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문학 어디에 표시하면 좋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68970
문학 지문을 읽으면서 필요한 부분에 표시를 해도 좋고 표시를 하지 않아도 좋아요. 지문을 읽을 때 표시나 필기를 하는 게 나을지 하지 않는 게 나을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표시를 한다면 어디에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해요. 표시나 필기를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선택일지에 대해서는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다뤄볼게요.
대부분 학생들이 국어 학원을 다니면서 시를 읽을 때 긍정적인 단어에는 동그라미, 부정적인 단어에는 세모 표시를 하면서 읽으라고 가르치는 선생님을 한 분 이상은 만나 보았을 거예요. 이렇게 표시하라고 가르치는 이유는 시를 읽을 때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만 가지고 생각하는 관점을 멀리하고 긍정적인 시어와 부정적인 시어를 우선은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면서 읽는 관점을 습득하게 하기 위함이에요.
학생들은 지금까지 수많은 시를 읽어 오면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분위기를 파악하는 연습을 오랫동안 해 왔을 거예요. 지금은 동그라미와 세모로 표시하지 않더라도 머릿속으로 긍정과 부정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거예요. 문학 지문을 읽는 실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표시가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지문을 읽는 실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표시는 이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요. 표시해 둔 내용은 나중에 찾기 편하다는 점에 의의가 있어요.
문학 지문에서 가장 중요하게 파악해야 할 내용은 상황과 정서예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하고 드러나는 정서와 그 정서를 유발한 원인을 파악해야 돼요. 위에서 설명했듯이 표시를 하지 않더라도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어요. 표시는 나중에 지문으로 돌아와서 찾아볼 만한 위치에 해 두는 것이 좋아요.
핵심적인 상황이나 정서 그 자체에 대한 키워드에는 표시를 할 필요가 없어요. 상황과 정서는 너무나도 중요하기 때문에 주요 부분은 머릿속으로 그 내용을 파악하고 기억하면서 읽어야 해요. 핵심적인 정서에 표시를 해 두고 나중에 찾으러 올 게 아니라, 나중에 돌아오지 않을 마음가짐으로 확실하게 기억해 둬야 해요. 물론 지문을 읽으면서 중요한 내용을 모두 기억하는 게 어렵다면 당장은 핵심 내용에 표시를 하면서 읽는 게 더 낫겠지만 이러한 내용을 모두 기억해 낼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게 좋아요.
부가적인 상황이나 정서는 표시해 두고 나중에 돌아와서 찾아도 돼요. 핵심적인 내용과 부가적인 내용을 모두 머리로 기억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 정도의 기억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최소한 핵심적인 내용만이라도 기억해야죠. 부가적인 내용까지 기억하려다가 핵심적인 내용을 잊어버리는 일이 발생하면 안되니까요. 소설에서 잠깐 나왔다가 사라지는 등장인물처럼 주요하지 않은 내용에 체크해 두면 좋아요.
시에서의 시상의 전환이나 소설에서의 장소 이동과 같이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도 체크해 두면 좋아요. 변화가 일어났다는 사실은 머리로 인지하고 있어야겠지만 변화에 관한 세세한 내용을 문제에서 물어본다면 지문으로 돌아가서 확인해야 하고, 변화 전과 변화 후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면 답을 찾기가 편하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람마다 다 다르던데
-
대학 더 잘가는 방법같은데 수논도 준비해야 되고 적백의 꿈을 포기할 수 없어서 수학...
-
미소녀 두명 2
-
공부해야하는데 1
11시에 축구?으흐흐
-
수학은 미적 한 문제 빼곤 쉬웠던 걸로 기억하는데 국어는 특히 충전 어쩌고 지문이...
-
내년에도 기회는 ~~ 있지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기러 햇습니다
-
아 kbs 4
왜케 비쌈 엄마 한테 말하기 미안하데 사주려나...
-
셋중에 논술 합격 힘든 순위가 정해져있을까요?? 성대,중대는 최저를 뚫었다는 가정에요
-
와 배터지겠다 2
바지단추 아슬아슬한데
-
4덮 기하 73 보정 무보정 둘 다 몇등급 나올까요
-
흑화 2
세이버 이쁨
-
간식도 먹이기 침대에 눕혀서 재워주기 머리 쓰다듬어주기 씻겨주기
-
국어 88 수학 57 영어 90 생윤 47 사문 50 이번 수학 저만 어려웠나요 ㅠㅠ
-
후 2
월욜부터 다시 공간도형이구만 벡터 힘들어따..
-
안녕하세요.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Day 4 업로드 합니다. 문장력의 시작은...
-
다음교육과정으로 바뀌는 28수능부터도 논술전형이 남아있는지 나왔나요?
-
헬기장 갖춘 中 고정 구조물, 3년 전부터 서해에 설치 3
해저에 ‘강철 말뚝’ 박은 중국 정부는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한...
-
좆댐 0
카공하려했는데비와서못나감
-
ㅆㅂ ... 나는 바보임..
-
삼성의 이재현 1
빼뱀빼뱀뺌
-
전 수학 8 국영탐 합쳐서 2정도인데 6평때까진 이렇게 해도 ㄱㅊ? 너무 밸런스 깨지는 건가..
-
국어실력 향상을 위해 국어공부 외에도 평소에 자기 전이나 기상 직후에 책을...
-
처음 등장하는 개념이라 어색스
-
동의의료원이 있다는 사실!!
-
현역 국어 커리 1
김동욱T 일클 완강했는데 강의에서 얻어가는게 별로 없는것같아서 강민철T커리 탈까...
-
공부합시다 11
넵
-
한 10시 쯤에 잠들어야지 오늘은 컨디션이 너무 안좋아서 그전에 잠들 수도 있을듯
-
다른 과목들과 다르게, 생명과학I은 유전 단원에 고난도 문항들이 치우져 있는...
-
올해 계획 4
이미 한거 3월 유이카 내한 4월 로쿠데나시 내한 할 예정인거 5월 10일...
-
24년 5모 수학 25
만약수능처럼 n수생 들어오면 1컷 몇점 정도 될까여..?
-
(조용히) 맥락상 모의고사 같은데 왜 더프라고 하나요 저는 못들어본 단어라서...
-
"시곗바늘이 흐리게 보인다" "지원이가 오늘따라 예쁘게 보인다" 두 문장 모두 두...
-
독서론 제외 평가원 기준임 더프 이런 거 ㄴㄴ
-
별의 중심핵 질량이 태양질량의 1.4배 이상일 때 중성자별로 진화 하는것과 1a형...
-
가볍게 3
소주 2병 생선구이~~
-
작수 확통 4등급이고 올해 정승제 쌤 개기팔시라고 개때잡 기출끝 팔구시퍼요(8910...
-
독서 뭔가 7
벽이 느껴짐.. 항상 독서 한 지문 당 소요시간이 오르비언 평균보다 2~3분 정도 느린 듯
-
술 끊어야겠다 11
진지하게 공부효율이 떨어지는 거 같음.. 암기도 좀 안 되는것 같구..
-
심찬우 기테마 1
대치 예섬으로 심찬우 현강 갈려고하는데 기테마2.0 며칠에 개강인가요..?
-
막 드라마처럼 "우리아빠가 누군지 알아?" 이런식으로 말하는 사람 한명정도는 있을...
-
기간이 안적혀있음? 4덮 본지가 언젠데 아직도
-
동국대 삼반수 2
동국대(서울캠) 다니는 중이고 삼반 고민중인데 남들이 봤을땐 어느정도 가야 성공으로 쳐줄까요?..
-
작수도 사문..을 봤고 쌍윤 안정성이 너무 떨어지지 않나 싶어서 고민되네요 윤사...
-
국어는 고정 2 정도고 비문학보다는 문학 언매에서 많이 썰리는 편이에요 지금까지...
-
t=a일때부터 t=b까지의 위치변화량 이라고하면 그 사이 이동거리가 아무리 커도...
-
급함 늦게나오나
-
가천대가 ㄹㅇ 고트네 16
증원하자마자 논술 신설해서 장사각 잘재고 티오 5명 남김+기하,확통 불필요 이거로...
-
"옯해원"은 보라 14
진짜 억까였다고 ㅡㅡ 증명 완 ㅡ.ㅡ
-
2026으로 들어도 문제없겠지..
-
국어 만점 노리는 학생인데요 수능 비문학 독서 풀때 지문 관련 지식,상식이 많이...

감사합니다!!은테가 얼마 안 남았네요!

우와~~~내신에도 적용될까요? ㅠ 중간 3일 남았어요 ㅠㅠ

내신이면 학교나 선생님마다 출제 스타일이 다르기는 할 거예요.. 하지만 수능이든 내신이든 출제자 분들이 난이도를 높이고 싶을 때는 부가적인 내용을 물어볼 가능성이 높으니 저렇게 표시하면서 읽는 게 효용이 좋을 거라고 생각하기는 해요중간 파이팅하세요!! 응원할게요^^

응원 감사해요 ㅠㅠㅠ 중간 잘 보고 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