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질문 받음 (미적 100)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06077
수리/통계 복전 (주전공은 전컴임)
22/23학년도 수학 만점
고등, 대학수학 암거나
다른 거 질문해도 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통 4틀 n제 7
작수 15 20 21 22 틀 이번 3모 13(실수긴함) 21 22 29(확통) 틀...
-
휴식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영어 독학 5
기억나는게 작년 9모부터라 9모 77 10모 78 수능 73 3덮 77 3모 83...
-
1. 저공비행 약대 옮기신 분들께) 공대랑 비교해서 공부량은 얼마나 될까요?
-
폰 배경화면 12
-
아예 그냥 쌩피지컬로 밀어붙이는 분들 시간안에 잘 들어옴? 전 연계안하면 시간내에...
-
자분기 난이도 0
아직 유전파트는 안들어왔고 막전위 끝나고 근수축 중인데 많이 어려운편 맞죠? 머리 깨질거 같음..
-
파운데이션 풀면서 킥오프를 그날 그날 진도 맞게 같이 풀어야 될까요 아님 파운데이션...
-
수분감 기생집 0
수분감 기생집 차이가 몬가요??
-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경제지리 법과 정치
-
생1 물1 1
커리 추천해주세요 대성에서
-
좌파의 자격 6
독립이후에 우익끼리 세운나라가 남한, 좌익끼리 세운 나라가 북한인데 우익이...
-
격물치지에 대한 주자학과 최한기의 입장 - 수특 독서 실전편 제2회 4~9번...
-
엑셀 괜찮네 3
적당적당히 너무 머리 쓰기 싫을 때 풀기 좋은듯 근데 가끔가다 폭탄나옴 15번...
-
갑자기 도함수 식에 꽂혀서 만든 문제입니다. 발문이 조금 어색해도 나름 노력한(?)...
-
다음 대통령은 1
정말 보수 진보 막론하고 트럼프가 지금 이렇게 미친 짓하고 있을 때 조목조목 근거...
-
중간에 갔던 식당에도 피규어와 그림이 잔뜩 오사카역->히코네까지 도카이도본선 신쾌속...
-
지금까지 내신 총합 2.16 이고 전교등수는 300명중 15등? 정도 3모 화작...
-
수능에 강화약화가 나오면 좋겠어
-
한우랑 삼겹살 맥주랑 조지는데 도파민 ㅁㅊ다 ㄹㅇ.
-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
ㅅㅈㅋㅋㅌㅋㅋㅋㅋ
-
대치동 팀수업 강사인데 현우진보다 잘가르침
-
오늘만 2
시간이 느리게 갔으면 좋겠어
-
학습을 지겨워 할 정도로 IQ가 너무 높지도 학습을 하기 싫어할 정도로 너무 낮지도...
-
지금은 왜 역변한거지
-
하아.. 편의점에서 순살 치킨 사와야지
-
퇴물 0
ㅋㅋㅋㅋ
-
박빙이네
-
평균적으로 현역 라인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몇 수만에 보통 가죠?
-
대성패스 공유나 대여 구합니다. 수학만 듣고 들으려는게 사실 2주 정도면 될 것...
-
03년도가 리즈임
-
서울대:퉁퉁퉁퉁퉁퉁퉁퉁사후르 연세대:봄바르디로 크로코딜로 고려개:스피노사우르스...
-
이명학센세 0
믿읍니다
-
What's up, guys? This is Ryan from Centum...
-
아아
-
먼진 비밀이에요
-
아이고난
-
난 왜 이렇게 못생겻지 11
일단 무서운 인상에다가 안경까지 끼니까 더 무서운듯 ㅜㅜ
-
ㅁㅌㅊ 13
-
메인뭐임 0
ㅠ
-
작년 책이랑 올해 책이랑 많이 다른가요? 별로 안 다르면 안 사려고 하는데 다른지...
-
집가는데 9
꽤 춥다
-
perineum prepuce vestibule mono pubis frenulum...
-
교과서읽고. 정석. 기본편. 실력편 각각 세번씩. 보면. 서울대. 수학과는....
-
ㅇㄱㅈㅉㅇㅇ?
-
머리 속이 잠식된다
-
이타치 vs 지라리야 누가이김?
기출 최소 몇번 풀어보는 게 좋을까요? 평가원만 풀고 교사경 말고 n제 가도 괜찮을까요?
개인적으로는
1. 소위 실전개념 강의라고 하는 것을 들으며 일부 기출을 풀고 그것에 대한 관점 접하기
2. 기출 혼자 풀기 (이때는 교사경까지 전부)
3. 적당히 쉬운 N제를 풀며 기출에서 배운 것들을 어떻게 써먹는지 연습
4. 다시 평가원 문항만을 곱씹으며 풀기
이게 가장 좋은 테크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요즘은 어떤 수학실모가 유행이에요?
회사 묻는 게 아니고 난이도와 유형이요
예나 지금이나 어려운 게 유행 아닌가요?
다만 예전에는 진짜 뒤지게 어려운 게 스탠다드였으면 요새는 적당히 어려운 게 스탠다드인 듯
공대 4점대 학점 난도가 어떻게 돼요?(과마다 크게 다르다면 본인 과)
서울대 기준이면 매학기(졸업자 집단마다) 좀 차이가 있는 것 같지만 상위 10% 안쪽입니다
서울대 상위 10%는 ... 공부만은 정말 말도 안 되게 잘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사람들은 평생 본 적도 없는 클래스일 겁니다
설수리나 높공은 이론상 설의합격레벨이겠네요
그들이 입시를 할 때 메이저 의대를 갈 수 있었느냐 하면 아닐 수 있습니다만
본인 분야에 대한 능력치는 설의생의 입시 혹은 나아가서 본인 분야에 대한 퍼포먼스보다 훨씬 높다고 봅니다
공감 꾹
네 저도 입시에 가능한지보다 그 정도 희귀도나 역량을 중심으로 말했어요
수능 수학 어케 잘해요
이게 진짜 수능의 모든 것을 관통하는 말인데
쉽게 풀려고 해야 합니다
그게 본질로 데려다 줄 겁니다
잡기술을 연습하라는 이야기와는 다릅니다
교직에도 관심 있는데 확정이 아니라 자연계열가서 교직이수 노려볼 생각인데 자격이 어떻게 되나요? 서울대 기준으로 교직이수 전체적인 시스템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서울대는 사범대가 있기에 교직이수를 하는 사람을 거의 못 봤습니다.. 아마 그냥 찾아보는 게 빠르실 거 같아요
문제집 많이 푸셨나요 그리고 풀커리 타셨나요?
많이 풀었죠
풀커리 탄 건 현우진, 이창무 정도?
현재 사설치면 미적 백분위 100 컷 (1컷+12) 정도 나오는데 이 이상으로 올라가려면 n제, 실모 비율이 어느정도가 이상적인가요?
더프 말씀하시는 거죠?
아직은 실모보단 N제입니다
9월 이후에는 100% 실모로 가도 무방하고
그냥 정답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집합 S에 대해 f(S)를 ‘S의 모든 원소를 bitwise XOR한 값’으로 정의할 때(예시: f({0, 1}) = 0 XOR 1 =1, f({5, 7, 8}) = 5 XOR 7 XOR 8 = 10, f({13}) = 13, f(공집합) = 0),
Pr = {n | n<2^89인 소수}의 모든 부분집합 P에 대해 f(P)의 합은?
오셨군요.. 오늘은 좀 어렵네요

푸는데 컴퓨터는 필요없어요아 중요한 걸 까먹었네요
Pr의 원소의 개수를 a라 할 때, 답을 a에 대해 나타내야 될 거에요
환경공학(ex 전지, 에너지) 관련 전망 어떻게 보세요?
환경공학이 배터리를 하나요?
제가 환경공학이 뭔지 잘 몰라서..
에너지공학을 말씀하시는 거면 되게 유망해보이지만 그 정도는 아니고 뭐.. 그런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