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킬러문제 Tip(5) 별의 물리량 계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9301
지1에서 킬러 문항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별의 물리량 계산 파트는 별의 광도, 반지름, 표면 온도 등을 추론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오늘은 별의 물리량 계산 킬러 문제를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별의 물리량 계산, 왜 킬러 문항일까?
• 슈테판-볼츠만 법칙,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등 여러 개념이 제시
• 별의 물리량 관련 자료 해석 및 추론의 상당한 난이도
• 절대적인 값 계산 대신 기준 별과의 상대적인 비율로 물리량을 비교하는 문제도 출제
2. 핵심 개념 및 공식 완벽 이해하기
주계열성: H-R도 대각선 중앙에 위치. 질량이 클수록 광도 높고 표면 온도 높음 (왼쪽 위). 전체 별의 약 90% 차지.
적색 거성 / 초거성: 주계열성 오른쪽 상단 (표면 온도는 낮지만 광도는 매우 큼). 반지름이 매우 큼.
백색 왜성: 주계열성 왼쪽 하단 (표면 온도는 높지만 광도는 매우 작음). 반지름이 매우 작음.
겉보기 등급(m): 관측지점에서 볼 때의 밝기. 숫자 작을수록 밝게 보임.
절대 등급 (M): 별이 10pc (파섹) 거리에 있을 때의 밝기. 별의 실제 광도(고유한 밝기)를 나타냄. 숫자 작을수록 실제 밝음.
절대 등급 1등급 차이 = 광도 2.5배 차이
3. 문제 풀이 팁: H-R도 활용과 비례식 계산
주계열성에서의 물리량 관계: 주계열성에서는 질량이 클수록 광도, 표면 온도, 반지름이 모두 커집니다.
등급과 광도의 관계 숙지: 1등급 차이는 광도 2.5배 차이임을 이용하여 절대 등급 차이로부터 광도비를 빠르게 계산하거나, 그 반대로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실전 문제 접근법
자료 분석: H-R도, 표, 그래프 등 주어진 자료에서 별들의 위치, 등급, 온도, 스펙트럼형 등 모든 정보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질문 파악: 문제에서 묻는 것이 무엇인지(광도비, 반지름비, 표면 온도, 거리 등) 명확히 파악하고, 어떤 공식을 적용할지 미리 생각합니다.
기준 설정: 여러 별이 주어질 경우, 계산의 편의를 위해 태양이나 특정 별을 기준으로 삼아 상대적인 값을 계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답의 논리성 검토: 계산 결과가 H-R도 상의 위치나 별의 진화 단계와 일치하는지, 물리적으로 타당한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예: 백색 왜성의 반지름이 적색 거성보다 크게 나왔다면 계산 오류)
5. 평가원 미출제 요소
표면 온도에 따른 별의 색깔을 묻는 문제
별의 물리량 계산은 지1에서 가장 높은 계산력을 요구하는 파트 중 하나입니다. 꾸준한 연습을 통해 공식들을 완전히 숙지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적용해보는 훈련을 한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슬 자지 4
슬 야 하 세로드립
-
닉변완료. 8
흐흐
-
6학종 ㅁㅌㅊ? 0
ㅋㅋㅋ 하고싶다 짜피 웬만하면 +1 할것 같은데
-
이렇게쉬운과목은참없을것이오 탐구말고도과목이있소 5분컷하고자러가는딱한과목이4교시에있소...
-
독서만 할 예정인데 어느년도 기출부터 있나요?
-
모 공대 합격해놓고 지가 모든 생기부와 입시 안다고 꺼드럭대는거 역겹노 4
댓글에 자료라고 치란다 ㅅㅂㅋㅋㅋㅋㅋㅋ
-
어떻게 ㅅㅂ 한국사 1등급 비율이 4%가 쳐나옴 ㅋㅋ 현장에서 25점 받았다 수능 고정1인디
-
나으 장점 7
그딴거없음 난 병신임
-
2시간째 매체공부중임 ㅈ됐음
-
작수 화학 등급컷보고 벽느낌
-
?! 8
화작으로 매체를 단련하는거임
-
덕코는 내 사랑 호감고닉들한테 넘기고 가겠음 ㅂㅂ
-
비갤 6
에도 제 얘기가 올라왔던 때가 있었더랬죠
님 민심복귀하기 위해서 자작 실모 이런거 내봐요
지구황이시먄
민심은 제편인데요 ㅎㅎ
그런가요 그래두 지구1 부활위해서 해보는거 어떰
일단 방학때 시간 나면 개념형 문제로 만들어볼까 생각은 했었는데 그럼 시간 날 때마다 최대한 만들어보도록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