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받음 13
심심
-
맥주마시면 뭔가 2
속이 안좋음
-
얼버기 6
-
시대 수학 자료 8
파이널때 시대 수학 자료 강사컨하고 시대컨 합치면 ㅈㄴ 많이 나오던데 저걸 도저히...
-
좀 쫌생이같음 이 글 쓰면 항상 반박 댓글달던 분들 많았는데
-
알콜성치매지리네
-
내가 치과를 가야한다니 으아아아악
-
제자야 자라 13
넵
-
왤케 어려움요? 3번부터 썰려버림. ㅇㅇ
-
술게임 인생 처음 해봐서 탈탈 털리고 소주 2병마시고 수면실에서 드러누워 자는데...
-
디오 사랑해요.....
-
그리고 영3이 4달만에 영1 만들기 되나
-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
성인되고나선 조절 잘하게됨
-
강k만 구하는법 8
번장밖에 없음?
-
11시 30분에 집들어와서 잠시 누우니까 12시 30분이고... 핑계긴한데...
-
깊생에서 하네요
-
저도 질문 받습니다 11
어원이든 문법이든 기타 아무거나 다 받아요 - 어원 모음 1 - 어원 모음 2 - 어원 모음 3
-
참아도 속 안 나아짐 걍 빨리 쏟아내는 게 젤 편함 손꾸락 넣어서라도
-
웨 나가서 마시지
-
ㅇㅂㄱ 8
-
내일도 화이팅
-
내가 좋아하는 채널
-
하..
-
저도 마셔보고 싶어요..
-
수능 경제 만점자와 2606-개조빱 시험지를 araboza 33
안녕하세요. 저는 2025학년도 수능 경제 만점자입니다. 2026학년도 6월 평가원...
-
난 내가 알고있는 줄 알았음
-
30 40 50 60도짜리 샷 네개를 차례대로 먹는…
-
갠적으로 젤 맛있었던 맥주는 현지 체코맥주였음
-
내가 찐따인 이유 13
술 안먹어봄
-
머리 0
세게 벽에 부딪히면 고능아 ㄱㄴ?
-
먼가몬가 불안함.... 기출 3회독하면서 선지+제시문 정리도 하는데 뭔가 폭사할거같음....
-
나도 무의식적으로 자신감이 생기는듯 재작년에 이창무 문해전 들을때 창무옹 특유의...
-
영어도 같이 간질간질거림 역시 둘이는 세트인가 근데 이거 수능 전까지 뚫리겠지...
-
술 안먹어봄 7
맛없어,,,
-
수업료만 전장이면 한달에 얼마 드나요? 교재+독서실+급식까지해서요!
-
기출만 하니까 낯선 문제 어케 대처해야하는지 모르겠는데
-
동식물 이름에 성기명을 붙이는 걸 좋아하던 우리 조상님들 1
닭의장풀과 할미꽃의 옛말에는 '씹'의 옛말인 '십'이 들었고 구기자나무의 고유어...
-
미적 n제 1
엔티켓 시즌1 이해원 시즌 1 머가 더 어렵나요??
-
생윤사문임
-
이렇다고는 하는데 25수능 보면 걍 안 겹치게 내는 걸 거의 원칙(?) 수준으로 하는 것 같아 보임
-
방금 알았는데 예전에 신검에서 굴절이상 2급이 떴어요 시력이 상당히 안좋았던거죠...
-
끄고 미소녀 구경해라
-
드루와 드루와
-
설레임 24번 5
이런거 너어무 어려워…..
-
흠냐 10
피자먹고자야징 ㅎㅎ 이감박아두다가 내신도 있고해ㅛㅓ 오늘 쳤는데 좀 괜찮구먼
-
책언제오ㅓ 9
쩔수없네 책이 안와서 영어공부를 못하네;; 하고싶은데..
-
독서가 난도 고점이 높은 느낌 그냥 내가 독서를 못하는 건가 예전에는 문학 독서...
-
사문 질문 3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둘의 크기에 따라 둘 중 하나가 언제나 다른 하나에...
-
머리깨지러가보자
어원과 문법글들을 쓰게된 계기
중학교 시절 국어 선생님이 한글맞춤법 규정 달달 외우게 시키고 국립국어원 찬양하길래 반발 심리로 왜 저렇게 써야 하는지 존나 찾아보다가 언어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고 그렇게 문법과 어원을 파게 됐습니다. 블로그, 나무위키, 유튜브, 논문 등 다양한 경로로 접함
언매 주제탐구로 할만한 재밌는거 추천좀
흠.... 아 잘 모르겠네요
쉬라몬의유래가궁금해요 프사가쉬라몬임가요?
네 디지몬 캐릭터입니다. 제 최애 디지몬이 쉬라몬이라 쉬라몬으로 했음
자전거, 자동차 들
아무래도 일본이 근대문물을 가장 먼저 받아들였기에 자전거와 자동차 모두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입니다. 스스로 돈다 하여 自転(轉)車라는 명칭을 만들었는데 한국은 車의 음이 '차'와 '거'가 있기에 '자전차'와 '자전거' 모두 쓰이게 됐습니다. 또 스스로 움직인다 하여 自動車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죠.
이걸 의도한 건 아니었는데 지식은 얻었으니 된 건가
하량 뜻 3개중에 아무거나
한자어라서 별 거 없습니다. 河梁는 하천에 교량이 있다 하여 '하량'이라 부르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