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여러가지 윤리학 파트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3264
메타 윤리학은 학제적 접근을 중요시한다 라고 할수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 내신반영 2 2
서울대 내신반영에서 1차 합격자 최고점 최저점 차이가 중요해보이는데, 진학사...
-
작년엔 투투 새로 다시하느라 기하 최소한의 감유지만 했는데 올해는 그 투투에서...
-
그시절 탐구 선택과목 선택기준 8 6
ㄹㅇ 논란시 삭제함
-
강민철t 독서 기출 인덱스 9 18
0809 사고의 한계 – 강기분익힘책 4주차 08수능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
-
레전드매스가키 2 1
무려 기하 해강을 올려줌
-
얼마에 팔까 고민중임 17 0
여러 서비스 연결해서 계열/진로 과목 명 입력 하면 자동으로 과목 내용들 다...
-
기출 쫙 읽고 덮고 에이포용지에 생각나는걸 적어라 최대한 뇌의 입력하는 내용울...
-
막상 나오면 현장에서 꼬이기 쉬운 유형 회전체 부피 구하기
학제적 접근은 기술윤리학입니다
현대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관습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까지도 접근해야 하니까요
실천 윤리학은요?
실천 윤리학에서는 학제적 접근을 논하지도, 중요시하지도 않습니다. 학제적 접근 = 기술 윤리학만 됩니다
오타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술 윤리학보단 실천 윤리학에서 학제적 접근을 논하는거 아닌가요?
네 실천이 일반적으로 학제적 접근을 중시합니다 예전에 ZOLO라는 분이 기술도 애매모호하긴 한데 될수도 어떠한 관점에서 될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쵸?.. 제가 잘못 알고있는줄 알았네요;;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수능특강에서는 항상 실천 윤리학의 특징으로 등장했던 내용입니다.
아 메타 윤리학도 라고 할까 그랬네요..
수능특강말고 따로 명시된 게 없는 걸 보니 맞는 선지외에는 잘 안나올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앞 개념을 쳐다도 안 보다보니 너무나도 당당하게 오개념을 들고 말 하고 다녔네요.. 죄송합니다;;
아니에요 귀찮아서 추가로 질문하지 않은 제가 더 잘못을 저지를뻔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