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논술은 돈을 많이 써야 하는 전형입니다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526974
안녕하세요~ 광쌤입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하겠습니다. 저는 대치동 C 논술 학원에 근무했었고요,
총 강사 경력은 15년입니다. 최근까지 약 7년 간 한국 최대 코칭 전문 기업에서 수석 코치로, 학생 뿐 아니라 후배 강사들에게 논술, 입시, 교과목 수업을 지도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논술과 입시컨설팅을 메인으로 하며, 전과목을 가르치는 과외 강사입니다.
제가 활동하는 오픈채팅 방이 궁금하시거나 과외 문의를 주실 분들은 쪽지 주세요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오픈채팅 방에서는 입시와 관련한 다양한 질답이나 토론이 이뤄지고, 또 제 자세한 프로필과 합격 사례도 게시해놨습니다.
광쌤의 프로필: https://orbi.kr/00067408994
칼럼 1탄: https://orbi.kr/00067246868 어떤 선생님을 골라야 할까?
칼럼 2탄: https://orbi.kr/00067288100 나에게 유리한 전형 찾기
칼럼 3탄: https://orbi.kr/00067325762 학종 파헤치기
칼럼 4탄: https://orbi.kr/00067453751 논술에 관한 모든 것
어제였죠, 어떤 분께서 제게 상담을 부탁했습니다. 현재 사정이 있어서 과외 할 여력은 안 되고 인강과 ebs 첨삭을 통해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그렇게 해서 합격이 가능한지 알고 싶다고 했습니다. 저는 그 분의 현재 실력이 어떠한 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좋은 과외 선생님을 만나느냐 여부에 따라 당락이 결정된다고 했습니다. 아무리 재능이 뛰어나도 붙을 수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 분은 제게 무례한 언행이라고 하셨고, 저는 사과하였으나, 이후 그 분은 제 언행을 수긍해주었습니다. 좀 답답하네요. 오늘은 좀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오늘은 현실적인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 같네요.
여러분, 여러분은 이런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 "어떤 사람이 공부 한 번도 안 하고 연대에 합격했다더라, 오로지 독학으로만 하고 일주일 공부했는데 한양대 붙었다더라." 와 같은 말이죠. 음... 과연 진짜 가능할까요? 강성태씨가 예전에 유튜브에서 한 말을 빌려 해보겠습니다. 리처드 파인만이 오면 고등학생 때도 수학 논문 쓸 수 있겠죠. 비슷한 맥락입니다. 배우지 않아도 잘 하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을 수 있죠. 하지만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그 중 하나다? 그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자, 한 번 생각해보세요. 연세대, 우리나라 탑3 중에 하나입니다. 한양대, 이에 준하는 명문이죠. 우리는 이 학교들에 들어가기 위해 지금도 밤을 새워 어떤 분은 내신과 생기부 준비를, 어떤 분은 열심히 수능 준비를 합니다. 그렇다면 논술도 이에 준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연세대, 한양대에 들어가지 않을까요? 아니면 뭐하러 3년 동안 그렇게 잠도 못 자고 매일 경쟁에 치이며 삽니까? 그냥 적당히 놀다가 한 일주일 대충 글 끄적여 보고 시험 보고 오면 되는데? 어떻게 보면 여러분 중 이런 식으로 공부도 안 하고 논술로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학종이나 교과, 정시를 통해 들어간 사람들을 능욕하는 생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가지고 제게 상담하는 많은 분들은 두 유형입니다. 하나는 공부는 하기 싫은데 좋은 대학에 가고 싶은 사람이거나, 하나는 최대한 싼 값으로 성과를 내고 싶은 사람이죠. 공격적이고 무례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런 생각을 가지고 논술 전형을 해보려는 많은 분들, 저는 결단코 떨어진다고 말하겠습니다. 논술은 돈을 써야, 그것도 '많이' 써야 하는 전형입니다. 이제부터 그 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이 얘기를 하려면 먼저 논술 전형의 역사에 대해 설명해야 합니다. 저는 수능을 치르고 대학에 가서 논술 고사를 본 세대입니다. 논술은 2013년까지 수능을 본 학생이 대학에 가서 또 치러야 하는 시험이었죠. 그러니 상위권 학교에 가고자 하는 학생 대부분은 수능이 끝나고 약 한 달 간 논술 학원에서 논술을 배워야 했습니다. 이 시기는 논술 강사가 연봉 1억이 안 되면 강사를 그만 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논술 시장이 활황이었습니다. 하지만 2007년 이후 학종이 전체 선발 인원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논술은 점점 쇠락의 길로 빠집니다. 논술 전형이 있긴 했지만 약 5~7% 정도만 선발해 논술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했습니다. 2013년 서울대가 마지막 논술 시험을 치른 후 시장은 점점 좁아져 논술 강사들은 각자 다른 길을 찾게 됩니다. 이 시기를 지나고 대치동에서 살아남은 논술 학원은 정말 몇 없게 되네요. 현재도 마찬가지고요. 지금 논술 시장은 예전에 비해 많이 작아졌습니다. 그러니 제대로 된 강사나 학원, 과외를 찾기가 힘들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술 전형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논술이 소위 "있는" 집 자녀들을 위한 전형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학종에 대한 비판을 많이 가했습니다. 나무위키 글을 보니 "현대판 음서제"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고요. 이렇게 비판을 받아도 학종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학종은 장점이 명확하고 또 기득권이 좋아하는 전형이니까요. 논술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 학교에서 논술을 가르쳐줍니까? 논술은 대놓고 사교육에서만 배울 수 있는 전형입니다. 그러므로 좋은 강사를 찾아 양질의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비싼 값을 지불해야 하죠. 싼 값에도 수업을 듣기 원하니 학원이나 인강을 찾지만 대부분은 논술의 본질을 무시하고 박리다매로 인기를 얻어 돈을 벌려는 상술에 걸리게 될 것입니다. 이 부분은 앞선 칼럼에서 이야기 나눴죠.
결국 논술이 없어지지 않는 이유는 소수 인원이 많은 돈을 투자하면 합격할 수 있는 전형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간과하고 적은 돈으로 효과를 보려고 하거나, 로또처럼 생각해 원서를 내는 학생들을 저는 허수로 판단합니다. 그래서 아무리 경쟁률이 높다 하더라도 저는 실제 논술 전형에서 경쟁해야 하는 인원은 3대 1 정도로 생각합니다.
어제 참 안타까운 상담을 했습니다. 사정이 있어 과외를 할 수 없고 인강이나 ebs로만 논술을 해결해야 하는데, 어디서 공부한 적은 없지만 그래도 학교에서 나름 상도 탔고 글쓰기를 좋아한다는 분과 상담했습니다. 그러니 현재 자기 실력을 알고 싶다고요. 논술에 덤빌 수 있는 실력인지, 아닌지 판가름해달라고 했습니다. 심지어 유료로 첨삭을 부탁한다고까지 했죠. 하지만 저는 판가름하지도 않고 탈락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유는 둘입니다.
논술은 타 과목처럼 논리와 글쓰기를 모두 배워야 완성할 수 있습니다. 논리는 강의를 통해서 쌓을 수 있지만 글쓰기 실력은 첨삭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그러니 현재 실력이 당장에 합격할 수준이 아니라면 실력을 끌어올려야 하는데 저는 좋은 선생님께 첨삭 받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더 안타까운 상황은 이 분이 정말 글쓰기 실력에 자신을 가질 만큼 글을 잘 썼다는 것입니다... ㅠㅠ
조금만 다듬으면 정말 좋은 글이 될 수 있고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소질입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멈출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웠습니다. 좀 더 이야기를 하자면... 이 수준보다 더 나은 수준을 만들어야 하는데, 보통은 어떤 학생이든 이 수준보다 나은 수준으로 만들어야 하고, 또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이 소질이 아무 힘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이죠...
여러분, 논술은 글 하나로 대학에 가는 전형입니다. 그렇기에 그 속에 많은 것들을 담아내야 합니다. 그래서 어렵습니다. 여러분이 적은 돈이나 시간을 투자한다면 그에 걸맞은 성과를 받을 것입니다. 비싼 건 이유를 모를 때도 있지만 싼 건 분명한 이유가 있다는 말이 정말 맞는 말입니다. 정말 안타깝지만 합격할 수 있다면 그만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이 말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음 칼럼에서 제가 가르친 학생의 예를 통해 여러분와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항상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팔로우는 항상 제게 큰 힘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 글 몇일전에 좋아요 10
글 여러개 눌러서 10개 넘기게하신분 자수좀 쭉읽다보니까 쪽팔려서 글삭함
-
문제들 각 구석이나 페이지 구석에 미소녀 캐릭터들이 응원하는 그림들 넣어주면 공부할때마다 행복할듯
-
지금 정시 준비를 하고 있는 고1 입니다. 주변에서 자꾸 "현역은 재수생 이기기...
-
궁금해서 공공도서관 ebook 서비스로 '고등학생을 위한 음운론'(AI 딸깍)을...
-
지잡대 고충 2
에타에 버스가 안내되는 시간보다 늦게와서 힘들다 이러면 미리미리다녀라ㅋㅋ 이런 댓글...
-
책도 컴퓨터도 노트북도 핸드폰도 키보드도 마우스도 그리고 여행도 가고 싶고.....
-
1. 이원준은 커뮤에서 너무 과하게 올려치기 된다. ->일정 부분 사실. 그런데...
-
개-지엽만 모아봤어요
-
가벼운걸루
-
좆같다 6
하
-
한번 풀어보실래요? 2606 19번이랑 비슷한 문제에요
-
수능 영어 글의 순서 배열 문제 푸는 법|논리 흐름을 잡는 현실적 전략 0
수능 영어 순서 배열 문제는 해석이 아니라 논리 흐름 싸움입니다. 수능영어의 모든...
-
미국La로 가는듯 고생했습니다 흥민 선수
-
영어 빈칸 풀어보시죠 10
Everyday Grow, and Glow "매일 성장하며 빛날 당신" 안녕하세요,...
-
개추워
-
간만에 노추 0
보카로 좋아하는 사람중에서도 호불호 갈릴듯
-
루미너리북스 이거 걍 미친 회사네 ㅋㅋㅋㅋㅋㅋㅋ 이거 다 AI 책인데 '청소년을...
-
"왤케 꼬투리 잡으세요?" "참 피곤하게 산다" 예전에는 커뮤 쿨찐들이 받던 비난이...
-
bizarre.. 더운 여름날 자꾸 강의 중에 비자하죠? 비자하죠? 하셔서 비자가...
-
해설지는 바로 맨 아래처럼 적분해놨던데 인수정리는 ok 근데 직선 x절편 어케...
-
수능 영어 빈칸 추론 문제 푸는 법|선지보다 본문 먼저 읽어야 하는 이유 0
1. 선지를 보기 전에, 지문 전체 흐름을 읽어라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선지를 보기...
-
화석 기준이 몇살임 12
04?
-
정상인가 공통 실력에 비해 미적이 너무 안나왔음
-
저도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오르비 해야겠어요 ^^ 잠깐 스타레일 짤좀 가져옴 ㄱㄷ
-
ㅋㅋㅋㅋㅋㅋㅋ
-
노래추천 0
인공잔디/AKMU 날씨 개덥네
-
가능성 적은 통계를 부풀리는 말임 물론 외모 외적인 부분도 키우라는 좋은 의도겠지만...
-
나의 견해가 다수에 속한 견해인지 아닌지에 대해 신경을 ㅈㄴ많이 씀 근데 내가...
-
그대가 내 안에 박혔다
-
망갤테스트2 1
-
5의 사나이 1
-
그...왜 거기 있습니까?
-
망갤 테스트 6
-
의대생이고 진지하게 하는 말임. 한의학에 뜻이 있다거나 좋아하지는 않음. 그런데...
-
이번 6평 영어 지문 읽을 때 많이 튕겼습니다. 선지가 워낙 쉽다보니 답은 잘...
-
망갤테스트 6
-
국수영탐 각각 몇퍼임
-
서부지법 난동 49명 유죄…방화시도 10대 징역 5년 7
지난 1월 서부지법 난동 등 폭력행위에 가담해 무더기로 재판에 넘겨진 49명이 모두...
-
남자가 좋다 7
오랜된 생각이다
-
망갤테스트 6
ㅇ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사람이 죽는다고
-
난 부거 3개부터 시작인데 그렇다고 단품으로 시키기에는 콜라랑 감튀를 따로 시켜야...
-
오뿌이 친찬해조 1
응애
-
키큰남자가좋다 3
177이상
-
1점대먼 다 유리함?
-
안익숙해서그런건라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