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선녀 [1385599] · MS 2025 · 쪽지

2025-04-25 13:12:46
조회수 3,565

독학재수로 국어 백분위 81%에서 99%, 서울대 경영 합격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42021



 우선 인증 박고 시작하겠음이 글을 쓰는 이유는 그냥 갑자기 옛날 생각나서지금쯤 n수생들 봄바람 때문에 너무 힘들 시기일텐데 혹시라도 이 글을 보는 사람이 있다면 의지를 다지고 국어 성적 올려서 원하는 대학에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써봄.




 본인은 재수했고 한국사제 2외국어 제외하고 수능 전체에서 2개 틀림현역 때 성적표 보면 알겠지만.. 국어를 심각하게 못했음국어 제외한 나머지 과목은 시간 때려 박으면 어느 정도 오르는데 국어는 하루에 3시간씩 기출만 푸는데도 모든 모의고사에서 3등급이 나왔음. 19수능 당시에만 해도 교대가 입결이 상당히 높았음난 중학생때부터 교대에 가고 싶었지만 19수능 망하고 춘천교대 예비번호 68번 받고 독학 재수 학원에 들어가게 됐음.




 


 나는 고1때부터 고3때까지 반 친구들에게 '이 반에서 공부 제일 열심히 하는 애가 누구야?' 하면 모두가 내 이름을 말했다매일 아침 7시 30분에 교실문을 내가 따고 들어 갔다그리고 새벽 1시까지 공부했다반에서 공부 제일 열심히 하는 애근데 공부는 잘 못하는 애내가 그랬다. 3년을 들이부었지만 결과는 처참했고 나는 나의 재수를 합리화하기위해서 평생 꿈꿔본 적도 없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목표로 잡았다내가 다니던 독학 재수 학원에서 문과에서 서울대를 간 학생은 역사적으로 한 명도 없었다그리고 우리 집 가족들 중에서도 스카이를 간 사람이 없었다모두가 나보고 적당한 목표를 잡고 현실적으로 살라고 했다난 그들의 말을 무시했다



 그리고 국어 성적을 올리기위해 오르비에 있는 모든 국어 공부법 칼럼을 뒤졌고인강 패스로 모든 인강 강사의 강의를 한 번씩 들어보고학원 조교 오빠들에게 상담도 많이 요청했다공부 방법을 찾느라 1월을 보냈고 이렇게 찾은 공부 방법을 2, 3월 적용해서 3월 모의고사에서 처음으로 1등급을 받아봤다그 후 4월 모의고사 100이감 모의고사는 항상 1등급 컷 안이었고 평가원수능에서 1등급 컷이 아닌 높은 1등급을 받았다.




 내가 이 글에서 하고 싶은 말은..! 국어는 재능의 영역이 아니라는 것이다물론 100점은 재능의 영역이다하지만 1등급은 재능의 영역이 아닌노력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그러니 앞으로 제시할 국어 공부 방법을 쭉 따라 가서 원하는 점수를 받았으면 좋겠다!! 화이팅




 우선 대부분 학생들은 비문학이 문제일 것이다내가 국어 3등급 시절난 구조 독해를 했다구조 독해가 잘못됐다는 게 아니고 그저 나랑은 안 맞았다동그라미세모별표대조대비밑줄을 무지성으로 긋고 글의 내용을 지문 옆에다가 요약했다. n수들은 알겠지만 시험장 가면 아무 것도 생각 안 난다구조 독해를 쓸 수가 없는 환경이다그래서 1월부터 공부 방법을 바꿨다겉핥기식이 아닌 '이해'하는 방식으로








1. 시비 쟁이가 되어야 한다모든 문장에 왜이래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답이 안 나온다면시간이 얼마가 걸리든지문 첫 문단부터 '천천히다시 읽는다.






ex) 20년도 6


 


"중앙은행은 경기가 과열되었을 때 정책 금리 인상을 통해 경기를 진정시키고자 한다."




기출 분석을 많이 해서 경제 배경지식이 풍부한 사람이라면 한 번에 납득이 가겠지만 잘 모르는 학생은 이 문장을 보면 절대로 한방에 이해가 안 간다. 이때 이 문장을 그냥 넘어가지 말고 멈추고 생각해 보자는거다.




경기가 과열되면 ’ 금리 인상을 해야하지?




금리를 높여-> 사람들이 이자비용 비싸니까 대출을 안 해-> 통화량이 줄어들어-> 경기가 진정돼.




아하멈추고 생각하면 된다처음에는 이 생각의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린다. 이렇게 읽으면 한 지문 읽는 데에 시간이 3시간 걸릴 수도 있다공부 방법 바꾸고 기출 분석 시작했을 때분명 고등학교 시절 내내 외울 정도로 많이 본 지문인데도 불구하고 '이게 이런 내용이었어?'하고 놀랐다기출을 읽을 때마다 새로운 내용이 보여야 한다. 6월 모의고사 전까지는 실전력 생각하지말고 '독해력'을 기르는 데에 집중해야 한다독해력은 인내심 있게 몇 시간씩 혼자 생각해보는 과정에서 는다힘들어도 견뎌야 수능 날 웃을 수 있다!








2. 그리고 반응하기(=국어가 재밌어진다헐 어떡해 왜이러는거야 아~그래서 그런거구나 엥 그러면 어떡해이렇게 반응하기




 글을 딱딱하게 읽으면 긴장되는 시험장 안에서 글이 머리에 안 들어온다글자가 다 튕겨 나간다아무리 국어를 잘해도 긴장돼서 글자가 머리에 안 들어오면 3등급은 순식간이다글을 '재밌게읽어야 함그러려면 대화하듯이’ 읽어야 한다나는 비문학을 읽을 때마다 이 비문학을 출제한 교수님과 단 둘이 방 안에 들어가서 대화하는 상상을 했다.






ex) 21년도 9월 행정 입법 지문




안녕하세요교수님오늘 무슨 얘기하실 거예요?




교수님어 오늘은 행정 기관이 법 만드는 얘기 할거야.




법은 국회가 만드는 게 원칙 아니에요왜 행정 기관이 나대서 지가 법을 만들죠?




교수님어 그게 첨단 기술 관련 사항처럼 빨리 일처리 해야될 때 행정 기관이 법 만들기 유리해.




행정기관이 법을 만들어서 행정/입법 이군요




교수님어 3종류가 있는데 위임명령행정규칙조례가 있어앞으로 이거 설명할거야.








이런 식으로 대화하듯이 읽으면 긴장되는 시험장 안에서도 글을 쏙쏙 박힌다글을 읽는다시험을 본다 이런 느낌이 아니고 진짜로 대화하면서 지식을 얻어가는 느낌이 들고 시험장 안에서도 글이 재밌어진다!








3. 머릿속으로 이미지 떠올리면서 읽기텍스트를 텍스트 자체로 읽는 게 아니고 이미지로 바꿔서 읽는다딱딱하게 느껴지는 글이 생생하게 읽힌다.




ex) 19년도 6월 LFIA 키트




"LFIA 키트는 가로로 긴 납작한 막대 모양인데시료 패드결합 패드반응막흡수 패드가 순서대로 나란히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문장을 그냥 텍스트로 읽는 게 아니다. LFIA 키트는 '측면/유동/면역/분석법'이다옆으로 움직이는 분석법이다난 머릿속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막대를 떠올린다그 막대 모양 안에 액상의 시료즉 액체 상태의 시료를 넣는다그 액체가 시료 패드 갔다가 결합 패드가서 결합했다가 반응막에서 반응했다가 흡수 패드에서 액체가 흡수되는 모습을 떠올린다머릿속에서 액체가 옆으로 흐르고 있어야 한다.




 텍스트를 정리하고 암기하는 게 아니고 텍스트가 말하는 걸 이미지로 변환해서 글을 읽으면 갑자기 글이 재밌어 진다이러면 국어 공부가 싫지 않다






여기까지가 미시적인 문장 단위로 독해하는 법이었다




지금부터는 국어 공부 방법 전반에 대해 설명하겠다.






1. 기출을 반복해서 최소 3번 이상 보기




 기출을 처음 분석할 때 한 지문당 1시간 걸리는 게 아주 지극히 정상임만약 기출 1지문을 10분만에 읽고 이해했다이거 진짜 진돗개 발령 완전 극비상기출 분석 잘못하고 있는 거임난 재수 초반에 평균적으로 기출 1지문 2시간씩 읽었음하루에 딱 2지문만 읽고이게 한 번에 한 지문을 20번씩 읽는 거임이해될 때까지 계속근데 이게 진짜 엄청난 인내력을 요함때려 치고 싶음그리고 너무 진도가 느리다 보니 맘이 너무 불안함옆에 여자애는 저렇게 많이 푸는데 난 4시간 동안 2지문이때 여자애 신경 안 쓰고 마이웨이로 가야 수능 날 1등급 나옴결과가 설명해줄 거임수능 날 누가 웃는지진짜로 믿어야 함. 1지문당 최소 40~1시간 들이부어야 함




2. 그럼 어떻게’ 읽어요?


 일단 지문에 반응하고 왜하면서 천천히’ 읽는다라는 질문에 답이 안 나오면 답이 나올 때까지 글을 읽고 또 읽는다핵심은 시간 재지 말고 읽는 것이다후에 문제를 푼다안 풀린다. 3번 선지랑 4번 선지가 헷갈린다그러면 지문을 다시 읽는다후에 문제 푼다또 안 풀린다그럼 또 다시 지문 읽는다문제 풀릴 때까지 지문 계속 다시 읽는다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성적이 오르는 거임




3. 채점을 함부로 하지 말자.


 나는 정답 10000% 맞았다고 생각하기 전까지 절대로 채점 안 했음이 방법은 수학에도 적용되긴 함제발 막고 싶은 거=지문 한 번 슥 읽고 문제 풀고 채점하는 것진짜 최악이야!!! 이러면 안돼!!!!!! 채점 하지마제발 시간 재지 말고 문제 확신이 들 때까지 지문 계속 읽고 문제 풀어봐그리고 나서 맨 마지막에 채점해이때 다 맞으면 진짜 뿌듯함물론 초반에는 이렇게 해서 문제 풀어도 틀림당연함근데 이 때 틀리면 자살 마려움때려 치고 싶음근데 여기서 때려 치고 채점 막 하면 수능 날 3등급 나옴그니까 참기.


위에서 말한 확신이 있기 전까지 문제 풀지 말고 100% 정답일 때까지 근거 계속 찾고 지문 읽고이 방법은 기출 풀 때간쓸개 풀 때사설 모의고사 풀 때 모두 공통되는 사항임채점을 너무 쉽게 해버리면 국어 실력이 안 늘음이렇게 공부하면 국어 지문 2개만 봤는데도 시간이 확확 가는 거임진짜 강조하고 싶은 방법임.






4. n수생이면 간쓸개 같이 보자!


 본인은 이감 빠순이임간쓸개 너무 좋아간쓸개 최고! ebs연계도 자동으로 해주고낯선 지문 대처 능력도 길러주고 퀄리티도 좋고. = 짱이다!





 칼럼 태어나서 처음 써보는데 칼럼이라고 하면 뭔가 멋있게 써야할 것 같아서 말투가 좀 쎄보일 수 있습니다 ㅎㅎ.. 지금 봄바람 불고 마음 잡기가 제일 힘든 시기일 거에요. 근데 여러분 생각보다 수능이 얼마 안 남았어요..! 시간은 정말 앞으로 훅훅 갈 겁니다우선은 6월 모의고사를 수능이라고 생각하고 6모에 집중합시당. 오늘 제 칼럼이 아주 소수에게라도 도움이 돼서 국어 성적을 올리는 데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반응 괜찮으면 실모 오답노트 방법, 문학 공부법에 대해서도 차차 쓰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0 XDK (+1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