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리 [1310649] · MS 2024 · 쪽지

2025-10-28 20:54:53
조회수 143

[대박] 튜링의 정지문제 개소리인거 밝혀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69925

예언자의 출력을 부정하는 기계의 출력을 예측하라


즉,


(예언자->부정자) 라는 기계의 출력을 내부의 예언자가 예언할수 있는가


즉,


(NOT 예언자의 출력)


예언자의 출력=A

(NOT A)의 값이 A와 같을수 있는가


즉,


(NOT A)=A


라는 개소리가 나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적분하는 쌍사 · 1393143 · 1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지피티가 님 쩔대요

  • 부루지 · 1400922 · 10시간 전 · MS 2025

    notA!=A니까 가정이틀려서 A가 존재하지않는ㄴ거져

  • 쿠쿠리 · 1310649 · 10시간 전 · MS 2024

    (NOT A)=A라는 구조자체가 말이안되는건데 그걸왜 A의 탓으로 돌림?

  • 쿠쿠리 · 1310649 · 10시간 전 · MS 2024

    A가 예언자가 아니라 그냥 평범한 진리치를 가져도 말이안되는건데

  • 부루지 · 1400922 · 10시간 전 · MS 2025

    not연산자체가 존재하는 대상한테만 쓸 수 있음

  • 부루지 · 1400922 · 10시간 전 · MS 2025

    not은 이미존재하고 A는 존재하는지 안하는지 모르는데 not이랑 A만을 이용해서 notA=A를 논리적으로 만들 수 있고 이는 거짓이기때문에 A가 존재한다는 가정이틀렷음
    조건1과 사칙연산을써서 1=0이라는 결론이나오면 사칙연산탓은아니니까 조건1탓임

  • 쿠쿠리 · 1310649 · 1시간 전 · MS 2024

    A의 탓이 아니라 NOT A=A라는 구조의 문제임
    A에 예언자가 아니라 나는 밥먹었다를 넣어도 모순임
    그럼 나는 밥먹었다가 문제임?

  • 부루지 · 1400922 · 33분 전 · MS 2025

    나는 밥먹었다로는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서 not A=A를 유도할 수 없음
    근데 A는 A의 정의만으로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not A=A를 유도할 수 있음

  • 쿠쿠리 · 1310649 · 25분 전 · MS 2024

    A의 정의가 예언자의 출력맞음? 예언자의 출력으로부터 어떻게 not A=A를 논리적으로 유도함?

  • 부루지 · 1400922 · 21분 전 · MS 2025

    예언자가 정지할지안할지 알려주는거임? '임의의 기계가 정지할지 안할지 알려주는 알고리즘이 존재한다'로부터 모순을 유도할 수 있음

  • 쿠쿠리 · 1310649 · 16분 전 · MS 2024

    예언자가 있다고 가정하고 예언자의 출력에 부정자를 붙여서 그 부정자로 부터 나오는 출력이 예언자의 출력과 일치하지 않음을 밝힘으로서 예언자가 존재하지않는다는거아님?
    무슨 논리적 도출과정이 있는게 아니라 그냥 예언자의 출력에 부정자를 붙이는게 다아님?

  • 부루지 · 1400922 · 12분 전 · MS 2025 (수정됨)

    ㄴㄴ 부정자 붙이는게 끝아니라 exit( , ) 함수(정지하면 true 안정지하면 false를 뱉음) 를 정의한 다음에
    function subroutine(s) {
    if exit(s,s) == false
    return true
    else
    loop forever
    }
    를 정이하고 exit(subroutine,subroutine)이 정지하는지 안하는지 생각해보면
    정지=안정지
    안정지=정지가 나옴
    그러니까 애초에 exit함수같은건 없던거
    근데 나는 밥먹는다로는 이런코드못짬

  • 쿠쿠리 · 1310649 · 11분 전 · MS 2024

    그게 (NOT A)=A아님?

  • 쿠쿠리 · 1310649 · 11분 전 · MS 2024

    그게 (NOT A)=A아님?

  • 부루지 · 1400922 · 4분 전 · MS 2025

    그걸 논리적으로 유도햇음 저 코드 보면 exit(subroutine,subroutine) 은 true일 수도없고 false일 수도없는데 참도 거짓도 아닌건 없으니까 모순임

  • 쿠쿠리 · 1310649 · 1분 전 · MS 2024

    (NOT A)=A라는 구조자체가 모순이잖음? A가 뭐가되든지 간에 말임
    이건 "예언자의 존재로부터 연역적으로 (NOT A=A)가 도출되고 이것이 모순이니 전제인 예언자가 거짓이다"
    라는게 님이 말하는거 같은데,
    예언자는 그냥 예언자지 예언자의 존재자체가 필연적으로 저 (NOT A=A)라는 모순을 함의,도출하는게 아니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