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느끼는 수학 선택 최고의 딜레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57997
안녕하세요, 오르비에 들어오는건 거의 4달만인 것 같네요. 수험생으로서의 수능판은 완전히 졸업하긴 했지만 여전히 학원에서 조교로 학생들을 마주하며 질문을 받아주고 상담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접속을 한 것은 몇달만이지만, 공부할 당시에 도움을 많이 받기도 했고 심리적인 위로도 많이 받았던 곳이라 오르비에는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4달을 포함하여 제가 장수생으로서 공부하고, 그 이후에는 학생들과 이야기를 하며 느낀 점을 간단하게 풀어보고자 해요.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며 절대적인 사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최근에 느낀 수능판 최고의 모순은 '강사들의 미적라이팅'입니다.
물론 대다수의 수험생이(저도 그랬듯이) 미적을 선택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불안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옆 친구가 미적하니깐' '아무도 기하를 하지 않으니깐' '강사들조차 버린 과목이니깐' '컨텐츠가 부족하니깐'
다 맞는 말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기하가 미적에 비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을 하며 아무 의심 없이 미적을 골랐었습니다. 그런데 이제와서 느끼는 점은 생각보다 많은 수험생들이 기하를 골랐을 때 이득을 보는 상황임에도 미적을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우선, 기하가 미적에 비해 일반적으로 손해를 보는 것. 맞습니다. 이 명명백백한 사실을 부정할 생각은 조금도 없습니다. 다만 여기에 숨어있는 전제를 조금 생각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미적과 기하의 원점수가 동일하게 나올 것', '수학 외에 다른 과목은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위 문장의 숨겨진 전제라 생각합니다.
일단 첫 번째부터, '아니 무슨 말이냐? 당연히 동일 점수에서 비교를 해야하는게 맞지 않냐?' 맞습니다. 이론적인 비교는 그러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동일 원점수를 받는 난이도가 미적에 비해 기하가 많이 쉽기 때문입니다. 이는 22수능같은 특수 시험지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맞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그 다음, 수능은 전과목을 고루 잘봐야 하는 시험입니다. 그런데 미적이 기하에 비해 공부량이 훨씬 많습니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기하를 선택하면 다른 과목에 투자할 시간이 늘어난다는 뜻도 됩니다. 만약 오로지 수학만을 공부하여 수능을 칠 것이라면 이런 장점이 무의미해지겠지만, 거의 대부분의 수험생은 시간에 쫓기며 공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기하를 선택했을 때 얻는 이점은 정말 무시할 수 없습니다.
물론 미적 0틀~1틀이 안정적으로 나온다면, 그대로 미적을 하는 것이 무조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아래, 실모를 풀면 2~3틀을 왔다갔다 하는 성적대, 혹은 그 이하라면 기하를 선택하는 것도 진지하게 고려해볼법 합니다. 작년 수능은 미적에 비해 기하가 승리했다고 생각하고, 24수능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기하가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만점 표점 3점차, 입시에서 큰거 맞습니다. 그런데 애초에 '기하런'의 전제가 미적 만점을 시도도 못하는 점수대라는 것이 1차 전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수험생의 신분이 아닌 사람 1의 견해일 뿐입니다. 다만 제가 수험생활에 있어서 가장 크게 남는, 그리고 유일하게 남는 후회가 기하를 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한 분이라도 도움을 받았으면 하는 마음에 이런 글을 적어봤습니다. 다들 수험생활에 있어서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수업] 합성함수 조지기 - 작수 28번 1분이면 푼다 4
안녕하세요. 실력지상주의 알파효입니다. 미적분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확통/기하러는...
-
미적분 28/29번은 일단 맞히고 가자! [실지주 개강] 14
안녕하세요. 상승효과 이승효입니다. 오늘은 미적분 선택자를 위한!! 상승효과 크루의...
-
안녕하세요. 저는 디오르비에서 강의하는 수학강사 상승효과 이승효입니다. 2022년을...
-
안녕하세요. 꿈과 희망의 상승효과 디오르비 수학강사 이승효입니다. 이 글은...
글이 너무 재미없네요
제가 글을 쓰는 재주가 없어서...ㅠㅠ
농담이었어요 ㅈㅅ
기하가 통합 첫수능에서 첫인상을 망쳐서 더 그런것 같기도 하네요.
저도 그때 대탈출이 영향이 정말 크다고 생각합니다
첫해만 해도 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던것 같은데 말이죠..
확통런도 고려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