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복합 확률 2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09456
연관이 존재할 때 복합 확률에 대해 물어보는 경우 확률을 능숙하게 자유자재로 다루려면 주어진 확률을 염색체별로, 형질별로 분리할 줄 알아야 해요. 확률을 염색체별로 분리할 때는 유전자들이 연관되어 있는 염색체에서 n가지만 같을 확률을 기준으로 나누면 돼요.
형질 (가)~(다)가 있고 (가)의 유전자와 (나)의 유전자는 같은 상염색체에, (다)의 유전자는 이와 다른 상염색체에 있다고 해 볼게요. (가)와 (나)의 표현형이 모두 같을 확률을 A, (가)와 (나)의 표현형 중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을 B, (가)와 (나)의 표현형이 모두 다를 확률을 C, (다)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을 D, (다)의 표현형이 다를 확률을 E라고 할게요.
(가)와 (나)의 표현형 중 (가)의 표현형만 같을 확률과 (나)의 표현형만 같을 확률을 분리하지 않는 이유는 두 확률을 합치는 것이 복합 확률을 계산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에요. 염색체별 n가지만 같을 확률은 복합 확률을 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니까요.
(가)~(다)의 표현형 중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BE+CD,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AE+BD, 한 가지 이상 같을 확률은 1-CE, 한 가지 이상 다를 확률은 1-AD, 두 가지 이상 같을 확률은 A+BD, 두 가지 이상 다를 확률은 BE+C예요. 이를 암기할 필요는 없고 필요할 때 유도해 주면 돼요.
이때 D=E=1/2인 경우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B+C)÷2,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A+B)÷2인데 A+B+C의 값은 1이기 때문에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1-A)÷2,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1-C)÷2와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어요. 이를 여집합을 이용한다고 표현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야했는데 3
아
-
애초에 피드만 보니까
-
또 무슨 카르텔이여
-
이과랑 경쟁하니
-
인증 ㅁㅌㅊ? 5
ㅈㄱㄴ ㅋ
-
우울해서 잘래 6
드들 은능히즈므세여..
-
개인적으로 안 좋게 생각함 뭐 극단적으로 공통 풀어서 다 맞았는데 미적 26번...
-
뉴런 기하가 19
그렇게 젛다면서요..
-
긍정적으로 검토해봄
-
아니 근데 너무 무기력해서 여기서 더 할 수가 없음..
-
국어 과외 0
해볼까해볼까해볼까해볼까해볼까해볼까.
-
ㅇㅈ 5
낚시 흐흐
-
하.....
-
정규반은 들을거고 1개 더 들으려고 하는데 서바 모의 vs 강대k 뭐가 더 좋을까요?
-
빡갤인가 컴갤인가
-
오공완 4
약간반성중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