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계수랑 기울기의 극한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18390
뉴런 듣다가 용어 때문에 헷갈려서 질문해요!@
미분계수인 게 확실할 때는 미분가능에 집중해야 하고 (미분해서 계산해야 하니까)
기울기의 극한이라는 게 동점이 쌍방향 이동이 안 되거나(좌미계/우미계 中 하나가 없거나) 동점만 2 개 있는 경우라는 툴 자체는 이해했거든요??
근데 미분계수가 평균변화율의 극한이고 평균변화율은 결국 기울기인데 단어 자체만 봤을 때는 이 둘의 차이가 크게 없고 그냥 이런 케이스에 현우진이 이름을 붙여준 거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ㅎㅎ
-
버거킹도 치킨버거 맘터도 치킨버거 Kfc도 치킨버거 롯대리아도 치킨버거 맥도날드도...
-
그렇다고 행복하진 않지만 너무 오래 묶여있었나보다
-
표본이 조금 더 필요햇 부탁드려용 10명까지만 가보자…ㅎㅎ
-
이걸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인가 과연 팩트일까 아닐까
-
도와주셈
-
언어유답이 싹다 정리할수있음ㅇㅇ
-
미치겠네
-
개인적으로 유니온 14
킬캠보다 어렵다 생각함 88이긴 한데 찍맞포함이라
-
기분 좋아지는 걸루요
-
8시에 잤는데 한시에 일어났거든? 근데 왜 일어나자마자 오르비 했는데 이 사단이...
-
ㅎㅇ 0
안녕하세요
-
난 잇올에서 더프 칠때 1페이지 내가 평균보다 늦게 넘겻음 11
원래 계산실수도 많기도하고 마인드 상으로 수학은 타임어택 과목이 아니다라 생각해서...
-
좋은 결과를 들고 떠나자
-
20번까진 과장0.2정도해서 엔티켓급도안되는데 개무섭네 ㅅㅂ
-
1. 백종원 루트 사과문 얼른 게시후 잠적한 다음에 싸이버거 이벤트 개시 2. 피코...
미분계수가 기울기의 극한에 포함된다고 보는 게 맞음
감사해용 현우진이 미분계수가 엄 청 엄 청 특별한 경우라고 언급한 걸 유심히 봣어야 햇네요!!@
이거 이해하려고 계속 파고들다 보니까 개념의 근간이 흔들려서 혼란스러웟어요 감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