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기출 분석이란?-지문말고 제발 문제도 분석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50092
먼저 주관적 의견이고, 성적은 6평 언미 만점임을 밝힙니다
국어 기출의 활용 용도는 더할 나위 없이 많은데, 이걸 다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용도를 전부 정리해봤습니다. 개인마다 중요도는 달라서 순서에 의미부여하진 마세요.
1. 서술/전개 방식
2. 출제 포인트
3. 이를 기반한 독해 방식의 확립 및 적용 연습
***4. 선지 논리(중요해서 먼저 설명함)
4. 선지 논리
대부분 무시하는데, 근래 트렌드는 너무 난해한 지문보다는,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로 변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5 수능 가 나 인문지문의 보기 문제가 비문학에서 제일 어려웠는데, 사실 이는 지문의 개념과 부합하지 않는 사례로, 아무리 지문을 잘 읽어냈어도, 지문의 개념을 적용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저는 이걸 "지문과 약간 다른 보기"라고 명명해서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25수능에 깜짝 등장한 것이 아니라
08수능 할인율, 2006동일성 지문, 2506 과두제
모두 나왔을 때 정답률이 굉장히 낮았던 문제들입니다.
1. 전개 방식
평가원은 새로운 방식으로 글을 전개해나가기도 하지만,
유사한 전개 방식을 보일 때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주제의 화두를 던지고, 그 사이에 두 세 문단 가량
그걸 설명하기 위해 개념 정의를 하고, 다시 주제로 돌아와 마무리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렇게 글 전체의 전개 방식도 좋고,
요즘 "(A의 정의)한 A"와 같은 형태로 정의를 숨겨서
던지기도 하는데, 이런 사소한 서술 방식도 좋습니다
2. 출제 포인트
역시 유사한 부분에서 꾸준히 선지를 내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법지문은 예외 사례를 질문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 이를 기반한 독해 방식의 확립 및 적용 연습
제일 중요한 건데, 결국 수능날 어떻게 읽을지를 고민하는겁니다. 그것의 판단 기준이 기출이 될 것이구요.
그읽그풀이든 구조독해든, 표시를 하든 안하든, 그 규칙을 기출을 기반으로 확립해야 합니다.
문학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역시나 소설의 경우 자주 등장하는 전개방식이 있구요
유사한 부분에서 질문을 던집니다
다만 지문을 직접 쓰지 않고, '골목 안'과 같은 정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지문보다 문제가 중요하단 게 큰 특징입니다
따라서 문학은 제가 선지 논리라 표현한 '문제에 대한 분석'이 더더욱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 강의 듣는게 좋을까여 뉴런보다 양이 적은게 있을까요…. 일단 27까지 완벽하게 맞히고싶운뎅
-
삼수지원해주신대 뉸물의 큰절을 해버렸다고 한다
-
일단 미자 없는거부터 호감
-
레어 강탈 완료 6
확인용
-
5도짜리 아사히는 약하니까 괜찮잖아
-
주변에 예체능 잘하는 친구들 보면 부러움.. 그나마 운동신경은 있는 편인데 특출난...
-
짜피 다 아니까 반응이 없어
-
고2 학평 지문인데 시발 18살한테 언어이해를 풀라고 시키면 되나요? 앵간한 평가원...
-
라고 하면 안되겠지
-
무물보 2
심심
-
씨발
-
어케 하심? 100일 남아서 이젠 아파도 쉬면 안 될 거 같은 기분이 확 들어서..
-
09년생 고1이고 이제 대수 선행을 해야하는데 무슨 문제집 조합으로 선행할지...
-
저는 양지랍니다
-
사람이면 이건 못풀수가없음..
-
모르노 vs 2
포르노
-
만들면 가입하실 의향이 있으실까요? 본인 약력 -25수능 미적 만점...
-
수학 실모 150회분 허들링 확통 n제 1권 국어 기출복습, 이감 파이널, 수특수완...
-
옮붕이드라 2
잘자
-
헉!! 25렙이 진짜 옵창
벌벌떨리는 수능현장이어도 불구하고 글 읽으려면 루틴을 만드는게 중요한듯
지문은 작가의 것이지만 문제와 선지는 평가원이 내는 것이기 때문에 평가원의 방식을 익히는 것이 중요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