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들 객관적인 난이도 어느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현장감 감안한거랑 현장감 뺀...
-
22.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시오(4점)
-
개빨고싶다 11
과일이 살짝 들어간 알코올 개빨고싶어
-
저녁 10
쩝쩝
-
흥분시켜줘 18
.아무나
-
캬
-
산책갔다와서 공부해야지 10
잠 좀 깰겸 컷피두
-
그리고 수능 국어는 시험 년도마다 난이도가 천차만별인데 수능 수학도 널뛰기가...
-
나 06인데.. 14
나 안늙었는데..
-
시험기간? 9
그게 뭐죠
-
컷이 너무 높아..
-
[짝사랑] 10
서사와 라임을 강조해봤습니다 밋밋하지만 쟈밌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의치한약 걸리면 그대로 인생피는거고 수간 걸리면 그딴거없이 하루에 한번 짐승한테..
-
적분 잡스킬 이름 10
적분 계산과정 중에 이런 잡스킬을 부르는 이름(?) 같은 게 있을까요 이 풀이...
-
아아아아 씨발 발상도 좆같고 계산도 좆같고 씨발 한문제당 20~30분을 꼬라박고 있네 씨발 아아앙
-
전위차가 생겨버렷♡
-
화지하다가 넘어 왔는데 사문 강의 듣는데 한 페이지를 1시간 동안...
구조독해로 이해요구 영역을 전부 커버하려들면 안되는거지
플러스 알파로 적용하기에 좋은 방법론인건 맞죠
딱 이런 생각인 듯요
허수들이 뭔가 오해하는게 전부 커버하는 수단으로 구조독해를 생각함
고거는...
그냥 딱 거기까지인듯 딥하게는 못들어가죠 숲이랑 나무의 관점처럼 다른느낌?
그저 도구지 독해의 본질적인 무언가는 있어야 하는 건 맞는듯요
맞는거 같아요 반대로 생각하면 이 도구 없어도 독해 피지컬이 좋다면 아무문제 없죠
이해없는 구조독해는 처단 1순위임 지금
이해가 없으면 안 되는 건 당연하겠죠
이해를 점 더 빠르고 적은 처리 과정으로 해결해줄 수 있는 도구라 보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