 아니라서 틀렸다고 보면 됩니다. 많이에 크게 신경을 쓰실 필요는 없어요
EBS 역시 국립국어원처럼 많이를 부사로 해설하고 있으므로 굳이 저 문제를 '많이'를 이용해 풀겠다면 '-이'는 부사파생접미사로 보시고 푸시길 바랍니다.
일단 주어진 단어를 활용해 보는게 가장 일반적인 판별법인데, 그걸로도 안 되는 경우도 종종 나옵니다.
(Ex. 다른<- 관형사입니다)
감사합니다 ㅜㅜ
첨알앗네..
나네 ㅋㅋㅋㅋ
여윽시 언매의 신 ㅋㅋㅋㅋ
어캐아냐 이런건
무턱대지 마라
이건 머임 그럼
비문임. 대다수의 언중은 그렇게 안 씀
또, 무턱대다라는 용언은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음
어질어질허네야......
다른 이른 전부 형용사임
다른은 관형사도 있어요
왜 갑자기 딴 소리 함
달리 같이 없이 처럼 부사파생접사 이
교육과정 내에서는
부사 파생 접사는 주로 절를 만들 때 쓰는 거 같아요
윗대분말처럼 교육과정 내에세 비교대상이 아님
정 불안하면 세개 외우시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