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영어 비꼬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33888
모든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듣기->읽기->말하기->쓰기 순인데
우리나라 영어 교육과정은
문법/문제풀이 (쓰기+이후)에만 너무 치중하고
정작 물꼬를 트기 위해 중요한 듣기 읽기는
너무 경외시하는 경향이 있음.
학교 교육의 어쩔수 없는 한계인건가
영어를 한국어와 같은 ‘언어‘가 아니라
하나의 ’과목’으로만 배우는 느낌
언어를 언어답게 배우는 과정, 즉
원어민들의 dialog와 원서 독서를 꾸준히 접함으로서
‘감’이라는 게 길러지는 것
그래서 우리 한국어 화자는
’사과가‘ 가 맞고 ‘사과이‘는 틀리다는 것을
누가 알려주지 않아도 자연스래 알 수 있는 거고.
유치원/초등학교에서 언매를 가르치친 않잖아요
영어교육은 거꾸로 되어있음
맨날 문법문법 거리기만 하고
그러니까 애들이
”This is the hotel where I live in.“을 바르게 수정하시오.
와 같은 기본적인 문제도 감으로 풀지를 못하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각날 때마다 자작 문제 올리고 갑니다~ 단원: 지수와 로그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수능이 드디어 100일이 깨진 가운데 효율적인 논술 공부 병행을 위해 전자책을...
-
오늘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이 두 가지를 꼭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사고(생각)의...
-
장담컨데 이 글로 수리논술 해석학 문제 80%는 정복할 수 있습니다 4
안녕하세요, TEAM 수리남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ㅎㅎ TEAM 수리남 약력...
-
안녕하세요~오늘은 2024년도 가천대학교 약술 논술 국어 기출 문제를 살펴보고,...
-
오랜만입니다. 고려대학교 논술로 합격해 지금은 KICPA이자 김백현T 비공식...
-
학습 포인트 : 최근 출제된(개정이후) 문제들은 사실상 다 평면벡터(좌표식 풀이)로...
-
[수학Ⅱ]적분 개념, 연습문제, 심화문제 정리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고사 문제집 본수학 저자입니다. 수학Ⅱ의 적분...
-
자작문항 수학2 7
접선의 개수 최고난도?정도 노리고 만들어 올려봄요 (맛있음 보장. 아님말공)
-
수험생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약술형 논술 국어 전형, 문제 샘플, 수업 등을...
-
논술 단원별 분류 배포 8편 - 기하와 벡터 이차곡선 2
6월 내로 기하와 벡터는 다 올라가고 그 이후 7월에는 아마 확률과 통계가 전부 올라갈겁니다
-
[2025학년도 연세대학교 모의논술 6번 해설 영상] 0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오늘은 "2025학년도 연세대학교 모의논술 6번...
-
[칼럼] 이것 모르면 큰 손해!! Double Counting Method (Feat. 연대 모의논술 + 평가원 기출) 0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오늘은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아이디어 & 전략 중...
-
중대 모논 찾아보시는 분들 많을텐데 해설까지 같이 공유드립니다 엄청 자세한해설은...
-
4번의 기초정수론(mod)제외하면 다분히 일반고에서 떠올릴 수 있는 발상을...
-
[2025 연세대 모의논술] 서울대 수학과 박사의 풀이! 5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오늘은 "2025학년도 연세대학교...
-
수능스러운거 빼고 최대한 우겨넣는데 양이 계속불어나서 54문항입니다거의 책...
-
[수학Ⅱ]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연습문제, 심화문제 정리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고사 문제집 본수학저자입니다! 수학2의 함수의...
-
타 단원에 비해 양이 두배입니다그리고 넣을거 넣고 뺄거 빼다가 결국 2편 나누게...
-
[인문논술] 궁금증을 가져야 독해를 잘한다 (설명을 요구하는 현상을 설명해 내기) 10
우리 주변에는 설명을 요구하는 현상들이 많이 일어납니다. 오늘 제게도 그랬습니다....
-
생각보다 빈출 단원입니다도움이 되기를 바래요
-
안녕하세요. 이투스 인문논술 5년 연속 1타 강사. 논술을 가르치는 최은식T입니다....
-
평균값 정리와 연계되는 내용이며 고난이도 파트입니다 중경시이 이상부터 빈출소재고...
-
인문논술 공개특강 - 연세대 기출로 알아보는 논술의 기본 유형 0
안녕하세요 :) 오르비에서 인문논술을 가르치는 문해력 훈련 전문가 최은식입니다....
-
대부분의 논술강사들이 열심히 자료도 올리고 칼럼도 쓰는뉴 노멀이 오는 그때를...
-
lim x->∞ 다항식/e^x=0 최단증명 발견했어요!! 4
저기서 수렴하는 극한의 성질을 쓰면 모든 다항식에 대해 일반화 가능해요 또...
-
논술 단원별 분류 배포 1편 - 최대최소정리 (1/2) 2
매주 배포될 단원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대최소정리 2주평균값 정리 1주샌드위치...
-
[사례]논술 수업을 들으면 어떻게 변할까요?(2주 수업 후) 6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
[칼럼]논술은 돈을 많이 써야 하는 전형입니다 2. 1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
[칼럼]논술은 돈을 많이 써야 하는 전형입니다 1. 2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사람의 본성은 이타적이냐 이기적이냐먼저 이타적이냐 이기적이냐 그 경계선 어떻게 나눌...
-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인문논술] 합격생들의 인문논술 공부법(2024학년도 수강생들의 합격 수기 공개) 2
1. A 학생: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최초합격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계열...
-
[칼럼]논술에서도 쓸일 없는 테일러 급수 증명법 (ver.고등학생) 8
첫 글 쓴지 얼마 안되서 두번째 글을 써보네요... 그리고 이륙 지원해주신 분들...
-
연세대 경영 합격자는 고려대 문제를 어떻게 풀까? #인문논술 0
요약 1. 고려대 논술에 대한 참고 자료로서 고려대 편입논술 기출 문제를 하나...
-
정시 면접 가이드 세 번째입니다. 며칠 늦어진 이유가 있는데 대학 답변을 직접...
-
정시 면접 가이드 '2'입니다. 정시에 면접을 보는 모든 대학/모든 학과에...
-
작년 23학년도 아주의 시험 후 정리해 둔 소소한 내용 공유합니다. [아주대의학]...
-
경북의 아주의 수업때 학생들에게 이야기 해주는 작년도의 시험 후기입니다. 연원의의...
-
수리논술 답안지 적는 팁) 답안지를 누구라도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가장...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더러운 계산과 유명 주제를 섞어 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대T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2024 연세대 / 시립대 수리논술...
-
안녕하세요 몇명의 학생들과 수리논술까지 달려가고있는 대학생 과외 쌤입니다. 기출은...

그렇다.나는 예시문항의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를 알지 못한다.
맞말추죄송합니다 폰 배터리가 없어서
글 수정을 안하고 대충 적어 올렸네요
중간중간 빠져있는(?) 부분이 있을 수도…
모국어를 익히는 과정은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순입니다
그런데 영미권 국가가 아닌, 예를 들면 한국같은 곳은 한국어가 공용어이다 보니
영어를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공용어를 영어로 바꾸거나, 혹은 한국어&영어를 모두 공용어로 삼자니 언어는 한 나라의 문화와 역사, 정신 등을 반영한 결과물이라 공용어를 바꾸는 것은 나라 자체의 뿌리를 흔드는 행위라 그러기에도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언어의 네 가지 주축 중에서도
특히 말하기나 쓰기 같은 경우 비교적 정성평가가 요구되다 보니 (말하기는 더더욱)
현실적으로 공교육에서 가르치고 평가하기가 어렵고
그 결과 읽기, 듣기 정도의 정량평가가 가능한 부분들만 공교육을 통해 가르치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게 한국에서 영어교육을 받고 우수한 영어 성적을 받아도 입 뻥끗 하나 못하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입니다.
이는 대중을 대상으로 한 대중 교육,
다시 말해 학교 교육의 어쩔 수 없는 한계입니다.
이게 해결이 되려면 국가 자체의 공용어를 2개 국어로 바꿔주거나
영어교사의 질을 높이고 그 수(원어민 강사 포함)도 많이 뽑거나&
영어 자체의 수업시수도 높여야 하는데 (=노출 빈도 향상 위함)
현재 교육정책이라든가, 국가 예산, 급격히 감소하는 학령인구 문제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보면 현실적으로 영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할 수 있는 분들은
어릴 때부터 영유&유학 등을 다녀올 수 있는 어느 정도 경제력이 있는 집안의 자녀 또는 부모님이 교육에 관심이 많아 어릴 때부터 꾸준히 원서/애니메이션/매체 등을 노출시킨 경우, 또는 스스로 정말 노력하여 꾸준히 영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하려 노력해 온 사람뿐입니다.
저도 문법&구문독해를 가르치지만, 초등학생 같이 어린 분들이 배우러 찾아오면 그냥 모국어처럼 습득하게 해보라고 돌려보냅니다.
문법&구문독해를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모국어의 형태로 습득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고는 확신합니다만,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글쓴분의 말씀대로 모국어로 습득하는 것이겠지요.
맞습니다ㅜㅜ
이상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다수를 한번에 가르치는 공교육의 특성상 구현이 어려운 것은 안타까운 부분이죠..
미취학~초중등 시기에 부모 차원에서 아이가 원서/영어 집중듣기 등을 자주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그나마 현실성 있는 방안이 아닐까 싶네요.
중요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