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완전 구석에 있는 정보 물어볼 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91542
글을 한번에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경지가 되면 그런 사소한 정보 같은것도 지문으로 안 돌아가도 다 떠오르나..?? 가끔 인문지문에 크게 중요해 보이지 않은 정보를 아주 조금 말바꿔서 선지로 내면 계속 어디있나 찾다가 시간 다 가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제러 계시나 3 0
만들어본 문제들 품평해주실 분들이 필요해..
-
에이 설마 2 0
프링글스 한 통을 다 못먹는 사람이 있겠어
-
발 작은편인거같음 4 2
157에 220이면
-
혹시 삼도극이 1 0
그 원피스에 나오는 그거임?
-
수2 잘하는 사람 특징이 뭔가요? 12 0
나는 수2 잘하는 사람이 그냥 너무 신기함
-
아 술먹고 싶다 2 1
아 술먹고 싶다
-
이거 처음 알았음
-
오르비 국일만 2.0 0 0
언급하면 매장당한다는데 이유가 뭔가요
-
4문제 - 하 10문제 - 중상 3문제 - 준킬러 3문제 - 킬러 면 되려나...
-
캡쳐해놨다 보고싶은 사람 쪽지 4 3
구라임
-
전신 ㅇㅈ은 첨보네 4 0
뭐가 중요할지
뭐가. 문제로 나올지
앞에서 읽은 내용 토대로 판단하면서 읽던데요
근데 아무래도 뇌용량이슈 있으니까
지엽적인건 돌아갈수밖에없지않나?
잘읽는다는건 디테일까지 달달 외우는게 아니라
이해할수있는데까지 최대한 이해하고,
정보가 어느위치에 있었는지 흐름 잘 파악해서
돌아가서 서치할때의 시간을 단축하는게 아닐지...
17학년도에 법인격 지문이랑 19학년도 LFIA 키트 지문 풀면 느낄 수 있는데
세부 정보는 지문을 잘 읽어도 다 기억하진 못해요
그런데 선지에 세부 정보만 나오진 않으니까 99% 기억 하는 핵심 정보를 물어 보는 선지는 빠르게 쳐내는 게
훨씬 중요하고 기억 안 나는 세부 정보는 빠르게 지문 가서 찾아 보면 됩니다
사소한 정보 있으면 아 이거 물어볼수도있겠다 하고 어디있는지만 체크하고 넘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