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인문논술 첫날 경쟁률 심상치 않은(?) 부분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27153
안녕하세요, <인문논술 벼락치기> 저자 Jangwon_주영 입니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두서 없이 급하게 쓰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2026 경쟁률 심상치 않은 부분이 보여서 원래는 계획에 없던 칼럼 하나 던집니다.
2026 연세대 수시모집 첫날 경쟁률 방금 막 찍어왔습니다. (2025/9/10 00:20 촬영)
캡처된 해당 학과들은 모두 '인문 논술' 전형으로, 모두가 같은 시험지를 공유하는 통합 선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문/상경 계열 구분 X)
저희 팀에서 바로 직전 게시물에 5개년 지원자 수와 경쟁률 추이를 분석하여 올려드렸으니, 해당 게시물을 먼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게시물을 확인했다는 전제 하에, 설명 시작하겠습니다.
연세대 인문논술 쓰는 학생들이 경쟁률 눈치싸움을 하는데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0. 전제
제가 첫날 경쟁률 지표를 유심히 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Case 1. 내가 정말 논술을 오래 준비했고 자신이 있는 '실수'이거나, 특정 학문에 대한 뜻을 가지고 깊은 탐구를 해 본적 있는 학생임
Case 2. 학원을 비교적 짧게 다녔고, 논술을 오래 준비하지는 않았음. 상향 원서로서 전략적으로 카드 한 장을 채우는 형태로 지원함
이 중, 눈치 안 보고 첫날에 지원할 케이스는 어디일까요?
당연히 Case 1 학생들입니다.
즉, '논술 괴물' 들은 Case 2 학생들에 비해 첫날에 지원하는 경향성이 높습니다.
첫날에 몰리는 과가, 실수들이 많은 과일 확률이 높은 것이죠.
그러므로 눈치 싸움을 위해서는 첫날 경쟁률의 경향성과, 마감 직전 경쟁률로 쌓인 표본의 경향성을 함께 고려하여 원서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1. 철학과가 매우 심상치 않다
철학과는 원래, 오로지 연세대 철학만 바라보고 논술을 쓰는 학생들이 경쟁률 눈치 안 보고 뽑는 경향이 있어서 최초 경쟁률이 높고 시간이 갈 수록 안정화되면서 전체에서 중하위권 경쟁률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근데, 10:1이라는 수치는 예상을 벗어나는 높은 수치입니다. 거의 경영학과에 필적할 수준으로 철학과 경쟁률이 높게 잡힙니다.
늘상 최고 인기과인 경영학과 수준으로 경쟁률이 잡혔다면, 앞서 [전제] 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실수 학생들이 몰려 있을 확률이 큽니다.
심상치 않네요..
문과대에서 가장 인기 많은 학과인 심리학과의 7.25:1도 뛰어넘었고, 심지어 어쩌면 경영보다 더 논술 괴물들이 쓰는 언홍영의 7.6:1도 뛰어넘었습니다.
최종 경쟁률은 일반적인 철학과 경향 상 문과대 중위권 정도로 잡힐 것으로 보이지만,, 첫날 경쟁률만 본다면 실수가 몰려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자랑스럽다 진리의 빛 연세철학!) (더 높이 올라가자)
2. 국어국문도 심상치 않다
전통적으로 문과대 경쟁률 1황은 심리학과, 2황이 영어영문학과입니다.
아무래도 국문은, 영문보다는 낮고 불문 중문 노문 독문보다는 높은 경쟁률을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좀 다를 수도 있겠네요. 국문과 첫 날 경쟁률이 상당히 높게 잡히네요.
국문도 철학처럼 초기 경쟁률이 튀는 경향이 있는 학과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소 높게 잡히는 감이 있습니다.
하루 앞서 원서 접수를 시작한 고려대 경쟁률을 보면, 국문과 철학이 튀고 있기는 하지만, 유사 경쟁률을 가진 타 학과가 다수 존재한다는 점에서 연대 국문이 조금 더 튀는 감이 있습니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이, '다음 세대 한강'들에게 영향을 주었을까요?
조만간 문과대 1, 2황 자리를 철학과 국문한테 넘겨줄지도?
3. 진리자유학부, 생각보다 안 터진다?
제가 이전 게시물에서, 한양대의 사례를 들며 진리자유학부가 경영학과를 필적할 높은 경쟁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그런데, 경영의 10.07:1과 비교했을 때 진리자유의 첫 날 경쟁률은 5.75:1, 문과대 경쟁률 대장인 심리학과보다도 적습니다.
진리자유학부가 입학 후 메리트가 크기에, 긍정적으로 고려해볼만 한 대표적인 과로 판단됩니다.
4. 경제학과 인원 반토막, 성능 확실하네
논술 외의 수시 전형에서 상경대학에 '상경계열' 이 신설되고, 진리자유학부 신설 인원을 상경대학 논술 인원에서 빼 오면서, 경제학과 첫날 경쟁률이 많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13명, 2025년 10명을 뽑던 경제학과가 올해는 단 5명만을 모집합니다.
2024년 4명에서 2025년 2명으로 감소한 응용통계학과는 오히려 경쟁률이 올라간 만큼, 인원이 준다고 경쟁률이 반드시 내려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경영과 항상 세트로 따라다니는 인기학과인 경제학과의 첫날 경쟁률이 5.00:1이라면, 예전의 연세대 경제보다는 경쟁력의 위상이 확실히 낮아진 것이 느껴집니다.
경영학과에 벽을 느껴 경제를 쓰던 학생들이, 이번에는 진리자유학부라는 또 다른 선택지가 생겼음을 생각하면, 해당하는 학생 집단이 진리자유와 경제로 양분된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5. 결론
여전히 선택은 학생의 몫입니다. 결국 논술을 직접 응시하고, 자신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건 자신 뿐이니까요.
해당 자료는 경향성을 예측하고, 연세대 논술 합격자이자 저자, 강사로서 드리는 제언이므로, 참고용으로 잘 확인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사람 너무 빙빙 돌려 말하는데' 라고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 다른 결론도 드리겠습니다.
누가 칼 들고 협박하면서 '야 나 연세대 논술 어디 쓸까' 라고 묻는다면, 철학과 쓰라고 얘기 하겠습니다. 저를 협박했으니까요 ㅠㅠ
그리고 뒤에서 몰래 진리자유랑 경제 중에 고민하다가, 경제 넣겠습니다.
*연세대는 인문논술 전형에 대한 결과나 통계 자료를 정말 거의 공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가 드리는 내용도 어디까지나 예측입니다.
즉, 제가 드리는 내용중에 '사실'과, 이를 기반으로 한 자체적인 '예측과 분석'이 섞여 있습니다.
사실은 이견 없이 받아드려도 좋으나, 제 분석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원서 영역은, 학교의 모든 통계를 가진 행정 담당자가 아니라면, 그 어떤 논술 전문가도 정확히는 맞출 수 없는 영역입니다.
(이건 명백한 '사실' 입니다.)
본 게시물에서, '심상치 않다', '예측된다' '~할 것으로 보인다' 는 예측과 분석의 영역으로, 여러분은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제가 단정적으로 '~이다.' 라고 서술하는 것은 사실의 영역이므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사실의 영역을 잘 받아들이시고, 예측과 분석의 영역을 잘 참고하시어 슬기로운 원서 접수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제가 과의 경쟁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들은, 과의 수준, 입결, 아웃풋 등과는 관계없는 서술입니다.
댓글에 인문논술 관련해서 궁금한 말씀 물어봐주시면, 제가 답변 가능한 한도 내에서 답변 드립니다!
연세대학교 인문논술 지원하는 모든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
합격자가 직접 집필하여, 사후적 풀이는 배제하고 ‘실전적 요소’를 극대화한 지금까지 없었던 인문논술 교재!
인문논술 시험 직전 '3일 컷 독학서' <인문논술 벼락치기> 연세대학교 편 출간!
구매 바로가기: https://atom.ac/books/13535/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astkice라고 치면 나오는데 님들한테는 안알려줄거임ㅋㅋ
-
체육시간에 이거때매 축구할 시간 뺏겨서 짜증났었는데 추억이다..
-
마더텅,자이스토리,수특수완만 푼다고 하면 어느대학까지 가능해요? 5
사설 인강,컨텐츠가 성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서요
-
가능할까요? 경영경제계열 쓸거라 수리형 문제(확통)가 나온다는데 걱정입니다....
-
일일이 검색하기 ㄱ기차나
-
사문 풀때 6
노 부 유 이렇게 쓰는거랑 노 유 부 이렇게 쓰는 것중에 뭐가 더 좋다고...
-
윤버지가 우물에 꿀을풀었다
-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내년이면 고등학교로 올라가는 중3 남학생입니다.깡촌학교라...
-
모의고사 예전에 푼건 거의 1-2였는데 요새는 3이 자주뜸 나만이러냐??
-
강평업 독서 기다리고 있어서 강의 업로드 됐나 자주 들여다보고 있는데 좀 아쉽네요
-
살면서 침에다가 뜸 꽂아서 태우거나 침을 불로 달구는 걸 언제 해보겠어
-
특목고 졸업예정인데 어떤 대학을 써야할지 모르겠습니다. 4
인원수 120명 정도 되는 국제고입니다. 본론만 빠르게 말씀드리자면 내신 성적이...
-
다군에 쓸 곳 있나요.. 문과라서 ㅠㅠ
-
캬캬캬
-
하 빡세겠죠 ㅜㅜㅜㅜㅜ 살려주세요
-
2024 정외 예비5 2025 문정 예비3 2026 불문 예비1…이 아니라 최초합!
-
퇴근시켜주세요 3
ㅜㅡㅠ
-
국어진짜 정신병올거같다 13
6월 전까진 원점수 85-95 진동이었는데 6모 ㅈ박고 9모까지 나락가서 9평끝나고...
-
어느새 30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었고 11월이 다가와도 싱숭맹숭한 느낌은 커녕...
-
연고대 논술 3
연대 고대 논술 철학넣었는데 왜 철학과 경쟁률이 경영다음으로 높을까요…?? 갑자기...
-
작년 수능 근들갑 목록 19
국어는 22 24다 씹어먹는 불수능일 가능성이 높다 국어에 극 작품 연계 될 수...
-
어느 날은 50 어느 날은 42 어느 날은 47 어느 날은 38(?)
-
약술형 논술 0
1-2달 학원 다녀서 준비할 수 있을까요? 알아보니 문제가 쉬운만큼 컷도 높은 것...
-
수능 목표 3
백분위 기준 화작 90 미적 96 영어 2 지구 85 사문 90
-
그래도 태도 교정이랑 얻어갈건 매우 많음.. 스블 어려운 문제만 모아둔느낌
-
귀뚜라미소리 미쳤네 16
머리가울림 차폐음을 만들어서 안들리게해야겠어
-
근데 보통 개쩌는 교재,컨텐츠를 뒤늦게 알았을때는 재수하는 편인가요? 3
뭐 인강이나 시대인재나 그런 퀄리티 좋은 컨텐츠를 뒤늦게 알아가지고 연초부터 이걸로...
-
산기평균 14
이거 평가원에 나온적 있나
-
공부하시나요? 수1,수2,선택과목 하루에 몇시간씩하시나요
-
봇치더락 봐보까 7
휴가나와서 하루만 쉬려는데 할게없넹..
-
한 씨 예쁜듯 26
한소희 한사랑산악회..?
-
전국서바 2
어디서파는지 여쭤볼수있을까요
-
재밋는 알바 4
하거시프네
-
나 원서 써야된다고!!!
-
개념 처음 아니여서 빠르게 빈 부분이 있나 점검만 하고 빠르게 넘기고 싶은데 개념...
-
본인 통통이 2
제발 공통 불 기원 다 뒤져보자 강x 삿는데 뽕은 뽑아야될거아녀
-
과1사1 17
내년 선택과목 고민중인데 생명1, 사문 조합 어떤가요 목표는 그냥 스카이공대입니다
-
왜 어문이 전년도 대비 두 배가 뛰었죠..? 최저 완화 때문인가요...? 이거 최종...
-
영어4등급 3
9월 모고영어 4등급인데 지금주터 공부하면 안정 3등급맞을수있나요??? 듣기는...
-
이 상황에서 C가 A보다 유속이 빠른가요? 빠르다면 이유도 함께 알려주세요
-
28 29 30 맨날 나가고 29 운좋으면 맞추는데 기출을 풀자니 혼자하기에...
-
논술 수업 듣긴 했는데 이제 본격적으로 따로 공부도 하려고 함. 근데 어느정도로...
-
밀:짐승이 누리는 쾌락을 마음껏 즐기게 해주겠다고 해서 하급 짐승이 되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31
근데 솔직히 그것도 나쁘지 않은듯
-
현재 고2이고 정시입니다. 수능 선택과목 관련해서 고민이 많은데 제가 가고 싶은...
-
영어 모고풀때 문장단위로 정확한 해석이 거의 안돼서 일단 단어는 왕창 외울 생각인데...
-
찾았다범인!! 1
공부한다면서 오르비만 하루종일 보는 너! 너가바로 범인이야!!
연세대 철학과에 선우환 교수님 계시다고 누가 소문낸 거야…
ㅋ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빨리 선우환 교수님 수업 들을 날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교수님수업들을때까지숨참겠습니다 흡!
하 저 교수님이 학부에서 여시는 수업 네 개 다 들었는데 더 듣고 싶어요 흑 ㅠㅠ

인문논술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여기 댓글로 질문해주세요!!진리자유학부 마지막날 가면 몇백대일 찍힐듯?
자율전공의 메리트가 크기도 하고, 경제와 경영 인원 감소로 인하여 해당 지원자 풀이 진리자유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세 자리 대로 끝나기는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첫날 진리자유의 경쟁률이 막 높지는 않다는 점에서 그 수많은 지원자 중 실수들의 비중이 어느 정도 되는가에 대해서는 조금은 좋은 전망으로 볼 수 있겠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고려대는 확실히 어문이나 교육쪽이 뚫릴거 같습니다
경쟁률을 보아하니 나쁘지 않게 잡히는 것 같아요. 고려대는 오늘이 마지막이라 슬슬 경쟁률이 뻥튀기되기 시작했는데, 고려대 역시 철학과가 유달리 터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작년에 '마감 경쟁률'이 60:1 정도였는데, 벌써 그 정도로 집계가 되네요 ㄷㄷ
ㅋㅋㅋㅋ 저도 이런걸 4년동안 보고 있으니 어디가 구멍이 날지가 대충 보이네요
철학과 경쟁률 뻥튀기는 로스쿨때문이아닐지 ㅋㅋ
사실 주변 보면 철학 아니여도 문과대 사과대는 전반적으로 로스쿨을 많이 준비하는데, 특히 철학에 몰리는 점은 신기하긴 하네요
철학과가 유달리 로스쿨 비율이 높긴 한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철학에서 사용하는 논리랑 가장 연계되어있기도 하고, 저희 선배 초청 프로그램도 보통 로스쿨 수석입학 선배 초청하는 등 관련 진로를 많이 진출하는 것 같긴 하네요
내가보기엔 약간 물리학과, 수학학과같은 느낌..
수리쪽이 경쟁률만 봤을땐 물리, 수학의 경쟁률이 그렇게 높지 않은데, 철학이 경영보다 높은 지금 상황은 굉장히 이례적인 현상 같네요.. 마지막 날에도 이 정도일까요? ㅋㅋㅋ
대신 찐한거죠.
철학과 농도 99% 우라늄인듯
고려대 사범 논술 썻고 최저는 괜찮은데 지금부터 시작해도 괜찮을까요ㅜㅜ
지금부터 기출 한 바퀴 돌려서 추석 연휴동안 공부하고, 이후에는 수능 한참 준비하다가 수능 직후 감 다시 끌어올리는 플랜이면 수능 최저 낭낭하게 확보하고 논술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혹시 벼락치기 교재 출간 예정인 학교가 연대 말고 또 어디 있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고려대, 한양대 현재 작업 진행중입니다!
올해의 목표는 적어도 수능 3주 전까지 [연고서성한중경외] 까지 8개 대학의 전체 출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우와 ㄷㄷ
아 국문쓸건대 ㅠㅠ
다행히 둘째날 느낌이 철학만큼 팡 튀진 않았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화가 된 것 같습니다. 추천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철학만큼 말릴 정도는 또 아닌 것 같아요!
이글보고 경제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