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출제예감2-사설과 평가원은 이렇게 다릅니다.올 9평으로 적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63687
피드백이 좋아서 비문학편으로 하나더 올립니다. (고정1 이하분들 위한 글입니다.)
시간상 지문과 함께 올리지 못한점 양해바랍니다.
(지문과 함께 작업하면 족히 2시간은 걸립니다.ㅜㅜ )
이전 글 안읽으신분들은 꼭 먼저 읽고 오시구요~^^
지각부호화 지문은,
2017.6평의 재탕수준입니다. (작수 법지문 <보기>문제 2014수능 재탕수준인것처럼!)
기출을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기출에 이미 출제되었던거 모르면 고정1을 제외하면 상당히 불편한 지문이 될수밖에 없습니다.
#직전에 알려드린 원리 9평에 적용해 봅시다.
전체적으로 문제-해결구조입니다. 정답 도출이 생각보다 매우 단순하여 빠르게 풀립니다^^
납득이 잘 안되었다해도 최소한 2문제는 빠르게 풀려야 합니다.
(직전글 꼭 읽고 오세요!)
★고정값 처리 : 모든 소리크기에 균일한 개수의 비트 할당 (압축전)
==> 15번문제의 3번선지 정답으로 직결됩니다.
☆고정값 : 하나더 보이죠? 3문단의 "주파수별로 그 크기가 정해져있다"
★비례관계 : 소리에할당되는 비트개수가 늘면 원음에 가까워진다.
☆문제점: 오피오파일은 전송하기에는 파일양이 너무크다. (압축전)
☆해결책 : 압축해야 한다. --> 기술의 목적 (이지문은 용량큰 오디오파일 압축에 대한 거네요)
★압축전 (비트수 균일할당): 고정값 내용과 같이 모든 "소리크기" 에 비트수 균일할당
해결책 : ★압축후(비트수 차등할당) : 마지막 문단의 비례관계로 표현된, 소리크기와 차폐문턱값 차이가 큰소리일수록 "소리크기" 에 비트수 많이 할당==> 17번 <보기>문제 정답과 직결.
(C보다 D가 소리크기와 문턱값 차이가크니 D의 소리크기 에 많은 비트수 할당해야겠지요!)
즉, 원음에 비트 균등할당, 압축파일에 차등할당.
★4문단 : 중요표지어 <한편> - 직전 문단의 "일반적으로" 와 대비되는게 보여야합니다. 앞문단: 이론적-조용한경우 , 4문단 : 현실-시끄러운경우
자주 나오는구조이니만큼 알아두시고, 결국 현실에서는 차이가 발생하겠죠!
그래서, 직전문단의 "최소가청강도" 와 4문단의 "차폐 문턱값" 의 개념이 중요하며
이걸 인지했어야 합니다.
4문단의 "차폐를 고려한 , 실제 청각이 ~ " 를 통해서 다시한번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기때문입니다.
☆결국, 마지막문단에서 앞문단에서 이미 제시했던 "지각부호화"를 이용하여 '압축'한다고 던졌던 내용을, 비례관계를 통해 '회수' 합니다.
멋진 지문입니다.
역시 평가원 답습니다. 이런 지문구조는 사설에서는 따라할수 없는 큰 차이가 나는 부분입니다!
모든 소리크기에 균일한 개수의 비트가 할당된다. 쉽게 정답으로 이어집니다. 교육청이나 사설에서는 흉내내기 어렵습니다.


최소가청강도와 차폐문턱값의 개념이해가 안되면 판단불가 선지입니다.
최소가청강도와 차폐문턱값이 38로 같기때문에 ,
보기 1번선지는 차폐가 일어나지 않지만 ,A는 들을수도없습니다 (소리크기<문턱값)
2번선지 보세요.
최소가청강도<문턱값 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B,C,D는 모두 차폐가 일어난 경우입니다.
★<보기>문제 실전적풀이:
비례관계가 정답으로 직결되는 흔한 패턴의 문제입니다.
소리크기와 차폐문턱값의 차이가 클수록 여기에 비트를 많이 할당한다. 선명하고 또렷하고 감도높은 소리에 비트를 많이 할당해야하니까요
(소리크기가 문턱값보다 훨씬 크면 큰소리는 잘들리고 임계대역안의 작은소리는 묻힌다)
5번선지:
▶C의소리 63-38 / D의 소리 55-6 , D가 차이가 많이나죠? 그러니 차이가 많이 나는 D에 더많은
비트를 할당해야겠지요~
★결론: 고정값(떡밥)==>비례관계(회수)
압축전 비트수 균일할당(고정값) ==> 압축후 차등할당(비례관계, 더큰소리에 비트수 더많이 할당)
좋아요 와 격려 댓글에 따라서,
문학도 올릴지 결정됩니다^^
0 XDK (+10)
-
10
-
84아래?
-
21번 답 2 0
540인사람..?
-
ㅅㅂ 나만어려웠나보네 4 0
8번에서 계속 해도 자꾸 18곱6 나오길래 딴거 했다가 다시와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
허수 10덮 국어 수학 후기 2 0
국어 저만 문학 어려웠나요? 뭔가 으잉?하고 독서론 가니까 음?음? 전체적으로...
-
수학 3점짜리가 겁난다 2 1
실모풀때 11~15 20~22는 별로 안두려움 8번,9번이 개무서움 한번 막히는순간=시험 못봄
-
파멸적인3연승 0 1
고고혓
-
14번 3번맞나여 2 0
2 6 7 마이너스생략
-
어 션티야 0 6
션티야 고마워~~~ 올해 1월부터 키스타트, nf, 키스로직 해가면서 솔직히 의심...
-
D-23, 삼수기록 #267 4 0
-
더프 수학 14번 2 0
-2 -6 -7 끝 아님?
-
아씨발 왜 21번 540아님 2 0
아
-
오르비의 누군가에게 받은 프롬프트로 독서 지문을 만들어봣다 3 0
### ? 인간의 내장과 소화 효소 — 십이지장과 췌장의 기능 음식물은 인체의...
-
국어 질문 1 0
윗글에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문제인데 이걸로 구름도 온도를 낮춘다가 맞을 수...
-
이거 이렇게 하는거맞음? 2 0
분모,분자를 x²-1로 나눔
-
수학2 함수추론 자작변형문제 4 0
예전에 올렸던 문제를 변형해봤어용 두 점의 좌표에 주목하시길..
-
부모님이 알면 뒷목 잡고 쓰러질..
-
근데 대성수학 2 0
김범준이 1타먹을거같음? 근데 범준이는 수학 잘하는 사람들한테 좋고 노베는...
-
ㅇㅂㄱ 3 2
-
밥 언제 줘 ㅅㅂ 2 0
식당 빨리 열어라 좀


왓!문학 칼럼은 어디있을꺼요 ㅜㅜ 안보여요
칼럼 1,2 (맨처음부분) 쪽으로 가보세요
10개년 정도 비문학만 올려주신거 바탕으로 보고 있는데 해당 지문에서 어떤 패턴이 쓰였는지는 혼자서 분석할 수 있을까요..? 전반적으로 어떤 패턴들이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어서 힌트나 조금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저 문제해결 구조라는걸 저번 게시물에선 과학 기술 지문에서의 패턴을 올려주신거 같은데 인문이나 법 같은데에서도 같게 사용 가능한건지 다른건지요 혹시 다르다면 그 쪽에 대한 힌트도 주실 수 있을까요?
지문의구조는 단순합니다.
꼭 기억해야할 구조는 문제-해결/ 질문-답변 정도로만 생각하고.
올려놓은,
중요표지어 놓치지말고 문장납득하며 납득불가문장은 체크후 서치할 준비해놓는 겁니다.
선지는,
인과관계등 선후관계 오류.
비례관계 오류.
개념정의 오류.
단어바꾸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