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나온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11618
24학년도 9월 모의평가 9번이에요. A와 B에 대한 자료가 주어져 있지만, <보기>에서 B에 대한 내용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어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도 아니라서 이 문제에서 B에 대한 설명은 완전히 없어져도 무방해요.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자료를 줘 놓고 이에 대해 전혀 물어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문제의 완성도가 떨어져요. 문제를 해결하는 데 B가 도움을 주지도 않아요. 이 문제에 B에 대한 내용이 도대체 왜 있는 거고 평가원은 왜 이렇게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9월 모의평가에 넣었을까요?
평가원이 특정 풀이를 유도하거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문제에 과조건을 넣은 것일 수 있어요.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오히려 B가 문제를 파악하는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원래 선지들 중 하나는 B에 대해서 물어보는 내용이었는데 실수로 A라고 입력된 걸 수도 있기는 해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유력한 이유는 따로 있어요.
24학년도 수능 18번이에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물어보고 있어요. 9월 모의평가에 가슴샘이 없는 생쥐가 등장한 이유는 수능 전까지 학생들이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공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해요.
추론하는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문제를 처음 보더라도 잘 풀어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있기에 가슴샘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 미리 생각해 보고 변형문제들을 풀어 보라는 의도였을 수 있다는 거죠.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처음 마주한 학생들이 이에 대한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을 수 있기에 이런 학생들을 배려해 9월 모의평가에서는 문제의 완성도를 낮추더라도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해 물어보지 않고 수능까지 공부할 시간을 준 거죠.
잘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9월 모의평가에서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보고도 문제를 쉽게 풀고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겠지만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 중 일부는 가슴샘이 없으면 방어 작용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거나 찾아보았을 테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적1 받는법 12
15 22 30을 던지고 나머지를 푼다 남는시간 전부 검토한다 못해도 1컷은 받는다 profit
-
현역인데 계속 처놀다가 수학 점수 보니까 정신이 드는군 오르비에 글쓰는거보니까 아직 덜차렸나
-
오늘 모고 하나 치긴 해야겠죠?ㅠㅠ
-
47인데 좀 불안한데 공부 더해야됨?
-
국어는 하루 1시간만 하면 감 안잃겠지....
-
0. 영어 치기 전에 신택스 단어장 보자 1. 듣기는 다 맞자 2. 도표 페이지 다...
-
에바임? 지금하는거 마무리되면 7월쯤부터 갈까 생각중임
-
(미방용 짤) 3줄 요약 EBS 연계대비 독서 지문과 문제를 제작해봤습니다. 기출...
-
새끼가 맨발 흔들어 재끼고 발톱깎는건 아니지... 굿바이노 ㅋ
-
사람들 꽉 차서 좀 답답했지만 참고 했는데 어떤 분 핸드폰 진동이 일정간격 텀으로...
-
막 국어 영어 5등급 받는 건 아니겠지...
-
자체 산출이건 추정이건 컷 있는 녀석..
-
댓글달려는데 갑자기 멈추고 폰 꺼짐 뭥미??
-
이쪽 라인 가늠이 안되네..
-
난 그래도 수열 나올 것 같음
-
유권자 X와 Y는 아래의 조건 ①~④에 따라 소선거구에서는 후보자에, 비례대표에서는...
저거풀면서 문제 성의없이 냈네 싶었는데 저런의도가

풀면서 그걸 생각하다니 대단하시네요! ㅎㅎ진정한 성의없음은 작년 9월 지2
ㄱ. My planet
오

9모에서 한 번 알려주고 가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굿
감사합니다!!!사실 생1 말고도 다른 과탐에서도 9모에서 힌트를 주고 가기도 해요
23학년도 9모 화1에서 처음 제시된 중화적정 밀도문제가
그해 수능에 거의 그대로 나오기도 했죠
기출분석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사례죠

오 그렇죠~ 당해 모의평가에 큰 힌트들이 숨어 있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