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윤 1번 틀리는 흑우는 없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03522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과 드립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설명을 위해서라면 교육 과정의 선타기가 아니라 선에서 멀리뛰기를 시전하는 필자이니 이점 유의 바랍니다. 반박시 여러분의 의견이 맞습니다.
*필자가 재미있는 글을 추구하다 보니 맞춤법 실수가 잦습니다. 사실 그냥 능지가 모자란 것이니 넓은 아량을 베풀어 양해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네 여러분 반갑습니다. 눈덩이 아카이브의 필자 눈덩이입니다. 생활과 윤리를 응시하는 수험생들이 확신할 수 있는 것은 1번 문제는 윤리학의 분류 문제가 출제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절대라는 것은 없으니 평가원이 변주를 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1번 문제는 윤리학의 분류 문제로 출제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 1번은 가장 쉬운 문제로 손꼽히는 유형입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윤리학의 뷴류’를 표로 그려 외우고 있을 뿐 ‘스윙’하고 있지 않습니다. 수능에서 1번 문제를 틀리는 흑우가 되지 않기 위해 혼자서 제대로 개념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첫 번째 질문을 던져 봅시다.
Q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윤리학이 뭘까요? 연계 교재들에서는 ‘도덕적 규범과 의문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방금 이걸 대답하신 분이 있다면 ‘스윙’을 하고 계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질문을 던져 봅시다.
Q2: 도덕적 규범과 의문을 왜 탐구해야 하는가?
이건 연계 교재에서 윤리학의 특징을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실천을 목적으로 삼고, 인간의 행위가 도덕적 차원에서 인정받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준을 탐구함’
인간의 행위에 규범이나 기준이 필요한 이유는 어떻게 행동해야 가장 이상적인지 판단할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윤리학이 던지는 질문은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인 것이고, 윤리학이라면 규범, 이론, 실천, 메타, 기술 어떤 것이던 인간의 행위 기준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메타와 기술 윤리학을 암기로만 공부한다면 이런 선지가 나왔을 때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제 우리가 알고 있는 윤리학을 분류시키는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Q3: 윤리학의 핵심 과제는 무엇인가?
tmi인데 요즘 윤리학 분류 문제들을 보면 문제가 이렇게 나옵니다. ‘(가), (나) 윤리학의 핵심 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게 윤리학 분류에 있어 핵심이 되는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핵심 과제가 무엇이냐는 답변에 따라 우리에게 익숙한 하위 윤리학들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위 윤리학들의 특징들은 안타깝지만 외워야 합니다. 암기를 안할 수는 없죠.
q1: 규범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규범 윤리학이란 도덕적 행위의 근거가 되는 도덕 원리나 인간의 성품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문제의 해결과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윤리학입니다. 해마다 연계 교재에서 살짝 단어를 바꾸기는 하지만 ‘도덕적 원리에 대한 탐구’와 ‘도덕적 문제 해결’을 위한 규범 정립에 집중하는 윤리학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규범 윤리학은 원리를 강조하는지 실천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이론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으로 구분됩니다.
q1-1: 이론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앞선 내용을 이어 받아 도덕적 원리나 인간의 성품에 대한 탐구에 집중하는 윤리학이 규범 윤리학의 하위 분류 중 ‘이론 윤리학’입니다. 역대 기출 중에 외워 두면 좋은 선지들을 조금 선별해보겠습니다. 이건 자주 읽어두면 눈에 익을 것이니 봐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굳이 ‘도덕적 원리’와 ‘인간의 성품에 대한 탐구’를 분류한 것은 필자의 뇌피셜이 아닌 수능 특강의 정의에 따른 것이며 이론 윤리학의 예시로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마 저렇게 나눈 이유는 보편적 원리보다는 인간의 성품을 강조하는 덕 윤리 때문일 것입니다. 물론 연계 교재의 정의상 ‘덕 윤리는 보편적 원리를 부정한다’ 같은 선지는 출제하지 못할 것이며 출제를 하기 위해서는 6,9평에서 한번 정의를 내려 줘야 할 것이니 수능에 곧바로 출제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① 이론 윤리학은 당위의 학문이라는 윤리학의 본질적 성격을 강조한다. [2019학년도 9월]
② 이론 윤리학은 도덕 문제 해결에는 행위의 선악을 판단하는 도덕 원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2021학년도 수능]
③ 이론 윤리학은 도덕적 삶의 지침이 되는 보편적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2024학년도 수능]
사실 1번 문제는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 막 어려운 것은 없지만 ‘도덕 문제 해결’을 언급하여 실천 윤리학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함정 정도는 주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1-2: 실천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실천 윤리학은 도덕 원리를 적용하여 구체적인 삶에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윤리학입니다. 실천 윤리학은 실천적 해결을 위해 다른 학문들과 유기적으로 연게하는 ‘학제적 접근’을 강조한다는 점을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주의하실 점이 실천 윤리학이 학제적 접근을 강조한다는 것이 다른 윤리학들이 학제적 접근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실천 윤리학의 두드러지는 특징이라는 뜻입니다.
① 실천 윤리학은 인접 학문들의 학제적인 연계를 중시한다. [2016학년도 9월]
② 실천 윤리학은 구체적 삶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을 중시한다. [2020학년도 수능]
③ 실천 윤리학은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삶의 이상에 대한 규범적 탐구를 강조한다. [2023학년도 수능]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윤리학 문제에서 주로 쓰는 함정은 이론과 실천 윤리학의 특징을 섞어 마치 틀린 선지처럼 내는 것입니다. 이 둘이 규범 윤리학에서 나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통점으로 인정할 수 있는 부분인지 다른 쪽에서 강조하는 부분을 진짜로 잘못된 선지로 출제한건지 주의하셔야 합니다.
q2: 메타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도덕적 추론의 타당성과 관련된 논리를 분석하는 윤리학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이게 왜 윤리학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우리처럼 ‘윤리학’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지 않고 그냥 외웠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윤리학이 인간의 행위 기준을 만들기 위한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해봤을 때 논리적으로 행위 기준에 문제가 없는지 판단하는 학문이 필요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①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담론의 논증 구조에 대한 논리적 분석을 강조한다. [2023학년도 수능]
②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담론에서 논리적 추론의 타당성 검증을 강조한다. [2024학년도 6월]
③ 메타 윤리학은 도덕 언어의 의미와 도덕 추론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2024학년도 수능]
④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를 정당화하는 도덕 원리를 정립하고자 한다. [2025학년도 9월]
⑤ 메타 윤리학은 도덕 명제의 논리 구조와 도덕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2025학년도 9월]
메타 윤리학은 대개 일관적인 내용이 출제되지만 다양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사실 위에 선별한 선지 모두 검사, 검토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타 윤리학은 규범 윤리학에 논리적으로 선행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라는 명제 정도가 처음 보면 판단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이는 연계 교재의 자료에서 나온 적이 있으며 의역하면 ‘인간의 행위 기준을 마련하기 전에 검토하는 과정이 논리적으로 선행한다’ 정도로 받아들이시면 이해하기 편하실 것 같습니다.
q3: 기술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기술 윤리학은 도덕적 관습이나 풍습 등을 경험적으로 조사하여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윤리학입니다. 참고로 규범 윤리학이나 메타 윤리학은 ‘철학적 연구’를, 기술 윤리학은 ‘과학적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이 2026 수능 특강 자료로 나왔다는 점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이 부분은 아직 출제된 적이 없으며 낸다면 꽤 난이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① 기술 윤리학은 각 사회의 도덕 현상에 대한 객관적 기술을 중시한다. [2016학년도 9월]
② 기술 윤리학에 따르면 도덕 현상을 가치중립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2023학년도 9월]
기술 윤리학 기출 선지는 대개 이런 느낌이고 오히려 위에서 강조한 수능 특강 자료를 인용하겠습니다. 출처는 2026 생활과 윤리 수능 특강 7p 자료 플러스 해설입니다.
“기술 윤리학은 개인의 생활 그리고 사회의 구조와 기능 속에 존재하는 도덕 현상에 대한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관찰을 통해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에 주력하는 윤리학이다. 도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기술 윤리학은 도덕에 대한 철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규범 윤리학이나 메타 윤리학과 구분된다.”
이 정도로 공부를 하셨다면 이제 우리는 수능에서 흑우가 되지 않을 준비가 된 것 같습니다. 복습을 하고 싶다면 아래의 질문들을 적어 놓고 본인이 대답을 잘할 수 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필자는 철학 생도로서 신경 윤리학을 '윤리학'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생략하겠습니다. 생활과 윤리에서 도덕 과학적 접근을 있는 힘껏 포장하고 있는데 신경 윤리학은 윤리학의 근본을 공격하는 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런걸 윤리학에 집어 넣은 교육부는 반성했으면 좋겠습니다.
Q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Q2: 도덕적 규범과 의문을 왜 탐구해야 하는가?
Q3: 윤리학의 핵심 과제는 무엇인가?
q1: 규범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q1-1: 이론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q1-2: 실천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q2: 메타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q3: 기술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는 눈덩이 아카이브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터디메이트 구합니다 5 0
수능전까지 스카에서 좀 빡세게 돌리려하는데 스터디메이트 하실 분 계실까요? 열품타로...
-
진짜 있는건 맞겠지?
-
수학 실모 이해원 3 0
미적 10모 88점 나와서 자만할까봐 이해원 모고 즌1 0회차 풀었는데 13 15...
-
육군 군수 3 0
육군 군수 어떰?운전병 가서 할 거 같은디
-
수학 원래 갑자기 확 오름? 2 0
최근에 실모 점수가 갑자기 확 올랐는데 너무 갑자기 오르니까 더 불안함 원래 이렇게...
-
연애하고 싶네 2 1
근데 화작이 공부량이 훨씬적음
-
엄마가 핏짜 시켜주시면 몰래 거기 위에 도미노를 해놓는거임 엄마 오실때쯤 도미노를...
-
13세 설경이던데 주작인가
-
갑자기 영어 실력이 왜 늘었지 4 0
6모 2등급 9모 3등급 따리인디 요즘 1주간 영어 기출 매일 하나씩 풀었더니...
-
내안을~~~ 파고드는~~~ 2 0
예아
-
햄부기햄부거햄부기온앤온 3 1
햄부가티
-
ㅠㅠ
-
자못 사뭇 2 0
사뭇 때문에 가끔 자뭇으로 쓰는데 ㅈㄴ 헷갈림 ㅋㅋ
-
사실 수능 1타는 김동욱임 2 0
국어뿐 아니라 수학 영어 탐구도 자꾸 반응을 해야함
-
혹시 백만덕 주실 분 3 0
필요함
-
좃댔다 4 2
아무것도하기싫다 점심 과식했나
-
스블해야겠다 2 0
스카이 블루
-
Blackbird singing in the dead of night 3 0
Take these broken wings, and learn to fly All...
-
인하대는 요즘 왜그럼?ㅋㅋㅋ 2 0
성폭행 터진 이후로 계속 이상해지네 에타 퍼나르는 애들도 존나 많아지고 학교 내부...
-
중간 0점맞고 2 0
기말 100점을 노리면 되겠지 아오
와드하고정독
일단개추
저기 메타 윤리학 예시로 올해 9평 선지들이 나와있는데 올해 9평에 나온건 메타가 아니라 규범윤리학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