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글 보고 든 생각) 영어에서 '이해'란 무엇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83060
제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이는 글이 완전하게 제시된 유형의 문항들에 적용이 되는 것입니다. 순삽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순삽은 글을 '매끄럽게 만드는' 추론 능력이 필요하기에 '이해'의 측면에서는 보다 얕은 수준의 읽기면 되지만 힌트 활용의 측면에서 더 깊은 수준의 읽기가 필요하니 이 칼럼이 던지는 메시지와는 결이 다르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영어에서는 이해는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지문에 대한 이해
2)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
당연히 1이 선행되어야만 2가 '타당하게' 도출된다고 생각합니다.
지문에 대한 이해는 어느 수준까지 요구될까요?
1. 지문 속 맥락의 흐름 파악
(Ex. 첨에 이 소재 얘기 꺼내고 이렇다고 하는구나
아 그 다음에 이 얘기로 넘어가네?
마지막에 이렇다고 하는구나)
2. 필자의, 혹은 글 자체의 메시지 구체화
(Ex. 그래, 결국 이 얘기하려고 하는구나)
그 다음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가능해지는걸까요?
1. 지문 메시지 구체화 (글이 이 얘기하다가 결국 이 얘기했지? ㅇㅋㅇㅋ 함 찾아보자고)
2. 각 선지 속 오류나 적절한 부분 파악 (아 이 선지에는 이게 빠져있네 or 인과가 잘못 되어있구나,, 음 매력적인 오답 선지였구만)
딱 이 정도입니다.
배경지식을 활용할 필요도,
숨겨진 무언가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지문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잘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지문에게 끌려가지만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예제로 다음 문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제 많이 어렵습니다. 지문한테 안 끌려가면서 읽어보는 연습해보고 답 찾아보셔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ㄴ 미스터리하네 콘서타 ㅈㄴ 싫다 진짜
-
혹시나해서물어봐
-
안녕 10
새학기도 시작됐고 이제 바빠서 여기 못들어올거 같아 얘들아 한 두달 정도 된거...
-
So I've been praying so hard for a miracle
-
착한 수학 고트 오르비언들이 무료로 수학 알려주는데 왜 했지ㄹㅇ
-
만약에 제가 대학 진학으로 타지역에 가야하면 어떡하죠… 헤어지고 싶은건 절대 아닌데...
-
11시 10분 땡하자마자 러셀 좌석 예약하러 들어갔는데 G열됨...ㅅㅂ 첫 수업...
-
ㄱㄱ
-
전 고등어
-
시소 정리 3
미적이랑 통통이들은 잘 모르지 않을가
-
6월 전에는 국어 체득을 좀 해놔야 하는거 같은데.. 하나라도 제대로 할까요? 먼가 욕심이 많아져서
-
씨발뭔 우리반이과(아마도실수)새끼가 내신확통한다고 블라풀고있어 나도쎈ㅃㄹ떼고...
-
문학 개념어는 내용과 형식의 조화라는 2단원에서 출제함 수능 문제보셈 내용을...
-
"무계획" 인강패스없음 공부혼자함 옯찐따임 아싸임 아무도안놀아줌 잘하는거없음...
-
비타민c를 위해서 놀랍게도 지금도 먹고있음
-
ㅋㅋㅋㅋㅋ 8
-
계속 딱딱거림 너무 시끄럽다
-
그리니치 표준시에 맞는 생활을 하기로 결정함
-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수능기출이지만 좀 OLD하기도 하고, 내신 대비할 때 많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