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시험지 운용에 대한 한가지 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72137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영양가 있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국어 시험지 운용에 있어서 한가지 유용한 팁을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많은 학생분들께서 오해하는 것이, 특히 비문학을 풀 때 지문을 모두 이해하고 문제로 넘어갈 필요가 없습니다!
이 점에 입각해서 저는 문단별로 문제풀기라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문단을 읽고 -> 문제에서 처리가능한 선지 처리하고
2문단을 읽고 -> 문제에서 처리가능한 선지 처리하고
3문단을 읽고 -> 문제에서 처리가능한 선지 처리하고 ...
의 반복을 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끊어읽은 횟수만큼 회독수 증대와 같은 효능을 갖습니다.
2. 단기기억을 활용하기 때문에 기억의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글을 읽었는데 앞부분이 기억이 안 나는 문제가 전혀 일어나지 않습니다. 앞부분을 어느 정도 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을 뿐더러, 문제에 적용하는 경험 때문에 앞부분에 대한 기억이 선명해집니다.
3. 선지와 <보기>를 통해 글 이해의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맞는 말 선지는 지문 이해에 도움이 되는 선지입니다. 이를 통해 글에 대한 이해와 정보처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십분 활용하여 좋은 성적을 거둬봅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많이 어려운 책임? 평가원 영어보다 어려움? 학교 내신이라서 푸는데..
-
왜 사람이 없지
-
이원준은 LEET에서 왜 부동의 1타인지 이해는 갑니다. 3
그리고 왜 수능 국어에서 1타가 아닌지도 이해는 가고요.일단 LEET는 로스쿨...
-
ㅈㄴ풀기싫네...풀기싫은 문제들 한가득이네
-
그냥 인간 자체의 그릇 차이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지는 것같음.
-
민물장어의 꿈 2
크으
-
결국 중요한거는 들여보낸 학생들 정원이랑 임고 정원을 어느 정도 맞춰야한다는건데...
-
이거만 듣고 모고 1 뜰까요? 고1때 내신 했어서 아예 노베는 아님!
-
물국어나오면 4
컷이 진짜 너무 높아짐….
-
멍 때리기 시작 내가 이걸 꼭 해야 할까
-
kt 쓰고있는데 결합할인+vvip초이스+나중에 기계 파는 돈 등등 하면 알뜰폰이랑...
-
너희도 노력하면 나처럼 될수있다
-
문자도 안옴 ... 현장응시했는데.. 걍 모르는건감 ... 다들 인증코드 받으셨나요 ..
-
시발
-
사람 많은 시간대에 다시 올립니다. 성적은 작수 기준입니다.(화작, 확통, 생윤,...
-
고등학생이랑 N수생 비율이 궁금하네요
-
스읍 미스 1
헉
-
영단ㅇ너 퀴즈 3
hitomi는 무슨 뜻이띾요
-
빈둥대다가 시간이 애매해져버림..
오? 다음에 기출풀 때 해보겠습니다
님은 ㄹㅇ 독서 20분컷내요 ??
25분컷을 목표로 연습한 편이에요
진짜 괴수시네 ㄷㄷ
24수능 독서는 한 20분? 23분? 정도로 풀긴함... 그땐 독서가 너무 쉬웠어서
이거 항상 국어쌤이 강조하셨던건데
헉... 저는 저렇게 했을때 시간이 오래걸리던데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ㅜㅜ
선지판단 속도를 빠르게 늘리면 좋습니다
유사한 이유로
(가)(나) 지문 문제를 풀 때
(가) 지문 읽고, (가)에 해당하는 문제를 먼저 풀고 넘어가는 게 많은 도움이 됩니당
본문은 취향 갈릴지도 모르겠는데
이정도만 해도 시간안배는 확실히 도움되는듯
수능의 본질은 타임 스트레스 테스트
이건 학교쌤들도 알려주더라 ㅋㅋ
개추개추

오 회독수 증대 좋은데요?
매번 다 읽고 풀었는데 요 방식으로도 해봐야겠네요뭔가 더 나아보여요
흠
리트는 멀로 풀어보면 좋을까요??
300제로 시작하시죠
문단별로 문제풀기가 답인 건 진리인듯요...표시를 안하니까 정보 기억하는데는 이게 최선이라는...
ㅈㄴ 맞말
지문을 이해할 필요가 없어요 걍 읽고 대충 파악만 되면 됨
ㄹㅇ공감이요
같은 맥락에서 지문 와리가리 하지말라는 말도 이해 안됨..
언제 금테 되셨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근데 선지에 모든 내용이 한문단에서 다 나오나요? 한 선지에 여러문단의 내용이 같이 물어보는 경우는 업나요?
선지를 끊어가며 판단하면 됩니다.
선지구성원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번 다시 올려보겠습니다만
선지에서 틀린단어찾기라고 접근해 주세요
시험 볼 때 말고 기출 공부할 때는 시험지 전체를 읽고 문제를 푸는 식으로 하는 게 좋을까요?

기출 공부도 실전처럼 해야 합니다타이머 켜놓고 해 주세요
다 읽어보는건 나중에 분석해볼때 해도 됩니다
오... 수험생들 평균 대학 낮추려고 이런 글 쓰시는건가
제가 저렇게 푸는데요
이거는 선지 판단 잘 하는 사람이 써야함 이거 잘못썼다가 이 선지 내용이 내가 읽은 문단에 있었던걸로 착각해 푼다고 시간 잡아먹는 경우도 있으니 이 방법 쓰실 분들 이 점도 같이 주의하시길 자신에 대한 믿음이 확고해야 쓸 수 있을 듯
결론 = 문해력부터 키우셈
선지구성원리도 한번 써볼게요
이건 되게 소수한테만 먹힐거같은데.. 이렇게 그대로 따라하면 글 흐름만 놓치고 망할거같음
정보간 관계파악만 되면 됩니다
글 흐름은 별로 안 중요하긴 해요
오히려 문제에 적용하는 경험덕분에 더 오래 잔상이 남습니다
근데 보통 한문단 내용으로만 풀수 있는 문제는 비문학의 경우 얼마 안되지 않나요? 그런 문제는 오히려 문학이 더 많았던것 같기도
선지단위로 끊어서, 선지도 끊어서 보면 됩니다
어차피 맞는말 고르기 틀린말 고르기입니다
문단끼리 연결이 중요한 지문도 가능한가요
헤겔 변증법 (가),(나)지문도 이 방법으로 가능할까요…?
네! 당연합니다
애초에 단기기억을 십분활용하고 인지적 자원을 분배하자 이건데
통하고 안통하고가 없습니다
사바사긴 한데 전 과학기술지문은 이렇게 풀긴 함
저는 과학 특히 생명,화학은 유기적 이해가 아예 안되고 단어도 기억에ㅠ안남아서 이렇게풂
근데 1문단 읽고 모든 문제 선지 보면서 그 문단에 해당하는 선지 찾고 정오 판단>2문단 읽고 또 모든 선지 보면서 해당 선지 찾고 정오 판단>반복>반복..하면 시간이 더 걸리지 않음요?
아니면 선지 두번정도 훑으시면 대략 다 기억나서 3문단 읽고 아 이건 3번 문제 4번 선지랑 4번 문제 3번 선지에 해당하는 내용이네 하고 그 선지로 바로 가심?
문제 읽는 시간 늘어나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