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킬러문제 Tip(5) 별의 물리량 계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9301
지1에서 킬러 문항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별의 물리량 계산 파트는 별의 광도, 반지름, 표면 온도 등을 추론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오늘은 별의 물리량 계산 킬러 문제를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별의 물리량 계산, 왜 킬러 문항일까?
• 슈테판-볼츠만 법칙,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등 여러 개념이 제시
• 별의 물리량 관련 자료 해석 및 추론의 상당한 난이도
• 절대적인 값 계산 대신 기준 별과의 상대적인 비율로 물리량을 비교하는 문제도 출제
2. 핵심 개념 및 공식 완벽 이해하기
주계열성: H-R도 대각선 중앙에 위치. 질량이 클수록 광도 높고 표면 온도 높음 (왼쪽 위). 전체 별의 약 90% 차지.
적색 거성 / 초거성: 주계열성 오른쪽 상단 (표면 온도는 낮지만 광도는 매우 큼). 반지름이 매우 큼.
백색 왜성: 주계열성 왼쪽 하단 (표면 온도는 높지만 광도는 매우 작음). 반지름이 매우 작음.
겉보기 등급(m): 관측지점에서 볼 때의 밝기. 숫자 작을수록 밝게 보임.
절대 등급 (M): 별이 10pc (파섹) 거리에 있을 때의 밝기. 별의 실제 광도(고유한 밝기)를 나타냄. 숫자 작을수록 실제 밝음.
절대 등급 1등급 차이 = 광도 2.5배 차이
3. 문제 풀이 팁: H-R도 활용과 비례식 계산
주계열성에서의 물리량 관계: 주계열성에서는 질량이 클수록 광도, 표면 온도, 반지름이 모두 커집니다.
등급과 광도의 관계 숙지: 1등급 차이는 광도 2.5배 차이임을 이용하여 절대 등급 차이로부터 광도비를 빠르게 계산하거나, 그 반대로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실전 문제 접근법
자료 분석: H-R도, 표, 그래프 등 주어진 자료에서 별들의 위치, 등급, 온도, 스펙트럼형 등 모든 정보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질문 파악: 문제에서 묻는 것이 무엇인지(광도비, 반지름비, 표면 온도, 거리 등) 명확히 파악하고, 어떤 공식을 적용할지 미리 생각합니다.
기준 설정: 여러 별이 주어질 경우, 계산의 편의를 위해 태양이나 특정 별을 기준으로 삼아 상대적인 값을 계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답의 논리성 검토: 계산 결과가 H-R도 상의 위치나 별의 진화 단계와 일치하는지, 물리적으로 타당한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예: 백색 왜성의 반지름이 적색 거성보다 크게 나왔다면 계산 오류)
5. 평가원 미출제 요소
표면 온도에 따른 별의 색깔을 묻는 문제
별의 물리량 계산은 지1에서 가장 높은 계산력을 요구하는 파트 중 하나입니다. 꾸준한 연습을 통해 공식들을 완전히 숙지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적용해보는 훈련을 한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 2 0
하이
-
배기범 ㄹㅇ 0 1
도대체 ap7강의 언제올리냐
-
적분문제 투척 22 16 2
이번엔 오류 없음
-
관리형 독서실은 2 0
운영시간이 따로 정해져있나여? 핑프라 죄송해여
-
주요 문항 피드백 11번 : 뉴런 복습이나 수열의 대칭성 파악 연습용 문제로 좋음...
-
유튜브 뮤직 압도적 장점 2 2
커버곡도 그냥 음원처럼 들을 수 있다
-
올해 수능 국어 비문학 0 0
경제 지문 나올거래 ㄷㄷ 출처...
-
역대 대통령 맞추기 8 0
대통령 사랑은 설의적 표현 goat
-
0승 1패 ㅆㅃ이
-
좋아요 꾹누르니까 누가눌렀는지 보이네 7 52
신기
-
확통런 3 0
2606 공통 22 1틀 미적 28 29 30틀 갈만한가요? 27도 꾸역꾸역 풀어서...
-
왜 항상 이시간에 1 3
먹방이 뜨는거야
-
상평시절보다 더 많이 함 빈칸빼고 다맞을 실력만 만들면 유기하고 가형이랑 과탐4개...
-
근데 이번 6평수학이 진짜 못하는 애들 잘보기 쉬운듯 22 8
공통 1522만 틀린애들한태 준킬러급도 아니고 그냥 적당히 어려운 12-13급 문제 줘도 못풂
-
지금부터 스블 들으면 3 0
늦을까요 미적분만 듣고 공통은 n제 기출 할듯
님 민심복귀하기 위해서 자작 실모 이런거 내봐요
지구황이시먄
민심은 제편인데요 ㅎㅎ
그런가요 그래두 지구1 부활위해서 해보는거 어떰
일단 방학때 시간 나면 개념형 문제로 만들어볼까 생각은 했었는데 그럼 시간 날 때마다 최대한 만들어보도록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