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칼럼] 고난도 극한 추론 문제의 접근법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63589
안녕하세요. 꿀모 수석출제위원 겸 수학강사 김윤재입니다.
올해 강의를 시작하며 오르비에서 칼럼을 종종 써보려고 합니다.
우선 처음으로 인사드립니다. 반갑습니다.
25학년도 수능 공통 21번, 극한 문제인데 정답률이 19%(메가스터디 기준)입니다.
사실 지금 다시 보면 많은 학생들이 어렵지 않게 답을 낼 것 같긴 합니다.
물론 21번 문제가 극한만으로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지만
23학년도 6월 평가원 22번과 같은 고난도 극한 문제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또 최근 평가원이 '낯설게 출제하기'에 집착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극한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접근법에 대한 정리가 필요해보입니다.
매년 모의고사를 10회정도 출제하는데, 극한 문제는 조금만 어렵게 내면
오답률이 확 높아집니다. 또 수업을 할 때도 마찬가지로
정확히 알고 풀기보다는 감으로 푸는 경우도 많고요.
때문에 문제를 분석하고, 만들면서 제가 수업하는 이야기들 중
분수꼴의 극한에 대한 몇 가지만 풀어보려고 합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겠습니다. 딱 두 개만 기억합시다.
① 분수꼴의 부정형(∞/∞, 0/0)의 극한은
분모가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하도록 계산한다.
(분수꼴의 극한에서는 분모가 주인공이다.)
② 낯선 극한에 접근할 때는 분모에 유의하며
간추린 꼴로 부정형인지, 아닌지 파악한다.
(근호가 있다고 하여 유리화부터 하지 않는다.)
이후는 꼴에 따라 계산한다.
'1. 교과서와 ①에 대한 설명
→ 2. ②의 체계화와 예시 풀이
→ 3. 2025학년도 수능 (공통) 21번 문제의 접근 (계산 제외)'
순서대로 진행하겠습니다.
2.에서 ②를 구체화한 접근법을 다루겠고, 예시는 극한의 모든 내용을 담아
직접 출제했던 9번 [4점]짜리 문항을 사용하겠습니다.
※ 예시 문제는 2023학년도 6월 평가원 (공통) 22번에서
일 때와
일 때로 나누어 풀어야 하는 이유를
간략하게 담고 있습니다. 본 칼럼을 정독 후 한 번 풀어보시길 권합니다.
1. 교과서와 ①에 대한 설명
우리 모두 알다시피 다음이 성립합니다.
이 극한값을 구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ⅰ)
(ⅱ)
(ⅰ)과 (ⅱ) 중 어떤 방법이 더 교과서에 맞을까요?
정답은 (ⅱ)입니다.
다음은 교과서에서의 ∞/∞꼴의 극한 계산에 대한 설명입니다.
--------------------------------------------------------------------------------------
[신사고 수학Ⅱ 교과서 발췌]
극한 에서
,
일 때에는
의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자와 분모를 나눈 후 극한값을 구한다.
--------------------------------------------------------------------------------------
위의 예시를 보면 분자의 최고차항으로 나누어도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데,
왜 하필 분모일까.
여기서 한 번 생각해봅시다. 분수란 분모에 대한 분자의 비입니다.
이때 우리는 분모, 분자 중 기준이 되는 것은 분모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다시, 어떤 분수의 값을 계산을 할 때 분모가 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값,
즉 0이 아닌 상수가 되어야 함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또는 0은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꼴의 계산은 분모가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0/0꼴의 극한의 계산은 어떨까요.
이것도 분모에 있는 영인자(0에 수렴하는 일차식)을 모두 소거하여 계산하는,
분모가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우리는 극한에 대한 추론을 할 때,
분모에 집중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②의 체계화와 예시 풀이
여기서 x→∞일 때의 극한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항함수의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를
결정하는 조건으로 사용되므로
x→a일 때 (다항식)/(다항식)의 극한을 다루겠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극한 추론 문제를 다음의 순서로 접근할 것입니다.
[고난도 극한 추론 문제의 접근법]
(1) 간추린 꼴을 확인한다.
(2) 간추린 꼴에서 분모가 0에 수렴할 때와 아닐 때로 나눈다.
(3) 간추린 꼴에서 분모가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할 경우
그 극한값은 항상 존재한다.
(4) 간추린 꼴에서 분모가 0에 수렴할 경우
분자 또한 0에 수렴하는 0/0꼴에서만 극한값이 존재할 수 있다.
(교과서에 증명되어있습니다.)
(1)의 과정을 너무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낯선 문제에서는 (1)이 큰 도움을 주도록 하니, 꼭 해봅시다.
그럼 예시 한 번 보겠습니다.
--------------------------------------------------------------------------------------
[김윤재T 자체제작 문항 (꿀모 출제했던 문항 숫자 수정)]
의 값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실수 t의 개수가 1일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
접근법 적용해봅시다.
(1) 이 극한의 간추린 꼴은 c/c꼴이다.
(2) t=2이거나 t=-2일 때 분모가 0에 수렴하고,
이 외의 경우 분모는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한다.
(3) t≠2이고 t≠-2이면 분모가 0에 수렴하지 않으므로 이 극한은 확정형이고,
극한값은 항상 존재한다.
(4) t=2 또는 t=-2이면 분모가 0에 수렴하므로 이 극한이 수렴하려면
분자 또한 0에 수렴하는 0/0꼴이어야 한다.
(1)~(4)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ⅰ)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ⅱ)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를 분류하여 (4)를 이용하여 답만 내면 됩니다.
(ⅰ)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의 값이 존재하고, x→-2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 즉 k=0이다.
이때 k=0이면
는 c/0 (c≠0)꼴이므로 발산하는 확정형이다. 즉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k=0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의 값이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이때 분모의 영인자의 개수는 1이고,
분자의 영인자의 개수는 1/2이므로 이 극한은 발산합니다.
즉 k=0은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ⅱ)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의 값이 존재하고, x→2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 즉 k=2이다.
이때 k=2이면
는 c/0 (c≠0)꼴이므로 발산하는 확정형이다. 즉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k=2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의 값이 존재해야 한다. x=2의 좌우에서 x+2는 양수이므로
주어진 식을 유리화하여 계산하면
즉 t=2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2이다.
※ 참고로
,
에서 왼쪽은 유리화가 필요없다는 것과 오른쪽은 유리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2023학년도 6월 (공통) 22번 문제와 아이디어가 같습니다.
0/0꼴에서 유리화의 목적은 인수분해를 할 수 있는 다항식 만들어주기입니다.
인수분해가 이미 되는 꼴은 유리화가 필요없습니다.
근호가 있다고 하여 바로 유리화부터 하는 것이 아닙니다.
또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일 때도, 유리화보다는 양변에
을 곱하여 정리하면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이차함수임을 감에 의존하지 않고도,
유리화를 하지 않고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3. 2025학년도 수능 (공통) 21번 문제의 접근 (계산 제외)
--------------------------------------------------------------------------------------
함수 f(x)=x³+ax²+bx+4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는
두 정수 a, b에 대하여 f(1)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모든 실수 α에 대하여 의 값이 존재한다.
--------------------------------------------------------------------------------------
접근법 적용해봅시다.
(1) 이 극한의 간추린 꼴은 c/c꼴이다.
(2) f(α)=0이면 분모가 0에 수렴하고,
f(α)≠0이면 분모는 0이 아닌 상수에 수렴한다.
(3) f(α)≠0이면 분모가 0에 수렴하지 않으므로 이 극한은 확정형이고,
극한값은 항상 존재한다.
(4) f(α)=0이면 분모가 0에 수렴하므로
분자 또한 0에 수렴하는 0/0꼴이어야 한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f(α)=0인 모든 α에 대하여 f(2α+1)=0이어야만
모든 α에 대하여 주어진 극한값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f(1)=0이면 f(3)=0이어야 하고,
다시 f(3)=0이므로 f(7)=0,
다시 f(7)=0이므로 f(15)=0, ······
이어야 한다. 하지만 f(x)는 삼차함수이므로
f(x)=0이 되도록 하는 x의 개수는 3 이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하므로
x=2x+1인 x, 즉 x=-1일 때만 f(x)=0이어야 한다.
이 문제는 극한에 대한 추론과 귀납적으로 함숫값에 대한 추론을 하는 것,
두 가지 요소를 담고 있습니다.
극한에 대한 추론은 무난했으리라 생각하지만,
f(x)=0의 실근이 -1뿐이어야함을 밝히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을 겁니다.
귀납적으로 함숫값에 대한 추론을 하는 문제는
2024학년도 수능 (공통) 22번 문제를 같이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조금 길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배경지식] 간추린 꼴과 부정형
간추린 꼴이란 극한을 ∞, -∞, 0 또는 c (c는 상수) 등을 이용하여
극한의 꼴을 간단히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
꼴,
:
꼴
:
꼴,
:
꼴
여기서 ∞/∞, 0/0꼴은 간추린 꼴만으로는 값이 확정되지 않으므로
부정형(indeterminate form)이라 합니다.
반면에 c/0 (c≠0)꼴은 발산이 확정되고, 0/c (c≠0)꼴은 0에 수렴함이
확정되므로 이와 같은 꼴을 확정형(determinate form)이라 합니다.
수학Ⅱ에서 다루는 부정형은 네 가지 ∞/∞, 0/0, 0×∞, ∞-∞꼴인데,
일반적으로 0×∞, ∞-∞의 두 가지 꼴은
모두 ∞/∞, 0/0꼴로 바꾸어 계산하므로
우리는 ∞/∞, 0/0꼴에 대한 기본적인 계산법을 정리했습니다.
∞/∞꼴은 차수논리, 0/0꼴은 인수논리를 이용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영어 버렸어 0
작수 3등급이었는데 지금까지 책도 안펼쳐봄 ㄷㄷ... 이거 어떻게 해결하지
-
종로학원 임가놈이 찔러주는 돈이 그렇게 좋으냐? 감 있으면 윤도영 부르거나 시대에서...
-
기타 고르실땐 댓글로 추천좀
-
진짜 실감나기 시작하네
-
이히히히힣 0
기대됨다다다다ㅣㄴ다다다다
-
모의고사가 아니라 N제지 모의고사라는건 자신의 실력을 확인하고 실전적인 시험의...
-
만든 새끼가 오류 터뜨려놓고 꼬우면 풀지 말라고 하고 아가리 털다가 탈릅한 놈인데...
-
리트 vs 사설 0
둘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 기출은 좀 많이 봤는데 둘 다 한다면 비중 좀 알려주세여
-
15번 자작문항 2
처음으로 만들어본 문항인데 피드백 좀 부탁드려요.
-
둘이 100분 실모배틀하고 틀린문제 오답해주나?
-
4시전에깨우셈
-
81점 떴는데 개못한건가요ㅠㅠ
-
국어 사설 0
이감 온라인으로 사서 풀것같은데 오프랑 크게 차이 없겠죠? 어차피 실전연습용이니까...
-
얘만 보면 점수 개박고 잇는데
-
문학 선지 재꿀 때 정확한 논리로 이건 이래서 아니고 아니고 아니고 이렇게...
-
과외 한명 줄어들은 김에 저도 국어 무료배포 실모나 만들어볼게요 10
동참하실분들 구해요 크레딧에 기여자 목록에 넣어드리고 치킨도 사드림(비대면 회식이라고 합시다)
-
전갠적으로 설맞이가 극한 ㅈㄴ잘낸다고 생각하는데
-
오늘 밖에나갈일있는데 8회차분 7만원에 넘기려고합니다 한회차당 시세가 적어도...
-
네. 잘먹었습니다 오르비
-
ㅆㅂ 3
지금이 7월이 아니라 8월말이라고? 다음주 개강이라고?
-
날씨 ㅁㅊ
-
일감 구하는 사람이라며 어쨌든 유명해졌잖아
-
정법 4
정법에 뼈를 갈았는데 맨날 한두개씩 틀려서 등급이 떨어져요ㅜㅜ 개념노트 정리해둔거...
-
평가원이나 교육청에는 거의 1 뜨거든요.. 원래 점수폭 이렇게 큰가요??확통입니다
-
글삭예정
-
저 문제 그냥 팔아서 강k나 킬캠 등 시중 실모에 들어있으면 “와 퀄 ㅅㅂ ㅈ되네”...
-
평가원 가서 따져 ㅇㅇ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귀여운 병아리"병아리는 언제나...
-
국어 (언어와매체) : 91점 백분위 99 수학 (확률과통계) : 92점 백분위...
-
쓱 풀어보고 발문어색한점 오류 오타 간단히 잡아주는정도? 함 9 12 13 21...
-
”실전“ 에 포커스를 맞추냐 “모의”에 포커스를 맞추냐의 차이로 실모평이 갈릴수는...
-
08애들 모아서 0
겨울방학 공부 시간이랑 3모 결과로 인당 n만원씩 걷어서 1등한테 @@패스...
-
점수도 점순데 시간압박이 너무심함… 작수나 6평에선 안이랫거든요
-
갑자기 이렇게 연락 옴 계속 자기 써달라고 연락 오시던데…약간 뿡뎅이 생각나서...
-
기츨책을 다 들고 다니기엔 무거우니 복습할때는 책을 단원으로 나눠서 학습하기 편하게...
-
수험생 위해서 시간내 배포해주는게 감사하니까 다들 응원하고 인사드리는거지 오류가...
-
국어 실력이 박살났음 문제를 풀어도 답이 이거라는 확신이 없음 글도 안 읽힘
-
있으면 알려주실수있나요ㅠ
-
핵심문항이 고퀄이다 -> 앞 양산형 문항은 ‘딱히 흠잡을 데 없는 문항’이 되어...
-
선1(마감) 5
5000덕
-
통통이 드릴이 나을까요? 아님 기출 n회독이 나을까요? 2
5모 84 6모 92 7모 92 8더프 88 나왔습니다 기출 1회독은 너기출로 했고...
-
예체능 재수러 2
예체능 재수러라 수학 안합니다 실기때문에 월~금 주 5일만 공부합니다 6모...
-
수선의 발 내리면 뚝딱임 ㅋㅋ
-
선택과목 0
내일까지인데... 아직도 고민이에요ㅠㅠ 생명 계열 지망 고1이고, 화생은...
-
80일 달려봅시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보통 오후 6시나 10시 즈음에 올리면 사람들이 많이 읽어줍니다
아 그렇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그냥 내일 재업로드 해봐야하려나봐요ㅠ
감사합니다!