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054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니 뭐야 담뱃값 만 원 드림 재매이햄이 한 게 아니었노 1
"주요국 절반 수준…韓 담뱃값 1만원은 돼야" 전문가들 제언...
-
에서 쟤를 맡는중임..
-
피곤해요
-
강민철 강의수가 너무 부담스러워서 지금은 새기분 독서, 유대종 문학 파노라마...
-
수학실모추천좀 5
해주세요 공통 완성+기하 미숙
-
솔직히 학겨에서 쉬는시간,점심시간 다 없애면 좋겠움 5
수업만 하고 집가면 일찍가서 좋잖아 다들 공부도 할수있고
-
군수 메디컬 1
작수 성적이 화작 미적 영어 물1 지1 순서대로 백분위가 92 98 2 96 94...
-
아 금단 좆되네
-
정확히는 아빠가 엄마를 죽임 평소에 아빠는 되게 친절하고 자기 일에 책임을 다하시는...
-
ㅅㅂ 못하겠어요 4시간 공부할때 1시간 빡집중하고 30분 쉬고(노래들으면서 산책,...
-
수2 뉴런 0
현역인 고3이고 수1뉴런을 끝내고 수2뉴런을 하고있습니다 사실 한지 별로 안됐음...
-
푸시업대결ㄱㄱ 7
인간승리
-
맨앞자리 앉는데 수업 끝나고 5분정도 남으면 그때 샘들이랑 소소한 대화 나누는데...
-
왕복오래달리기 ㅁㅌㅊ? 10
고2때는 64개 뛰었엉 엉엉ㅜㅜ
-
사설 모고 하나만 풀려면 상상 vs 이감 과목은 국어
-
부모님 코인 0
아버지가 몇 년전에 대출하면서까지 선물로 몇 억을 날리셔서 다시는 이런거 하지...
-
여자는 유연성은 쉽게 나가는데 제멀은 진짜 못뜀 남자는 반대
-
현 지갑이 전여친 이니셜이 있어서 바꾸려는데 색만 골라줘잉
-
진짜 짧게 느껴짐 갑자기
-
ㅈㅂㅈㅂ
-
유연성대결ㄱㄱ 6
ㄱㄱ
-
ㄹㅊㄱ
-
어쩐지 로피탈쓰면 안맞더라 ㄷㄷ
-
선넘질무물보 10
어떤거도 ㄱㅊ
-
교차로에서?? 베란다에서 신호등 확인하구 초록불 될때쯤 맞춰서 나감??
-
통통이고 실력은 1컷정도 되는듯 수업 들어본적 없는데 서바반으로 들어가도 ㄱㅊ??
-
빨간불로 바뀌기 전에 ㅋㅋ
-
궁금한거 1
국어 이감 살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지
-
https://orbi.kr/00074157480 ㅈㅂ ㅠㅠ
-
오르비 시작하려는 당신을 말리려면 개추. 말리지 않으려면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
1일 3실모 풀면 공부 안되는게 정상이었구나 저번에 아침 9시부터 1일 3실모하고...
-
아니 N제 풀때마다 그래도 술술 풀리고 22번도 나름대로 손 댈수 있을만큼 실력이...
-
ㅇㅇ
-
헤ㅔ헤헤헿헿헤헤헤ㅔㅔ헤헤
-
내신 등급이 압도적으로 안나옴 ㅋㅋㅋㅋㅋㅋ 아진짜정시해야하나 근데 카이스튼 정시 힘든뒤.......
-
매력이 뭘까 왜나는 안좋아하지
-
진짜 모름
-
반수생인디 0
파이널로 이감이랑 상상 병행하면 너무 많나요? 9모이후론 일주일에...
-
요즘 국어 수학 1일 1실모(or 기출 원본)하는데 0
진심 죽을 맛임 저거 끝나고 영어(1일 2실모) 깔짝한 다음 탐구하면 뒤질거 같음...
-
뭐하긴요 짜져있지
-
헤헿ㅎㅎ
-
84,88 백분위도 아시면 .. 당신은 구원자
-
진짜 그동안 단어도 안외움.. 영어자체를 안봄.. 불안해져서 낼부터 다시 해야겠다..
-
몸무게 땜에 반속이 안 나오는데
-
뭐가 낫나여 저는 후자요
-
국어 잘하시는 분들은 45문제를 다 풀고 마킹하나요 아니면 1문제 풀고 마킹하나요...
-
닉네임 추천받아요 10
네
-
하늘인거 정도는 알긴했음
-
미적 선택자라면.. 12
230620의 역과정인 150930의 풀이과정도 알아둡시다! +신발끈은 사용 최대한...
근데 지피티 o3도 어려운건못푸는데
네, 아직 AI가 모든 걸 완벽하게 해내진 못하죠.
하지만 제 글의 요점은 “GPT가 수능을 다 풀 수 있다 없다” 자체가 아니라,
AI의 발전이 우리 교육과 평가 시스템에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에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수능을 통해 측정받는 능력이
앞으로도 유효한가?
아니면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낡아가고 있는 구조에 매달리고 있는 건 아닌가?
미래 사회에서는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능력 —
예를 들면 창의성, 질문하는 힘, 통찰, 인간다움 같은 것들이
더 중요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교육과 평가 방식이
그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저는 그 질문을 던지고 싶었습니다.
AI 환각을 거르려면 그 분야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죠
네 말씀 맞아요. AI의 환각을 거르려면 인간이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는 게 중요하죠.
다만 제 글의 요지는 “지식 학습이 필요 없다”가 아니라,
“지식을 평가하는 방식이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는 데 있습니다.
AI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대엔,
정답을 빠르게 고르는 능력보다 그 정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질문을 던지는 능력이 더 중요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수능이 지금처럼만 유지되는 게 정말 맞는가?
그걸 함께 고민해보자는 게 제 글의 핵심이었습니다.
asrd님께서 본문에서 하신 고민이나 관련한 의견 모두 매우 공감이 갑니다
최근에 허사비스가 인간 수준의 AI 등장 그리고 모든 질병의 치료를 10년내에 공언할 정도로 그 발전속도가 일반적인 예상과 기대를 훌쩍 뛰어넘을만큼 매우 가파른데
궁극적으로는 AI가 결국 인간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전부 대체할거고 훨씬 더 압도적으로 잘 할거라고 봅니다
그런 대격변에 가까운 시대가 확정적이라고 가정한다면 지금 학습하는 지식들이나 시험 등은 일종의 과도기에서 행해지는 것들인지라 개인적으로는 AI와 경쟁하는 먼 미래를 그리기보다는 현 체제와 상황에 맞춰서 그때그때 최선을 다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어요
한발 더 나아가서 긍정적인 시나리오로 미래를 기대해보자면 어쩌면 인류는 생각보다 가까운때에 노동의 완전해방이라는 미래를 맞이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고 그런 시기가 정말 온다면 수능이라는 제도를 훨씬 넘어서 모든 일들을 AI가 대체한다면 인류의 본질적인 존재나 가치에 대한 의의까지도 고민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말씀 깊이 공감하면서 읽었습니다.
저 역시 허사비스가 말한 인간 수준의 AI,
그리고 10년 내 모든 질병 치료같은 발언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지식이나 시험은
어쩌면 과도기적 체계에서 의미를 유지하는 임시적 구조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더더욱, 지금 이 시점에서
공부를 통해 진짜 길러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를 묻고 싶었습니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그리는 것 보다는,
말씀처럼 현 체제 안에서 그때그때 최선을 다하는 것,
그리고 동시에 다가올 거대한 변화에 대해 미리 질문을 던지는 것
그 자체가 어쩌면 수능보다 더 중요한 사고 훈련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정말로,
AI가 모든 노동을 대체하는 날이 온다면
결국 우리는 수능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의미와 본질적인 능력에 대해 묻게 되는 시대를 마주하게 되겠죠.
더 나누고 싶은 생각이 많지만, 길어질 것 같아 이쯤에서 멈추겠습니다.
생각의 지평을 확장해 주시는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본문이 무슨말을 하는지 잘 이해가 안가는데요..
수능에 의의는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해결해야할 난제'가 아닌 '평가를 위해 만들어진 시험지'라서요.
목적이 달라요.
50만 수험생들이 공부하는 이유는
수능 그 자체의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목적성이 있는게 아닌 (수능문제를 풀어내면 인류의 과학지식이 일보 진보한다는 숭고한 목적성을 가지고 수험생들이 공부하는 건 아니잖아요)
수능으로써 본인의 노력과 고등학교 수준의 숙달의 정도를 평가받는거 아닌가요..
그를 통해 대학 수준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는거죠. 등급에 따라 다른 대학을 가는 건
비슷한 애들끼리 모아놔야 교육효과가 더더욱 올라가는데 있구요.
Gpt가 지구 모든 인류의 식량난, 기후위기, 인류의 모든 불안과 걱정을 없애주는 무적의 해결책이 되는 순간
공부라는 행위는 목적성을 잃어버리겠죠.
물론 대학은 고등교육으로써의 명목을 이어갈 꺼 같아요. 지식을 탐구하고 발전해나가는 사고력은 인간의 큰 흥미중의 하나니깐요.
다만)
리만가설을 혼자 풀어내는 기계 앞에서
인류의 탐구와 지식의 확장은 의미가 없어질 수도 있겠네요. 그때쯤 되면 수능이란 체제는 사라지고
정말 순수 IQ만을 가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천재들만 교육에 들어오는 새로운 제도가 나올지도요?
근데 절대 님이나 제가 죽기전에 그런 AI는 안나올듯 싶네요.
수능을 AI가 잘 푼다고 해서
우리가 수능을 공부할 이유가 사라지는 건 아니에요.
본문의 글이 무슨 말을 하는 지는 알겠지만
핀트 자체가 잘못 잡혀서
그냥 공부하기 싫다고 핑계찾는 식으로밖에 안보인답니다..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를 보고
"저정도 수준의 영어문제는 원어민은 개껌인데 왜 굳이 한국 유치원생들이 저걸 시험치는거지? 그냥 원어민한테 맡기면 되는거 아님??" 식의 태도를 갖는 사람과 본문의 태도가 똑같다고 생각들어서.. 공감이 힘든 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