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지식은 독해의 전부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23685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많은 학생이 ‘배경지식’을 단순히 읽고 외우는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배경지식 학습은 지식이 왜, 어떤 맥락에서 생겨났는지를 이해하는 사고의 틀을 세우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서양 철학의 역사는 흔히 ‘이성과 감성’의 대립으로 설명됩니다. 그런데 그 대립의 뿌리를 더 깊이 들어가 보면, 그리스의 두 신 ―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 에서 출발합니다.
아폴론은 질서와 조화, 명료함의 상징이고, 디오니소스는 광란과 감정, 파괴의 상징입니다. 이 두 신의 대비가 바로 서양 철학 전반에 흐르는 이성과 감성의 근원적 대립 구도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동양인의 시각에서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세계관이 직관적으로 와닿을까? 혹은 너무 낯설고 추상적으로 느껴지진 않을까?
우리가 배우는 철학은 종종 “삶과 밀접하다”고 말하지만, 사실상 ‘그리스인들의 사고 체계’라는 렌즈를 통해 본 세계관을 배우는 셈입니다. 즉, 철학은 보편적 진리라기보다 특정 시대와 문화, 즉 그리스 문명의 ‘이성과 질서’ 중심적 사고가 반영된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이후의 철학사 ― 중세, 근대, 현대 ― 는 결국 이 그리스적 사고 체계를 전복하려는 시도들의 역사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전복의 과정이 바로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문명》 교재에서 다루는 배경지식 세션은 단순히 지식을 쌓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왜 이 철학자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가?”를 스스로 묻고, 그 사유의 근거를 탐구하는 시간입니다.
<문명 교재 구입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철학적 이해란 ‘정답 암기’가 아니라 사유의 연결망을 구축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학생은 공자=인의 철학, 아리스토텔레스=형상과 질료, 톨스토이=도덕적 실천처럼 ‘공식’으로만 철학자를 외웁니다. 하지만 이런 학습으로는 사고력, 즉 생각하는 힘이 자라지 않습니다. 진정한 사고력은 서로 다른 지식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생겨납니다. 철학, 예술, 과학, 정치가 한 축 안에서 맞물려 돌아갈 때, 비로소 그 사람의 머릿속에 ‘지식의 구조’가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경지식을 공부할 때는 ‘이 철학자의 사유는 어디서 출발했는가’를 중심으로 읽어야 합니다. 또한 같은 주제를 다루더라도 여러 철학자와 사상을 연결해보며, 시대적 변화와 전복의 흐름을 스스로 정리해보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유튜브에는 이미 훌륭한 철학 강의들이 많습니다. 굳이 제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한 주제를 정하고 여러 시각에서 탐구하며 서로 연결 짓는 힘을 기르는 것이 배경지식 학습의 핵심입니다. 결국 철학 공부란 ‘남의 생각을 외우는 일’이 아니라, ‘생각이 어떻게 생성되는가’를 이해하는 일입니다.
+ 아래는 작년 리트 수업을 수강했던 한 여학생의 ‘필기 노트’ 입니다. 이 학생은 법학 세션에서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을 학습했습니다.
그 사고의 뼈대가 바로 26년도 리트 1번 지문에서 출제되었습니다. 리트 문제에서 해당 개념의 ‘기표’(용어) 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유의 구조는 완벽히 동일했다는 것입니다. 즉, 단어는 달랐지만 말하고자 하는 철학적 내용은 같았습니다.
많은 학생이 배경지식을 쌓을 때 ‘100명의 철학자’, ‘200개의 개념’을 외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오히려 그 반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100명의 암기보다 중요한 것은 ‘30명의 제대로 된 연결’입니다. 즉, 모든 지식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문명》 교재에 등장하는 30명의 사상가, 그들의 사유가 어떻게 시대와 철학을 이어왔는지를 ‘깊고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30인의 사상만 온전히 내면화한다면, 그 위에 쌓이는 새로운 지식들은 결국 그들의 연장선 위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됩니다.
너무 쉬운 문제.
26년도 리트 지문 중 1번 관련 문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미 문명 교재에서 다루는 철학적 흐름을 학습한 학생이라면, 분석할 필요조차 없이 지문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결국 배경지식은 양이 아니라 구조입니다.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소테리아의 길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긴장된당..
-
시대인재 수학 서바 1회 답지 있는 사람 공유할 수 있으면 공유해주세요 문제 풀고...
-
김기현 싱커 4
친구가 싱커 다풀고 그냥 책장에 박아뒀길래 문제 몇개 봤는데 생각보다 풀만하던데...
-
근데 사문 응시자수 26만명이라고 들었는데 이러면 과탐보다 등급 따기 어렵잖아
-
으아우아ㅓ오아ㅓㅏㅇ앙
-
어쩌다보니 그렇게 됐음 접수는 해놨음 학교공부랑 병행해야됨 중간고사 끝나면 시작...
-
무신사에 엄청 비싼 옷들 디자인 비슷한걸로 쿠팡에서 사려는데 비싼옷 품질이 좋은...
-
80점 21 22 28 29 30틀 그냥 시험지 난이도 구성이 진짜 딱 9평...
-
10 11th 2025 Unsplash의 무료 가위 이미지 맥가이버칼을 아시나요?...
-
21 28 30틀 88 미적이 어렵군뇨 21 실수틀이 좀 아쉽긴 한데 그래도...
-
수능영쌤추천 1
고2 학생으로, 모의고사와 내신 영어 모두 2등급 수준입니다.수능 영어 대비를 위해...
-
뭐지
-
(고민) 요즘 공부를 해도 하는건지 안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2
국어(아수라 총정리과제) 영어(이명학 수능루틴)를 매일 풀어주고 있는데요… 매일매일...
-
미적 28번 조건해석 다하고 그래프 다그리고 미지수 다구해놓고 평행이동 되었을때...
-
님들아 ㅈㄴ 급함 물리 11
특모 시즌2 이제 반풀긴했는데 하나하나 풀때마다 자살마려운 점수가 나오는데 원래...
-
통통이입니더 1일 1실모 하려하는데 풀만한 실모가 뭐있을까요? + 1일 1실모에...
-
난 과외를 하는 게 맞을까 ㅜ 학생이랑 같이 수업 들어야 할 팔자인데 이거
-
실모타임이구나…….
-
10 곱하기 71의 제곱 뭐가 더 크게 ㅎㅎ
-
멋진 시람들은 하나같이 외면뿐만이 아니라 내면부터가 아름답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9모는 1이긴했는데 수능때도 무조건 1떠야해서 좀 불안함 도표 20번 틀렸고 그...
-
아니 왜이렇게 어려움 어려워서 다음 기출로 넘어갈 수가 없음…한 5일동안 붙잡고...
-
몇프로나 될까나
-
수학 고민… 0
킬러 문제도 시간만 쫌 주면 잘 푸는데 현장만가면 잔실수 ㅈㄴ 많이하고 볼 수 잇던...
-
수능 적중시키려고 일부러 수능 출제기간 맞춰서 실모 내는거임?
-
사문 질문 0
공식 조직은 뭘 기준으로 찾을 수 있나요?
-
전날 운동했으니까 아침에 훨씬 피곤해야되는데 막 하체운동해서 그런지 잠자는내내...
-
서강대 마렵다
-
큐브 미친년들 개많네 17
하 뭔 거의 40분동안 설명 계속 해줫는데 내가 ‘이러이러 하다고요‘ 했더니 지가...
-
무엇이든 답해드립니다 30
아마도
-
등로ㄱ금이살살녹는구나...
-
정병훈쌤 2
정병훈쌤이 수능수학 노베라치고 지금 시작하면 수능 몇등급예상하시나요???
-
"싱담"
-
잠온다 3
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다잠온...
-
커넥션이 더 어려운데 정상??인가용
-
슬프다 3
슬픔이
-
대학 질문이든 정시 질문이든 다 ㄱㅊ
-
아폴로좋음? 0
풀까
-
밥 뭐먹지 5
ㄹㅇ..
-
학교는 동국대(씹 우주상향) 세종대 아주 인하 썼습니다 자연논술 붙으셨던분이나...
-
클로할사람~ 6
이 링크를 클릭해서 내 클래시 로얄 클랜에 가입하세요!...
-
28,30 왜이리 어려워..
-
쥰나 놀랐네 근데 이거 화작 기출에 있는 내용 아닌가?
-
이거뭐냐 1
나 젠지팬인데 이겨주겠어
-
예아
-
외울게 많네
-
투표 궁금하네요
-
난이도는 9평이었으면 1컷 몇 잡힐 것 같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