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마 아카데미아 [1358192] · MS 2024 · 쪽지

2025-04-05 22:08:01
조회수 66

논술 합격의 키 : 독해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26023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오랜만에 논술 칼럼을 작성합니다 :)





논술 수업을 오래 진행하다 보면, 수험생들이 반복적으로 하는 말을 거의 외울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알겠는데, 무슨 말을 하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답안 작성까지는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제시문이 너무 어려워서 시간이 다 지나갑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서 제시문 내용을 쓸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대부분 공통된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제시문을 ‘제대로’ 읽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학생들 대부분은 '논술에서는 독해력이 중요하다'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독해력은 단순히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수준’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논술에서 요구하는 독해력이란, 철학적·논리적 사유가 담긴 고난도의 학술 문장을, 제한된 시간 안에,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면서 정확히 해석해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1. 난해한 제시문을 하나 보겠습니다


다음은 실제 논술 시험에서 충분히 등장할 수 있는 유형의 문장입니다.


"'자기 동일성'이라는 형이상학적 요구는, 결국 '타자에 의한 매개'를 배제한 동일자의 독백으로 환원되며, 이는 곧 '차이의 계기'를 소거함으로써 자기 내파적 동일성에 도달하고자 하는 폭력의 논리를 드러냅니다."


처음 접하는 학생이라면 거의 ‘외계어’에 가깝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보다 더 난해한 문장이 실제 연세대, 고려대 논술 문제에 출제된 사례가 있으며, 이는 단순한 예외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이 문장에서 다음과 같은 오해가 쉽게 발생합니다:

  • ‘형이상학적 요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 채, 단지 어려운 말이라고 넘겨버립니다.

  • ‘자기 동일성’을 막연히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 정도로 파악합니다.

  • ‘타자에 의한 매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지 못한 채, ‘폭력’이라는 단어만 튀어 보입니다.


결국, 이 문장이 어떤 철학적 배경에서 출발했는지, 어떤 개념을 비판하는지, 출제자는 왜 이 문장을 학생들에게 읽히는지에 대한 해석이 빠진 상태에서 답안을 작성하게 됩니다. 그 결과, 제시문은 단순한 ‘인용용 자료’로 전락하고,

답안은 ‘막연한 주장’으로 구성됩니다. 이것이 바로 "제시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면, 아무리 글을 잘 써도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이번에는 사회과학적 제시문 유형을 예시로 들어 보겠습니다. 


“통치합리성은 국가권력이 스스로를 정당화하기 위해 생산하는 기술적 담론의 총합으로, 이는 생명정치의 국면에서 개인의 신체와 일상을 규율 가능한 대상으로 재구성하며, 궁극적으로 자유의 이름으로 복종을 요청하는 통치성의 아이러니를 드러냅니다.”


이 문장 또한 논술 시험에서 등장 가능한 고난도 문장입니다. 단어 하나하나의 뜻은 알 수 있지만, 문장 전체의 논지 구조와 핵심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면 답안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특히 이 문장은 '통치합리성', '생명정치', '규율', '복종의 아이러니' 등 미셸 푸코의 사유 방식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습니다. 이 개념적 배경을 이해하지 못한 채 글을 쓰면, 제시문을 반영하지 않은 주장만 반복하게 됩니다. 그리고 교수들은 이처럼 이해하지 못한 채 쓴 문장과 답안은 바로 보입니다. 선생의 위치에선 보입니다. 


2. 왜 독해력이 논술 합격의 핵심 열쇠일까요?


학생들은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독해력이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 아닙니까?"


맞습니다. 논술에서 독해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수험생이 ‘독해력이 글쓰기보다 훨씬 더 중요하며, 사실상 당락을 가르는 열쇠’라는 사실은 체감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유형별 글쓰기를 배우는거죠..


왜일까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논술을 ‘글쓰기 시험’이라고 오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 채점 기준은 다릅니다.


실전 논술에서는 다음 기준이 적용됩니다:

  • 제시문의 핵심 논지를 잘못 해석한 경우 → 0점 처리됩니다.

  • 제시문의 개념을 왜곡하거나 비틀어 쓴 경우 → 감점 대상입니다.

  • 제시문의 의도와 정반대의 주장을 펼친 경우 → 더 큰 감점이 이루어집니다.


즉, 독해가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집니다. 반면, 독해만 정확하면 문장의 완성도나 구성력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합격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독해력’이 논술 합격의 핵심 변수인 동시에, 당락을 결정하는 키(Key)라는 점입니다.


3. 어떻게 독해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문장을 ‘읽는 방식’ 자체를 바꾸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대부분 학생들은 ‘제대로 읽는 방법’을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어릴 적 책의 중요성은 강조해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글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배운 적 없습니다. 저 또한 뇌과학과 독해력에 대한 깊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가. 의미 단위로 문장을 해체하는 훈련이 핵심입니다. 


논술 제시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압축된 사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대로 읽으면 어렵습니다.

문장을 해체해서 의미 단위별로 나누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근대적 주체는 ‘자기 통일성’이라는 환상에 기반하여,

타자와의 관계를 동일성 속에 봉합함으로써,

타자의 이질성과 불확실성을 억제하고자 한다.


수능이든 논술이든 비문학 지문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즉, 이렇게 훈련해야 하는 것이죠.


단위 나누기


  1. 근대적 주체는

  2. ‘자기 통일성’이라는 환상에 기반하여

  3. 타자와의 관계를

  4. 동일성 속에 봉합함으로써

  5. 타자의 이질성과 불확실성을

  6. 억제하고자 한다


각 문장의 의미 해석 (중학생 수준으로 위계 낮추기)

  1. 근대적 주체 → 근대 사회가 생각한 인간상

  2. ‘자기 통일성’이라는 환상 → 나는 항상 똑같고 일관된 사람이라는 착각

  3. 타자와의 관계 →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

  4. 동일성 속에 봉합 → 나랑 같다고 억지로 덮어씌움

  5. 이질성과 불확실성 → 다름과 알 수 없는 점

  6. 억제하고자 한다 → 없애려 한다, 통제하려 한다


? 문장 위계 낮춘 결과


“근대 사회는 인간이 항상 똑같고 일관된 존재라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나와 다른 사람도 나랑 같다고 여기려 했고,

그 다름이나 낯설음은 불편해서 억제하려고 했습니다.”


이 훈련을 반복하면, 수험생들은 “뭐라고 써 있는지는 알겠는데요…” 수준에서 벗어나 “이 문장은 이런 사유 구조를 가지고 있구나”라고 감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섭니다. 한 번 끄적이는 정도로 안됩니다. 집요하고 정확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논술에서 독해력을 기른다는 것은, 단지 '글을 많이 읽는 것'이 아닙니다. 더욱이 구성과 글을 많이 쓰는게 아닙니다. 글을 쪼개고, 의미를 나누고, 낯선 개념을 자기 언어로 환원하는 훈련입니다. 이 훈련을 충분히 쌓아야 합니다.

그때부터 학생의 답안은 달라집니다. 제시문을 ‘인용’하는 글이 아니라, 제시문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글로 바뀝니다. 그리고 그 순간, 논술은 더 이상 막막한 글쓰기가 아닙니다. 출제자와의 대화가 됩니다.


독해력 향상 프로그램은 아래 주소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swift25/223703409816


꾸벅. 


감사합니다. 

소테리아의 길 드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