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평 경외감 맞다고 생각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92250
- 첫 번째 근거: 행동의 변화
- 화자는 계속 차를 몰고 나아가다가([C], [D]) [E]에 이르러 '차를 멈추고 뒤돌아' 봅니다. 이 행동은 앞서 본 풍경이 그냥 지나칠 수 없을 만큼 강렬한 인상을 주었음을 의미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두 번째 근거: 감탄사의 사용
- 뒤돌아본 직후 '아'라는 감탄사를 사용하여 벅차오르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합니다.
- 세 번째 근거: 은유적 표현
- 대상을 '하늘의 기둥들'이라는 거대한 이미지로 표현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살구꽃과 구름의 풍경을 넘어, 하늘을 떠받치는 장엄하고 신성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거 아닐까요? 이러한 인식은 대상에 대한 경이로움과 외경심, 즉 경외감을 드러내는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래서 '차를 멈추고 뒤돌아보는' 행위는 '아 하늘의 기둥들!'이라는 감탄과 경외감 넘치는 인식을 이끌어내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며, 그 자체로 경외감을 표현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카로 옮길까 9
6개월 넘게 다니니 슬슬 숨막히네 크아악
-
군대시간빨리가냐고? 14
군대는 D-100 전까지는 시간빠름 ㅇㅇ
-
빡모 2nd 0
4회 난도 어려운거 맞나요? 쉽지않네요...
-
오디야 오딨니 0
ㅋㅋㅋㅋ 범바오 개쳐웃기네 ㅋㅋ
-
그냥 그만두고 쉴까 의대 어차피 가면 또 공부인데
-
왜 주식이 유일하게 학습 가능한 거지 참여자 수가 아주 많아서 그런가요? 그림을...
-
총력전 선언 2
“여러분들은, 수능참전을 원하십니까? (‘원한다!’ 환호) 우리가 오늘날 상상할 수...
-
수학 문제푸는 속도 빨라지는 공부 방법좀 알려주셈. 1
수학 푸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림뇨... 5분이면 풀 수 있는 문젠데, 시간 더 걸림...
-
물론 뱅드림 학원마스 이런거하는 찐씹덕은 나밖에 없긴한데 분기별 애니 챙겨보는 정도...
-
솔직히 패션 1
재수학원같은곳에 꾸꾸꾸로 오면 좀 짜치긴 함
-
전교꼴등하교 ^~^
-
수리논술 질답받아요! 11
연대 높공입니당
-
옆자리의 5
아랴양도 재밌네..성우 잘뽑앗내
-
관전선언 2
참전은 무서워잉
-
가끔 강혜원 2
가강
-
테토녀 1
-
전화 돌려도 대부분 마감이라고 하네요 서울.경기권에 아직 신청 가능한 학원 있을까요?
-
참전 선언 2
512일 뒤에 보죠.
-
자주 삐는 거 억울해서라도 매력 포인트였으면 좋겠다 썩을
-
ㄱㄴㄷ를 원래 싫어했다기보단 킬러배제(24)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정시 시작했기에...
맞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네 알아요
맞을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라는 것도 누군가의 주장일뿐이지 정확한 정답은 아니에요
ㅋㅋㅋㅋㅋ
평가원은 단 한번도 선지에서 명확하게 틀린 부분이 있으면 나머지 부분에서 정오판단을 요구하지않는다고 말한적이 없는데 이걸 오피셜인냥, 문항 출제의 방식을 알고 있는냥 얘기하는 것이 참 웃기죠 ㅋㅋㅋㅋ
ㅋㅋㅋ
텍스트의 다성성에 대한 근본적 인식이 선행된 문학적 현존재는 해석학적 순환의 필연성 속에서 주관성의 불가피적 개입을 매개한 서사 구조의 해체적 열림을 통해 고정된 의미의 환상을 부정하는 틀림의 생산성이라는 역설적 계기를 내포함으로써, 맞을 수도 있다는 가변적 진리 효과와 틀릴 수도 있다는 비동일성의 잠재력이 공진화하는 장으로서의 텍스트 공간을, 저자의 의도성으로부터의 의미의 탈주가 생성하는 해석의 무한한 가능성 지평 위에서 존재론적으로 초월한다.
경외감 사전적 의미로는 공경하고 두려움이 있어야 하는데, 자연에 대한 감탄,존경은 공경까지는 허용이 되더라도 본인이 두려워 하는 것보다는 행동을 보면 보고싶어 안달 나 있죠. 경외감이 맞다는 근거는 문학 해설서에 그동안 그렇게 써온게 더 크죠..판례처럼..
어는 순간 감탄과 경외감의 차이가 없어짐..
경외감의 영탄 등과 구별되는 포인트는 공경하며/우러러보며 두려움 역시 가지고 있다는 건데..논란 있길래 몇 번 봤는데 아무리 봐도 두려움은 못 찾겠어요 그냥 정서적 거리감에서 거르라고 만들어진 선지 같습니다
만약 경외감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근거였으면 보기를 통해서 풀 수 있게 했을 것 같은데, 그냥 심리적거리 보고 풀라고 한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